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하게, 독서중독 - 낮에는 양계장 김씨로, 밤에는 글쓰는 김씨로 살아가는 독서중독자의 즐거운 기록
김우태 지음 / 더블:엔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책 중독자로 살아온 지 저도 어느덧 삼십 년은 넘은 것 같다. 어릴 때부터 책과 함께 지냈고, 대학생 때도, 직장을 다닐 때도, 그리고 결혼해서 아이가 생긴 지금도 책은 변함없이 가장 가까운 친구이니 말이다. 하지만 책을 너무 많이 읽다 보면 가끔 그 속에 빠져서 내가 제대로 읽고 있는 건지, 방향 감각이 없어질 때가 있다. 그럴 때 누군가 제대로 책을 읽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겠다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가 어쩌면 그렇게 지나치게 책에 중독되어 있는 나에게 색다른 관점의 가이드를 제시해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32세라는 늦은 나이에 책과 만났지만, 이제는 게임중독자에서 독서중독자로 거듭났다고 하는, 낮에는 양계장 김씨로 일하고, 밤에는 글 쓰는 김씨로 살아가는 독서중독자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분명히 한글로 쓰여 있는데 읽어도 무슨 뜻인지 모르는 책들이 있다. 보통 철학 책들이 그렇다. 한 문장씩 독파해 나가다 보면 자꾸 오리무중에 빠지고 중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입에 ''자가 계속 달리게 된다. x........이럴 때 방법은 없을까?

힘 빼고 여러 번 읽어보자. 한 문장, 한 글자 힘 빡 주고 읽지 말고 느슨하게 읽는 거다. 뜻이 안 들어와도 상관없다. 내 눈에 단어들, 문장들을 눈에 익혀둔다는 정도로만 읽으면 된다.

그는 평생 책을 읽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며 살아왔던 사람, 중고등학교 때 읽은 책은 교과서가 전부이고, 술과 담배, 텔레비전과 게임이 유일한 친구였던 사람이었다. 그런 그가 우연히 책을 만나게 되고, 그 읽는 재미에 푹 빠져 돈보다 책이 좋아지게 된 상황에 처하게 된다. 그리고 요즘 회사업무에 치여 책 읽을 시간이 없어, 1년쯤 안식년을 갖고 책만 보며 느긋하게 지내고 싶은 게 꿈이다. 30년간 책과는 담을 쌓고 지냈던 게임중독자가 어떻게 책 중독자가 되고, 이렇게 책까지 출판하는 작가가 된 걸까. 저자는 '지극히 개인적인' 자신의 독서활동과 독서방법, 그리고 독서에 대한 여러 가지 잡생각들을 늘어놓으며 이야기한다. 당신도 책을 읽어 보라고. 독서광이 된다는 거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어떤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읽지 않아도 되고, 두꺼운 책은 찢어서 읽으면 되고, 동시에 여러 권을 읽어도 상관없다고 말이다.

저자는 빠르고 느리게 읽고는 사실 중요한 게 아니며, 문제는 제대로 읽었느냐 라고 말한다. 시간이 없어서 독서를 못하는 것은 아니며, 책을 읽다 보면 내면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어려운 책을 읽어야 성장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읽는 방법이 다르다며 독서초보의 책 읽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기도 한다. 신변잡기처럼 그저 편안하게 늘어 놓는 이야기 속에 책에 대한 애정이 듬뿍 담겨 있고, 책을 읽으면서 확립한 나름의 독서 방법에 대한 자부심도 있다. 이 책이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거나, 뛰어난 직관을 선보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책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의 자세가 매 페이지마다 담겨 있어 읽는 내내 친구를 만난 것처럼 편안했다. 당신도 그렇게 될 수 있다. 무려 32살이 되어서야 책과 만나게 된 이 사람도 있지 않은가.

책을 다 읽을 필요는 없는 것 같다. 책에도 80 20의 법칙이 성립되기 때문이다. 물론, 문장 하나하나에 혼신을 불어넣는 문학작가들의 문학작품들은 예외로 한다. 한 문장을 가지고 석 달 동안 고민하는 게 문학작가들이다. 문학작품에 80 20의 법칙을 적용해서 읽는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 스토리가 있고, 서사가 있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줄 한줄 음미하면서 읽어야 하는 문학작품은 여기서 제외하기로 하자.

전체의 20프로가 나머지 80프로를 대표한다는 파레토의 법칙은 매우 그럴 듯 하다. 이는 전체의 20프로는 핵심이고 나머지 80프로는 껍데기라는 뜻이다. 이런 책일 경우 핵심만 파악해서 저자가 말하고 싶어 하는 게 무엇인지 그 내용만 발췌해서 읽으면 된다고 말이다. 물론 내가 지금 읽고 있는 이 책 <소소하게, 독서중독> 역시 마찬가지로 파레토의 법칙이 적용된다. 아마도 책과 그다지 친하지 않은 독서 초보들이라면 처음부터 찬찬히 정독해도 좋을 듯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그러니까 웬만큼 책 좀 읽었다 하는 이들이라면 이미 다 아는 내용에 새로운 부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만 찾아서 읽어도 된다는 뜻이다. 다만, 너무 책을 많이 읽어서 그 속에서 허우적대다가 지친 경우에는, 이 책을 통해서 잠시 쉬어 가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다. 내가 제일 처음 책을 사랑했던 순간과, 책과 만났던 잊지 못할 기억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줄 테니 말이다.

몇 년 전에 70대 할머니가 소설가 조정래의 <태백산맥> 10권을 21개월 만에 필사해 화제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하루도 거르지 않고 계속 되었던 필사는 평일에는 3시간, 주말에는 6시간까지도 했다고. 필사한 200자 원고지를 세로로 쌓으면 무려 일 미터가 넘는 어마어마한 분량이라고 말이다. 당시에 태백산맥 전 권 필사를 마친 사람은 전국에서 6명이라고, 그들의 필사 완성 기간은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 정도라고 해서 대단하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이 책의 저자도 역시 <태백산맥> 10권을 필사했다고 한다. 1152일에 걸쳐 했다고 하니, 3년이나 되는 시간이다. 물론 그가 필사를 하게 된 이유가 태백산맥 문학관에 내 이름 석 자가 박힌 채로 필사본이 영구 보관된다는 달콤한 유혹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그것을 기어이 해냈다는 데 대단한 의지가 아닐 수 없다. 수십 년 동안 책 중독에 빠져 살아온 나라도 전혀 도전하고자 생각도 못해봤던 그것이라 더욱 대단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말이다. 무엇이든 사랑하면 못할 것이 없지 않은가. 책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1-28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제목이 마음에 들고, 공감합니다. 평소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분야나 작가의 책을 읽으면 특정 분야의 책만 읽었던 시절이 부끄럽게 느껴졌어요. ^^;;

피오나 2016-11-28 21:40   좋아요 0 | URL
ㅎㅎ 저는 아직도 특정 분야의 책만 읽는답니다^^;; 골고루 읽어야 할 텐데 말입니다. 하핫

cyrus 2016-11-28 21:47   좋아요 0 | URL
저는 피오나님이 장르문학을 좋아하는 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물만두님 이후로 장르문학 리뷰를 꾸준히 남기는 알라딘 유저가 많지 않거든요. 한 분야의 책만 본다는 일이 나쁜 점은 아닙니다. 책을 읽고, 글 쓰는 일을 즐기는 것만으로도 좋은 거죠. ^^

피오나 2016-11-28 21:50   좋아요 1 | URL
긍정적으로 봐주시니 감사합니다ㅎㅎ 장르문학만 편애하는 게 맞습니다ㅋㅋ 초등학교시절 셜록 홈즈를 만난 이후로 여태 그러네요. 물만두님 만큼 리뷰를 많이 올리지는 못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