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칼데콧 수상작이 발표되었다. 얼른 보고 싶지만, 번역이 되지 않은 책도 있다.
작년에도 이맘 때 즈음하여 2009 칼데콧 Medal 과 Honor를 확인하고 영어 동화책과 번역된 책을 찾아보았는데, 그 때 번역이 된 책은 달랑 한 권. 점차 번역이 되어 우리에게 선을 보이는 1년을 지켜보았다.
올해도 제리 핑크니의 [사자와 생쥐] 책이 이제 막 출간이 되는 바람에, 잠시 잊고 있다가 "아, 칼데콧 상이 발표되었구나." 하고 알 수 있었다. 칼데콧 수상작이 그 해의 최고 그림책은 아니고 또한 모두 다 공감하는 그림책이 아닐 수도 있지만, 그래도 괜찮은 책임이 분명하다.
처음 그림책을 아이들에게 읽어주는 초보 엄마라면 책을 고르기에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으니까.
한국말로 번역된 책을 볼까 아니면 그냥 영어책으로 볼까? 그것도 아니라면 두 가지 책을 다 볼까 늘 즐거운 고민을 하게 된다.
칼데콧 상이 어린이들의 그림책 특히 멋진 일러스트를 그린 작가와 작품에 수상되는 최고의 책은 아닐 수도 있다. 왜냐하면 칼데콧 상의 대상은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과 미국 내에서 출간한 책에 한정되니까.
그래서 내가 좋아하는 영국 작가들은 당연히 칼데콧 상을 받지 못한다. 존 버닝햄 할아버지도 앤서니 브라운 아저씨도 레이먼드 브릭스와 헬린 옥슨버리 여사님이랑 브라이언 와일드 스미스 등 모두모두 .... 그 대신 영국엔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이 있다.
아이들의 그림책 상에 대해선 나중에 페이퍼로 따로 작성하려고 한다. 그리고 작년 여름 경에 열심히 책을 검색하면서 칼데콧 수상작들을 1938년 첫번째 수상책 [Animals of the Bible] 부터 정리해놓은 목록을 보면서 차례차례 페이퍼로 담아보련다.
*** 언제 읽어도 좋은 그림책, 우리 아이가 어른이 되었을 때 자신의 아이에게 들려주길 원하는 그림책을 칼데콧 수상작을 중심으로 작성해보았다.
**** 지금도 여전히 번역이 되지 않은 칼데콧 수상작들도 많이 있다. 전집 속에 포함된 책들은 이미 확인 작업을 끝냈는데...
***** 언젠가는 꼭 미번역 책들은 원서로 읽을 것이다. 그래서 그림책만의 매력 속으로 들어가련다.
 |
2006년 칼데콧 Honor 원제는 Zen Shorts
왠지 번역본 제목이 더 멋진 것 같아요. 그림책이면서도 깊이 있는 내용에 초등학생에게도 적극 권장하는 바이다. |
 |
The Invention of Hugo Cabret
2008년 칼데콧 Medal 이 책은 심사위원들이 칼데콧 상에 포함시킬 것이냐 뉴베리 상에 포함시킬 것이냐 논란이 많았다고 한다.
그 이유는 책을 읽어보면 어렴풋이 알 것이다. |
 |
아마도 칼데콧 수상작 중에서 페이지 수가 제일 많은 책이 아닐까? 각 권당 200페이지가 넘기 때문이다. 칼데콧 수상작은 그림책이니까.
읽으면서 참 독특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구나 싶었고, 또 다른 생각은 그림이 환상적이구나 싶었다.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멋진 책이다. |
 |
2004년 칼데콧 Honor 원제목은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이다.
모 윌렘스의 책 중 이 시리즈가 몇 권 있으니까, 함께 보면 좋다. 전집 속에 들어간 책도 있어서, 찾기가 어렵다면 글밥이 그리 많이 않은 책이기에 영어 그림책으로 읽으면 될 것이다.
조만간 칼데콧 Medal을 받는 작가가 되길 언제나 바라고 있다. ^^ |
 |
이 책 역시 글자 없는 그림책이라고 한다. 그래도 제목조차 안 써놓은 것을 정말 심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워낙 유명한 이솝우화니까 대부분의 아이들이나 엄마들 역시 잘 알 수 있겠지!
[노아의 방주], [미랜디와 바람오빠]를 쓴 '제리 핑크니'는 이 책으로 드디어 칼데콧 Medal을 따냈다. ㅋㅋ
그 전에 5번의 칼데콧 Honor를 받았으니 소원성취라고 할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