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마음 놓고 죽었다
임선경 지음 / 뮤진트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은 지 벌써 3년이 훌쩍 지났음에도 만약 사람의 인생이 얼마나 남았지를 눈으로 보여지는 인물들이 아직도 기억에 남았던 임선경작가님의 「빽넘버」를 기억합니다. 책을 펼친 그 자리에서 다 읽었던 기억도 나고요. 이런 이야기 해도 좋을지는 모르지만 「빽넘버」이후로 임선경작가님의 신작인 「나는 마음 놓고 죽었다」가 2019년 5월에 출간이 되었고 제가 썼던 「빽넘버」리뷰에 작가님이 새로 신작을 내셨다고 기회가 된다면 읽어봐달라고 비밀댓글을 남기셔서 부랴부랴 찾아보고 구매하면서 읽어보려고 했다가 그 당시에는 읽지는 못하여서 신경이 쓰이더군요.
그렇게 해가 넘기고 나서야 불현듯이 아니, 꼭!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작은도서관에서 빌려보게 되었습니다.
앞서 살짝 이 책의 100자평을 읽었지만 처음에 정순과 기석, 이제 국민학교 입학(시대적 배경이 1978~9년인데 읽어보니 시대적차이가 많이 느껴지지 않았던 데 저 또한 명칭은 초등학교지만 입학당시에 한 반에 5~60명정도 있었고 제 개인적인 이야기지만 홍연과 비슷하게 자라와서 그런지 친근하게 느껴졌습니다.)하는 홍연과 그리고 ‘나‘라는 인물이 있어서 단순히 기석이 두 집살림을 하는 것일까하는 불순한 생각이 들었지만 「나는 마음 놓고 죽었다」라는 제목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있더군요.
이 이야기는 앞서 말씀드렸고 소설 초반에 1978년이라고 나오지만 연이를 보면서 제가 어렸을 적 생각도 많이 나고 저도 그 당시에 학교를 처음으로 가는 입장이었고 아주 잠깐이나마 정순과 같은 존재가 있었고 부잣집인 소영이네처럼 아파트에서 사는 친구들이 부러웠고 급기야는 48색 크레파스가 무척이나 갖고 싶어서 아버지의 지갑에서 돈을 훔치는 도둑질까지 했던 기억도 났네요. 여기서 다른 점은 연이는 마론 인형을 사기 위해 희숙이네 엄마가 악착같이 모아놓은 곗돈을 훔쳤지만 걸리지는 않았고 저는 크레파스를 사기도 전에 걸려서 죽지 않을 정도 맞았던 것 같아요.
물론 소설이기 때문에 그럴 일 없지만 내 곁에 누군가가 곁에 있었다면...... 만약 내가 죽게 되서 저승으로 가지 않고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 곁에 남게 된다면 마음 놓고 죽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임선경작가님, 좋은 글을 읽을 수 있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 신간이 나오면 누구보다도 제일 먼저 읽어보도록 관심갖도록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년 경자년을 맞이하여 작은도서관에서 빌린 3권의 책들!
「빽넘버」로 인상깊었던 임선경작가님의 새로운 장편 「나는 마음 놓고 죽었다」.
「공작새에게 먹이 주는 소녀」로 만나보았던(?) 김설아작가님의 첫 소설집 「고양이 대왕」.
작가정신 출판사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소설 향 시리즈 첫번째인 김사과작가님의 「0 영 ZERO 零」까지
경자년의 시작을 이 책들과 함께하려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름 없는 사람들
박영 지음 / 은행나무 / 2019년 11월
평점 :
품절


박영작가님의 세번째 장편소설 「이름 없는 사람들」을 읽으면서 정말 ‘존재‘란 무엇일까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첫 장편이었던 「위안의 서」도 두번째 장편이었던 「불온한 숨」, 그리고 오늘 다 읽어버린 「이름 없는 사람들」까지 짧은 이야기 속에 숨겨져있는 묵직함으로 인해 막상 이 것을 글로 표현하기가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자신의 생명까지 담보로 돈을 빌리고 계속 불어나기만 하는 빚으로 인해 생명을 잃음으로 빚을 갚아내는 사람들. 그 사람들을 깊은 저수지로 내몰며 역시 아버지가 재에게 진 빚을 조금씩 갚아내는 ‘나‘라는 인물 이 아버지가 물려준 빚이 ‘0‘이 될때까지 쉼없이 재의 의뢰를 묵묵하게 해냈지만 마지막 의뢰로 인해 뒤바뀌어버리는 일이 생겼고 그로인해 희망도 사람도 없는 B구역으로 떠밀려가버리는 모습이 너무 안타깝더군요.
식인귀가 되지 않으면 살아갈 수가 없는 황폐하고 음침한 B구역에 표적이 된 사람들과 함께 가야하며 무사히 돌아온다는 보장도 없기에 앞서 자신의 표적이었던 서유리의 갑작스러운 제안에 흔들리는 모습 또한 안타까웠어요.
과연 그 제안을 받아들이면 자신을 옭매던 빚에서 영원히 벗어나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을지 궁금하기도 했지만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은 아마도 ‘죽음‘으로 인해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 소설도 그렇고요.
어쩌면 저도 불러주는 이름이 없는 채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것 같아요.
정교하게 이루어진 삶의 계획에서 작은 행동하나가 인생 전체를 바꿀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 소설을 통해 새삼스럽게 알아가는 것 같아요. 물론 이 삶의 끝이 무엇인지는 알 수도 알아내지도 못하면서도요.
박영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정법
오한기 지음 / 은행나무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쓰고 있는 이 리뷰는 물고구마닉네임으로 쓰고 있지만 실은 오한기작가님이 되어서 쓰고 있는 것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2012년에 등단한 것이 엊그제같은 데 벌써 8년이 되어가며 2015년에 첫 소설집 「의인법」을 내고 2016년에 첫 장편소설 「홍학이 된 사나이」, 2018년에 두번째 장편소설 「나는 자급자족한다」를 출간했고 작년이었던 2019년에 벌써 세번째 장편소설인 「가정법」을 출간하였다.
사실 이 소설은 2016년에 「Axt」에 「병든 암소는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으로 연재를 하였고 그 이후 내 삶의 동반자들이 셍겨났고 여러가지 일들로 인해 출간하지 못하다가 2019년이 되어서야 「오늘」이라는 제목으로 은행나무출판사 편집부에 넘겼고 「가정법」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하게 되었다.
이 소설을 읽을 때에는 처음 남학생 기숙사 관리를 하는 인물이 등장하고 의자가 되어버린 천사와 몸은 좋지만 마음은 연약한 거북이, 그리고 이들을 유린하는 유두가 개구리 눈알만한 개구리, 그 것을 지켜보고 있는 85년 11월 30일 생인 내가 기숙사 관리직에서 해고당하고 직업학교에 숨어들어 병든 소와 나무라는 존재를 만들어내며 글을 기숙사때처럼 쓰지만 집착하지는 않고 마음만 먹으면 부자와 시체를 빼고는 무엇이든지 될 수가 있고 나를 의심하는 형사들을 쥐도새도 모르게 처리하며 모호와 폰섹스를 하다가 텔레파시가 통하며 토끼머리가 직업학교 옆 별장자리에 쇼핑몰이 들어서있자 그 곳에서 ‘럭키‘를 팔아버리는......
아무튼 지금은 오한기작가님이 되어서 이 글을 쓰고 있지만 아직 완벽하게 되지는 못해서 구체적인 내용이 잘 떠오르지는 않다. 하지만 나의 노예인 잭! 너는 내 눈에 띄면 입 안에 넣어서 똥이 되어 나오겠지......
근데 내가 봐도 나는 그림을 못 그리는 것 같다. 이 책의 디자인을 담당한 김지수님이 그린 몽타주(247쪽)에 비하면 이 건 뭐......
그래서 출간된지 5개월이 다 되어가는 데도 E-book이 나오지 않은 걸까 아니면 나올 수 없는 걸까?
아무튼 또 하나의 망상을 지면으로 싣고 기어이 책으로까지 나와서 다행인 것 같다.
(최근 아르코문학나눔에도 선정이 되어 증쇄를 찍을 수도 아닐 수도 있다는 좋은 소식도 들리니.)
그래서 내가 끄적거린 글을 읽고 내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겠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유행열반인 2020-01-13 10: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오랜만에 색다르게 리뷰를 하셨네요
 
근린생활자
배지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링컨타운가의 베이비」와「안녕, 뜨겁게」로 만나본 적이 있는 배지영작가님의 두번째 소설집인 「근린생활자」를 2020년에 읽게 되었네요.
이 소설집에는 표제작인 (근린생활자)를 포함하여 총 6편의 단편이 실렸는 데 첫번째로 실린 표제작 (근린생활자)는 이전에 읽어본 것 같은 강한 기시감이 들었습니다. 분명 이 소설집으로 처음 읽은 것인 데 혹시 구매할 당시에 잠깐 접했었나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그런 기억은 나지 않았는 데 아무래도 저 또한 4년간의 고시생활자를 거쳐서 지금 4년차 근생(근린생활자)이기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여기서 차이점은 저는 자가가 아니라는 것!
이겠지요.
(소원은 통일)을 읽었을 때에는 앞서 윤고은작가님의 (부루마불에 평양이 있다면)을 읽어서인지 낯설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조마조마했죠. 이 것이 사기일까 아닐까 그 결과는 소설에 나오지 않았지만 저는 사실이었으면 했습니다.
(그것)역시 김혜진작가님의 「9번의 일」을 읽었을 때의 느낌을 받았는 데 같은 비정규직이고 설치작업을 하는 직종이어서 그런 느낌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삿갓조개)와 같이 읽는 것만으로도 참혹했습니다.
단순히 결말이 참혹했다기보다는 정규직이라는 직책이 아득하게만 느껴지는 것 같아서 더 마음이 아프고 그랬던 것 같습니다.
(사마리아 여인들)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먹고 살기 위해 배운 것과 가진 것이 그 것 밖에 없었기에 죽기 전까지 결코 멈출 수가 없는 여인들이 남의 일같지가 않았습니다.
(청소기의 혁명)에 등장하는 그 당시에 획기적이었지만 지금은 악성재고로 처리해야 할 애물단지로 전략해버린 바람개비 청소기를 구매해서 절대로 환불, 반품없이 일 년 아니 고장이 날때까지 계속 사용하고 싶습니다. 성능이 좋은 신제품이 나오더라도.
6편의 단편을 읽으면서 저는 상처를 받지는 않았지만 제가 쓰는 리뷰로 혹시라도 본의아니게 상처를 주지 않을까하는 걱정이 듭니다.
배지영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