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도 동생이 생긴대요 벨 이마주 18
론 브룩스 그림, 줄리아 맥클랜드 지음, 서애경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처음에 별 기대 없이 읽었는데 너무나 좋은 이야기에 책을 읽기 정말 잘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생이 생기는 아이들을 위해 쓴 동화 중 이 책이 너무 맘에 듭니다. 저 뿐 아니라 아이도 공감이 가는지 너무 좋아합니다.

작년까지도 우리 아이가 동생을 낳아 달라고 무척 졸랐답니다. 그런데 갑자기 올해 들어 절대로 동생이 생기는 것이 싫다며, 차라리 형을 만들어 오라고 말하는 모습에 더 고민이 되었답니다. 혹시 응석받이에 이기적인 아이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섰지요.

어쩜 책 속의 주인공 '앤드루'와 우리 아이의 모습이 흡사한지 꼭 우리 아이를 보는 것 같았답니다. 엄마, 아빠와 앤드루가 정답게 있는데 항상 그랬던 것처럼 엄마 무릎에 앉는 걸 좋아하는 앤드루는 뭔가 이상함을 느낍니다. 엄마 무릎이 없어져 버린 것입니다. “엄마, 무릎이 어디 간 거야?” “우리 아이가 태어나면 곧 돌아올 테니, 걱정하지 마라.” 엄마는 상냥하게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절대로 기뻐하며 기다릴 수는 없지요. “우리 아이가 내 자리를 빼앗아 갔어!”라고 말하는 앤드루의 울먹이는 모습이 남의 일이 아닌 것 같아요. 제가 가끔 우리 아이에게 아이가 태어나면 어떻게 할까? 하고 물어보면 우리 아이는 심각하게 생각한 후, “안아주지도 말고 혼자 걸어 다니라고 해!”라고 합니다. “우리 아기. 돌려 보내 버리면 안 돼요?” 곰곰이 생각한 앤드루가 다음 날 엄마에게 묻습니다.

아기 이름을 지어서 부르자는 엄마의 말에 질문을 하더니 '합죽이'나 '대머리'라고 부르자고 하지요. 우리 아이는 너무 재미있어 깔깔거리며 웃음을 그치지 못한답니다. 엄마 곰과 아빠 곰이 따끔하게 앤드루에게 주의를 주지요.

앤드루는 유치원에서 동생이 생기면 놀이친구가 되는 거라는 선생님의 말을 듣고 좀 생각한 후 집에 온 엄마에게 다시 질문을 합니다. “우리 아기가 나랑 달리기 시합 할 수 있어요?” “두 살은 먹어야 할 거야. 아기들은 뛰기 전에 걷기부터 배워야 한단다.” 자상한 엄마의 대답에도 앤드루는 실망을 합니다.

우리 아이도 아기가 태어나면 자신과 곧바로 놀 수 있을 줄 알았는데 클 때까지 한참 기다려야 되는 것을 알고 형을 만들어 달라고 합니다. 아기가 장난감도 아니고, 그냥 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하는 아이의 순수함이 사랑스럽습니다.

급기야 아빠가 아기 방에서 아기 침대를 새로 칠하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자신이 아기 때 쓰던 침대였지요. 화가 잔뜩 나 엄마, 아빠에게 화를 잔뜩 내는 앤드루. 엄마, 아빠의 이야기는 귀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멍청한 아기가 우리 집을 다 망치고 있어!” 급기야 주의를 받다 혼이 나고 벌을 받게 되는 앤드루.

벌로 자신의 방에 있는 동안 아직도 화를 가라앉히지 못한 앤드루는 마치 아기가 꾸불꾸불한 괴물이 되어서 자신의 장난감을 던지고 책을 물어뜯는 상상을 떠올리며 괴로워합니다.

놀란 앤드루에게 엄마 아빠가 달려와서 천천히 설명을 하지요. 앤드루가 아기였을 때를 생각하면서. 이제 앤드루는 조금씩 아이가 생기는 것에 대해 마음의 변화가 되고 안정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새로 태어날 아기의 이름을 정말 멋지게 정합니다. “난 우리 아기를 배움쟁이라고 할 거예요. 왜냐 하면요, 아기는 아직 배워야 할 게 많으니까요.”

이렇게 말하는 앤드루의 모습이 너무 멋지지 않나요? 이제 유치원에 가서 그림을 그릴 때에도 곧 태어날 아기를 빼놓지 않습니다. 그리고 ‘배움쟁이’라는 말이 너무 예쁩니다. 번역이 너무 멋져요. 원어로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나라 말의 아름다움이 잘 배어 있는 것 같아요.

아이가 태어나고 이제 앤드루는 정말 멋진 오빠가 될 것 같아요. 끝까지 읽다보면 귀여운 여자 아이 '제인'이 태어나고 행복한 가정의 모습을 보실 수 있답니다.

왜 이렇게 멋진 책이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았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부드러운 그림이나 엄마, 아빠가 앤드루에게 이야기하는 말이 정말 멋집니다. 자상한 엄마와 아빠, 그리고 사랑스런 두 아이들. 얼마나 행복한 가정인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