사람의 아들 - 양장본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읽어 보아도 너무 지루하다. 이 책을 읽어보면 이문열이란 작가는 아는 것은 많은 사람 같아 보이지만 작품을 드러내는 기법에 있어서 그것밖에 안되는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고대의 많은 종교에 관한 소개가 신비롭고 흥미로움도 주는 반면에 무척 지루함도 주는 것 같다. 그리고 작가가 주제의식을 들어낼 때 어떤 사건을 통해서 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생경한 관념으로서만 이를 주장하는 것이 매우 지루하게 느껴진다. 이 작품의 수상이유에 대해 "흔치 않은 진지함"이라고 했는데 내가 이 글을 읽으면서 느끼는 지루함이 진지함때문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아하스페르츠는 작가만큼이나 진지하지 못하며 섣불리 종교를 바꿔가며 불평을 늘어놓는다.

또한 기본적으로 아하스페르츠의 쓸데없는 방황과정이 너무 지루하고 전체적으로 좋은 작품이라고 하기에는 구성상에서 균형이 많이 깨져있다고 할 수 있겠다. 역시 이 종교 분야에 종사하는 몇몇 전문가들 이외에는 별로 권할 만한 책은 아닌 것같다. 아니면 그냥 저자가 설명하는 이국적 풍경들을 감상하는데 포인트를 두던지 작가의 수다스런 관념의 세계에 그다지 빠져들지 말기를 바라면 자기만의 색다른 독법으로 읽는다면 해롭지 않을 것이다. 사실 이 책은 허무주의를 은연중에 찬양하는 듯한 어정쩡한 독자가 읽기에는 아주 해로울 수 있는 책인 것이다.

이 글은 작가가 아직 젊은 나이에 쓴 작품이라고 할 수 있고 그 뒤에 꾸준히 손보아 왔지만 역시 한국문한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그리고 조동팔의 죽음에 대하여 아하스 페르츠의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 무엇때문이라고 할 만한 근거역시 부족한 것 같다. 한마디로 사회현실에 때론 비판적으로 때론 냉소적으로 대처하면서도 어떤 대안적인 해법도 제시하지 않은 채 작가는 섣불리 조동팔을 패배시킨다. 물론 작가 자신이 이러한 점을 잘 알고 있을 것인데 개정판에서도 이후에 다른 어떤 소설에서도 이 부분은 철저히 외면되었다. 나는 이러한 의미에서 작가가 좀더 진지하고 성실해 졌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