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의 문화사 - 조선을 이끈 19가지 선물
김풍기 지음 / 느낌이있는책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 서로 주고받던 선물에 대한 이야기이다.
젓갈부터 고급 벼루에서 청심환, 갖옷까지 소소한 정을 나누는 물품부터 왠지 뇌물의 느낌이 나는 최고급 물품까지 선물로 보내졌던 다양한 물건들에 대한 이야기도 담겨 있다.

관료들은 매월 녹을 받고 매 계절의 초입에는 봉을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지방관청의 경비로 쓰일 땅에서 나오는 름. 그걸로는 아무래도 부족했다. 이동수단이나 상거래가 발달하지 않았기에, 서로의 친분을 매개체로 한 물물교환을 닮은 선물들을 서로 주고받은 것이다.
바닷가 근처의 친구들은 말린 청어를, 산 근처엔 말린 나물등을. 이런 선물들은 등가값어치에 비례해 주고받기도 했지만, 그저 심리적 상징적 등가로 호혜성으로 나누기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것이 매화 가지, 선물을 받았지만 형편상 값어치가 비슷한 선물을 보내지 못할 때, 마음 가득 감사함을 담아 매화 한 가지 버드 나무 한 가지를 시 한 수와 보내기도 했다고 하니 이 부분은 꽤나 낭만적이다.

절기나 때에 따른 선물들도 있었다고 한다. 대표적인 것이 책력! 지금도 매년 말이면 서로 달력을 주고받기도 하니 예전과 닮았다. 물론 그 시절의 책력은 나라에서 관리했으며, 주로 임금이 관리들에게 하사하면, 그 관리들이 또 지인들과 주변에 나눠주었다고 한다. 이 책력엔 절기에 따른 다양한 행사와 농사법, 그리고 오늘은 빨래하기 좋은 날이라는 등의 일상생활에 대한 지혜도 담겨있었고, 그런 책력 밑에 있었던 일이나 약속 등을 적기도 했다니, 지금의 다이어리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연신방위지도라고 해서 한 해동안 각 방위의 길흉도 적혀 있었다고 한다. 엄마가 절에서 받아 오시는 달력에 손없는 날, 오늘은 동쪽이 길한 날 등이 적혀 있는데 이 것과 비슷했나보다.
단오면 서로 주고받던 부채를 단오선이라고 하는데, 워낙 대량으로 주고 받았기에 첩선장(부챗살에 종이나 비단을 붙이는 장인)과 원선장(둥근부채)이라고 불리던 공인들이 있었다고 한다. 고려시대부터 송선(소나무나 물버들껍질로 만든 부채) 접선 등이 유명해서 중국인들도 좋아했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이 이 접부채는 주로 하인들이 썼다고 한다. 신분이 높은 분들을 만나면 하인들은 얼굴을 가려야 했다고.
그리고 나라에서 노인공경하는 마음으로 하사하곤 했던 지팡이. 특히 유방이 항우에게 쫓겨 숨어 있을 때, 비둘기가 갑자기 날아올라 (비둘기가 있으니 사람이 숨어있진 않겠구나 하며 항우편에서 그냥 지나가버렸다고 한다.) 목숨을 구한 적이 있는데, 그 후로 지팡이 손잡이에 비둘기를 조각하기도 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지팡이로는 척촉장이라고 철쭉나무로 만들었다고 한다.
사대부들이 주고받았던 인기 선물은
매화, 종이, 앵무배 (앵무라는 소라껍데기로 만든 술잔)와 벼루 그리고 사인검(인년, 인월, 인일 인시에 만든 호랑이 검)등이라고 한다.
사치의 대명사인 가죽으로 만든 갖옷은 민란을 일으킬 정도로 문제의 소지가 많았다고 한다. 담비 60여마리는 있어야 옷 한 벌이 나왔다고 하니, 백성들의 힘듦이 느껴진다. 백성들의 고초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것 한 가지 더 바로 귤이다. 비바람이 불면 제주도 사람들은 귤나무를 부여잡고 통곡을 했다고 하니, 진상해야 할 귤이 떨어지면 목숨도 위태로웠다고 한다.
중국사신들이나 중국인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선물은 종이, 청심환, 합죽선이었다고 한다. 조선사절단이 가면 다들 청심환 등을 얻고 싶어했다고 한다. 박지원 또한 작고 휴대가 간편한 청심환과 종이 등을 넉넉히 챙겨가서 같이 물물교환도 하고, 도와준 이들에겐 사례도 했다고 한다. 간혹 밥값으로 대신 치루기도 했다고 한다.

가끔 명절이나 어린이날이면 받고 싶은 선물 순위가 기사에 오르곤 한다. 휴대폰, 현금, 컴퓨터 등 예전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다.
내가 어릴 적 기억하는 건?
아빠가 어린이날이나 노동절에 회사에서 받아오시던 양과자 세트, 명절에 갖고 오시던 설탕세트다. 우리집이 큰집인데다가 할머니가 오래 살아계셔서, 손님들이 북적였는데, 술이 제일 선물로 많이 들어왔던 기억이 난다. 간혹 과자세트가 들어오면 그렇게 좋았다. 그러면 엄마는 떡이며 생선이며 따로 포장해서 가시는 손님들께 드리곤 했다. 그래서 명절에 우리집은 조기도 한 가득, 떡도 한 가득, 무슨 공장같았던 기억이 난다.
지금은 떡이며 조기를 갖고 가는, 술을 들고 오는 손님들도 없지만, 대신 9명의 손주와 10명의 자식들과 사위와 며느리가 북적인다. 작년부터 순번제로 돌아가며 찾아가는 명절이 되었지만.

선물인 듯 뇌물인 듯 아슬아슬한 경계의 물건들도 있었지만, 그 시대 서로의 편지와 함께 오고가던 젓갈과 청어와 나물과 각종 서적들과 종이들, 감사의 편지와 싯구들이 정답게 느껴진다. 클릭 한 번으로 집 앞까지 배송되는 편한 세상이지만, 그 클릭 한 번엔 참 많은 고민과 좋아해주길 바라는 마음도 담겼다는 걸 우리 조카들이 알아줬음 한다. ㅎㅎㅎ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9-09 15:49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1등 👐^ㅅ^

mini74 2021-09-09 15:52   좋아요 5 | URL
ㅎㅎ 고맙습니다 스콧님 *^^*

scott 2021-09-09 16:29   좋아요 5 | URL
오! 이책은 우리 조상들의 선물? 문화, 관습에 관한 책인가봐여 ㅎㅎ

선물과 뇌물-공물 ㅋㅋㅋ
조기는 엄청 값진 선물이였겠죠!

요즘 중국인들도 한국산 약 무진장 좋아하고 무한 신뢰! ㅎㅎ

일본인들 자신의 나라 제품이 최고 라고 생각했는데
동일본 지진 이후 세대 부터는 신뢰가 땅으로 !

[마음 가득 감사함을 담아 매화 한 가지 버드 나무 한 가지를 시 한 수] 같은 낭만적인 선물 보다 요즘은 클릭 한번으로 기프트 보내고 별다방 쿠폰 쏴주는 시대!


새파랑 2021-09-09 17:2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선물의 역사에 대한 책이 있군요~!! 선물은 받는것도 좋지만 주는것도 좋더라구요. 상대방이 좋아할지 안할지 많은 고민을 해서 주는 🎁을 상대방이 좋아할때 그 기쁨이란~!!

mini74 2021-09-09 17:31   좋아요 5 | URL
맞아요. 받는 기쁨도 있지만 주는 가쁨도 크지요 ~

미미 2021-09-09 17:2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오~미니님♡ 저는 앵무배가 마음에 드는데요? 술을 따라 마시면 덤으로 바다향이 날것만 같아요! 어릴때 저도 삼촌이 과자세트 사준거랑 빨간색 컨버스 운동화가 제일 기억에 남아요. 그래도 결국 가장 오랫동안 버리지 못했던건 편지였던거같네요😊

mini74 2021-09-09 17:33   좋아요 5 | URL
역시~~ 앵무배, 비싸고 고급진 잔, 선비들이 앵무배로 짠 하면서 시를 지었다고 해요 ㅎㅎ저도 친구들이며 받은 편지들을 가지고 있어요 *^^*

레삭매냐 2021-09-09 17:5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저는 어려서 어린이날 어머니가
사다 주신 돈키호테 책이랑
소공녀인지 소공자가 너무 기억
에 납니다.

평생 잊지 못할 기억이지요.

mini74 2021-09-09 18:03   좋아요 3 | URL
정말 좋은 추억이네요. 소공자 소공녀. 저 혹시 부자 할아버지 있는 건 아닌가 막 상상했던 기억이 나요 *^^*

붕붕툐툐 2021-09-09 18:2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미니님이 잘 읽으시는 책 스타일 딱 알거 같아요! 저라면 손에 안 갈 거 같은 책인데 미니님이 읽고 쓴 리뷰 읽는 건 넘나 재미나네요!! 자연스레 추억 소환되는 부분 너무 좋아용~😍
전 유학생 삼촌이 보내시던 미제 쪼꼴렛. 언니들이랑 정확히 1/3로 나눴는데, 예를 들어 스니커즈 한봉투 나눴는데 1개가 남으면 그거 뜯어서 또 1/3로 나눴어요.ㅋㅋㅋㅋㅋ

mini74 2021-09-09 18:29   좋아요 3 | URL
당근 저희도 무조건 1/5씩. 나이도 의미없더라고요 ㅎㅎ 스니커즈 맛있지요 ㅎㅎ재미있게 읽어주셔서 제가 더 고맙지용 ~~

초딩 2021-09-09 18:5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는 버드나무를 좀 많이 준비해야겠습니다 ㅎㅎㅎㅎ

초딩 2021-09-09 18:5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 그리고 상세한 요약 감사드려요~!!

서니데이 2021-09-09 21:07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조선시대 선물들은 당시에도 고가품 같은데요.
예전에 과자 선물세트 생각나서 그런지, 요즘도 쿠키 세트 같은 것들 좋더라구요.
좋은 선물을 받게 되면 기쁜 마음도 들지만, 선물 잘 고르기는 참 어려워요.
mini74님 좋은 밤 되세요.^^

행복한책읽기 2021-09-10 00: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도 있군요. 미니님도 관심사가 정말 넓어요. 리뷰 읽다 보니 얼마전 본 <자산어보> 생각났어요. 기록물이 있으니 이런책도 나올 수 있었겠죠. 조사하고 연구하고 읽고 쓰고. 저자가 애를 많이 썼겠다 싶어요. 미니님 덕에 저는 아. 그랳구나 할 수 있게 됐어요^^

페크pek0501 2021-09-11 10:5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어릴 때 건빵을 아버지가 사오시곤 하면 그 이상 행복한 게 없었는데
요즘 애들은 현금을 제일 좋아하죠.
이 책은 처음 보는 책입니다. 검색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