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라톤의 국가·정체(政體) - 개정 증보판 ㅣ 헬라스 고전 출판 기획 시리즈 1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 / 서광사 / 2005년 4월
평점 :
플라톤의 주저. 영원한 명작.
문명 세계를 편협함을 무릅쓰고 감히 동양과 서양으로 이분할 때, 화이트헤드에 의하면 플라톤은 감히 그 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가 서양철학을 플라톤에 대한 주석이라고 했기 때문이며 어느 정도 공감이 갈 만한 주장이다. 이렇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플라톤의 사상이 집대성되어 있는 바로 이 책의 비중이 어느 정도인가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난 개인적으로 플라톤의 저서 중 이 책보다는 <파이돈>을 더 좋아한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현실 정치가 아닌 이상적 인식론에서의 그가 더 자신의 본분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플라톤의 현실 정치에 개입하고자 하는 시도는 한 독재자의 신하로서 미움을 사 이 위대한 철인을 노예의 처지로 까지 전락시킨 일은 너무나 유명하다. 그런 플라톤이 아카데미에 은거하며 다시 또 이러한 정치적 저작을 남긴 동기에 대해 역시 의문이 남기는 하지만 말이다.
여기서 플라톤이 주장하는 그의 진정으로 지혜를 사랑하는 자(철학자)의 갈 길에 대한 통찰과 그 최종적인 목적으로서의 올바른 국가 건설의 방법론으로서의 "철인정치"라는 것 두 가지 사이의 괴리가 크다. 그것은 플라톤의 인식론이 훌륭하지만 역시 경험의 뒷받침을 거부하는 반쪽의 사고방식이었던 것도 애당초 그럴 수 밖에 없는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더구나 재미있는 것은 그가 제시하는 여러가지 방법론의 결함에 대해서 자기 스스로가 잘 알고 있으면서도 그러한 억지를 끝까지 관철하고 싶어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데아론과 같은 특유의 인식론에서 보여주는 그의 명쾌한 비유 등은 역시 너무나 감명적인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과거 서양세계의 최고의 교과서로 통했던 책인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철학에 대한 개론 수준의 지식을 줄 것이다. 하지만 현대 철학의 입장에서는 사실 좀 이것만으로 철학을 알았다고 하기에는 조금 모자란 면이 있다고 본다. 상식 수준이란 말이다.
나는 소크라테스와 트레시마코스의 대결이라는 측면에서 이 책을 흥미있게 본다. 트레시마코스의 경우는 그가 아무리 많은 실증적 지식을 탐구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소리(小利)에나 집착하는 형편없는 선동가의 이상이라고 보여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국가에 대한 불신과 악의에서 시작하는 그의 비관적 견해는 언듯 보기에도 피상적이고 표피적일 뿐 만 아니라 소크라테스와 같은 대철인 앞에서 아무런 일관성이 없는 그저 사람들을 현혹하는 말에 지나지 않음이 분명해 진다. 물론 소크라테스 역시 어떤 분명한 대안을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그는 어디까지나 대화 즉 변증법을 통해서 그것을 궁구해 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나는 바로 이것이 바로 대철인과 한 때의 선동가의 차이 소크라테스와 트레시마코스의 차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대철학을 이루는 것은 결국 플라톤이나 공자가 말하는 바가 아니라 올바른 자세와 성실한 마음가짐이라고 할 때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택했던 변증의 방법이란 결국 옳은 것이다라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그렇다고 트라시마코스의 기존체제에 대한 회의가 무작정 무시되어서도 아니된다. 그 역시 위대한 철인으로서 한 번은 풀어 내야할 궤변이며 그러한 도전 속에서 철학자의 성장이 있으며 아울러 국가의 발전이 있는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