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트 프리퀀시 트리플 9
신종원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음과모음 트리플 시리즈의 9번째로는 앞서 7월에 첫 소설집 「전자 시대의 아리아」를 내신 신종원작가님의 「고스트 프리퀀시」입니다.
이 소설집에는 손 떨림과 근육 강직, 평형감각 상실등 퇴락한 운동신경의 징후들이 신체 부위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파킨슨병으로 서서히 죽음을 향해 가고 있는 1938년 음력 7월 28일생 양계진씨의 꿈과 현실을 수시로 드나드는 (마그눔 오푸스)와 보드게임에 이용되는 구각 뿔 주사위 두 개를 이용하여 0부터 99까지의 수만큼 전진하며 텍스트를 만들어내는 (아나툴리아의 눈), 제가 알고 있는 김태용작가님과 작가님의 친구분이자 시인인 박지일님이 등장하는 표제작 (고스트 프리퀀시), 그리고 서이제작가님과 최근 글쓰기에 짓눌려있다며 고백하신 짧은 에세이 (운명의 수렴)과 첫 소설집에 이어 해설을 맡으신 이소 문학평론가님의 (주술과 언어의 유물론)이 실려있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도 (마그눔 오푸스)의 양계진씨를 보면서 최근 체력과 나이가 듦으로 인해 그만두신 저희 편의점의 물류센터 기사님이 떠올랐습니다.
오랫동안 일 하셨기에 퇴직금을 많이 받으시겠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나이가 듦으로 인해 체력이 저하되면서 일을 그만두시게 되는 것을 보면서 저도 언젠가 너무 나이가 들어 체력이 저하, 일을 그만 둘 수 밖에 없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불안해지며 따로 준비하지 않은 그 후를 생각하면 막막해지더군요.(아나툴리아의 눈)을 읽으면서는 작가도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고 (고스트 프리퀀시)와 (운명의 수렴)과 (주술과 언어의 유물론)을 순서대로 ‘읽어‘ 나가며 앞서 출간되었으나 읽지는 읺은 「전자 시대의 아리아」를 꼭, 꼭 읽어보려고 합니다.
뒷면의 앞으로 출간될 시리즈의 작가님 라인업을 보면서 기대감이 증폭되며 이 글을 마칠까합니다.
신종원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밤은 괜찮아, 내일은 모르겠지만
서유미 지음 / 민음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월의 첫 책으로는 서유미작가님의 세번째 소설집인 「이 밤은 괜찮아, 내일은 모르겠지만」입니다.
첫 소설집이었던 「당분간 인간」에서는 2편의 단편이 실리지 못하였고 두번째 소설집이었던 「모두가 헤어지는 하루」에선 2편을 덜어내셔서 아쉬움이 가득남았는 데 이번 소설집에는 7편의 단편과 5편의 짧은 소설이 실려있어 기대가 되었습니다.
7편의 단편들과 5편의 짧은 소설 모두 가독성이 좋았고 결혼과 이혼, 이별과 후회로 가득차버린 과거와 불완전한 현재, 그리고 알 수 없는 미래가 다가오는 것을 가감없이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어서 표지그림 속의 여인의 표정이 납득이 되던 소설들이었습니다.
그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달라졌을까, 지독한 현실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저 이 모든 것이 다 지나가길 바라며 하루하루를 버티고 창 밖에 행복으로 가득한 풍경과 사람들을 바라보며 동경하고 빛바랜 추억들을 되돌아보며 한 걸음 나아가는 그런 것들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하고 싶은 말과 해야 할 말은 너무나도 많은 데 적절히 표현할 수가 없어 아쉬운 마음이 들고 내일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지금 이 글을 쓰며 괜찮게 여겨지는 이 밤을 묵묵히 보내려고 합니다.
서유미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릉 산책
정용준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이후 6년만에 출간된 정용준작가님의 세번째 소설집인 「선릉 산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를 읽었을 때 소설집에 실린 단편의 대부분이 제목이 변경되어서 의문을 가지기는 했지만 적절한 것 같아 인상 깊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바로 그 맘때쯤에 북플을 하기 시작했죠.
표제작인 (선릉 산책)을 읽었을 때는 분명 이 전에 읽은 적이 없었는 데 얼굴에 보호대를 차며 나무들의 이름을 줄줄이 읊던 한두운을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시간당 1만원으로 한두운같은 사람을 돌봐주는 일을 혹여나 제안받게 되면 저는 못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잃어버린 개를 찾았으나 다시 되돌려줄수 밖에 없었던 승희이기도 한 두부(두부)와 큰지진이 나서 아수라장이 된 서울 종묘의 정전에 살포시 앉아 문화해설사인 이도와 야간 경비원인 서유성을 지긋이 바라보던 흰 눈처럼 하얀 고양이 스노우(스노우)를 저도 보고 싶었고 (사라지는 것들)의 엄마의 선택을 저 역시 선뜻 받아들이기 힘들 것 같아요.
(이코)는 2018년에 미메시스에서 출간되어 그 때 읽어보고 두번째로 읽게 되었는 데 도리어 (선릉 산책)보다 낯설게 느껴졌어요. 자신을 좋아하지 말라고 말하는 미이에게 안 좋아하는 것이 더 슬프다고 말하는 주우의 머리통을 쓰다듬고 뒤통수를 한 대 때리고 싶어졌어요. (이러면 제가 악마같나요?)
(미스터 심플)을 처음에 제목만 봤을 때에는 슈퍼주니어의 동명의 노래제목이 생각이 났었는 데 전혀 상관없으며 있는 데 없는 것처럼 사는 것과 없는 데 있는 것처럼 사는 것에 대해 생각을 해봤는 데 둘 다 마음이 편하지 않을 것 같아서 사양하겠습니다.
그나저나 빨래방을 가기는 해야 하는 데 날씨 핑계, 피곤함 핑계로 계속 미루고 있어서 큰일이네요.
큰 범죄를 짓진 않았지만 제게도 (두번째 삶)이 주어진다면 어떤 선택을 할지는 잘 모르겠지만 의외의 반전이 있는 (두번째 삶)의 준범처럼 꾸준히 쓰고 또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며 소설집에 실린 단편들에서 혼자 걷거나 둘이서 걷거나 산책을 하는 장면들이 많이 등장해서 꼭 그런 것 때문은 아니지만 내일 아침부터 조금씩 가볍게 걷고 싶어졌습니다.
정용준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유행열반인 2021-10-27 22: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읽고 있어요 ㅎㅎㅎ반갑네요.
 
너를 닮은 사람
정소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가 좋아하는 단편 중 하나가 정소현작가님의 등단작이기도 한 (양장 제본서 전기)가 실린 「실수하는 인간」이 한창 방영되고 있는 JTBC 수목드라마 「너를 닮은 사람」에 맞춰 새롭게 옷을 입고 제목또한 (너를 닮은 사람)으로 바꿔서 출간이 되었습니다.
저는 제일 맨 앞에 실린 (양장 제본서 전기)를 읽기 시작했는 데 ‘합법적으로 사라지는 서비스‘를 신청하는 영지라는 인물이 아직도 기억에 남고 저도 그렇게 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는 데 두 번째로 읽으니 점점 집이 되어가는 엄마와 사진관을 운영하는 친아빠가 아닌 아빠 그리고 빌어먹을 집구석인지라 신청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되어 더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저는 아직 온전히 시청하지 않은 (너를 닮은 사람)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드라마의 주연인 두 배우가 각각 그 인물들로 매칭이 되어 드라마를 보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는 데 결말이 너무 충격적이었고 의도한 것이지만 완전하게 문장이 이뤄지지 않은 채 끝이 나서 책이 잘못 인쇄되었나 싶어 갸우뚱했다가 찬찬히 읽어보니 그렇게 끝나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폐쇄되는 도시)에서는 고현자할머니를 찾기 위해 ‘삼‘이라는 인물이 점점 폐쇄되는 도시 속으로 들어가고 (돌아오다)에서는 취업을 하며 할머니와의 독립을 하게 되었지만 극성을 부려 결국 할머니의 집을 벗어나지 못하는 손녀가 출산이 임박한 윤옥을 집으로 들이며,
어릴적 함께 했던 자매와도 같은 제인을 찾으려고 하는 (이곳에서 얼마나 먼), 나의 부모와 내가 함께 살았던 동네의 집을 찾기 위해 영업을 하지 않는 가게에 잠시 머무는 (빛나는 상처)와 전쟁통에 끌려간 남편 임학평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낯선 남자의 집에 갇혀버린 아내와 죽지 못해 살아버린 노파가 자연스럽게 겹쳐지는 (지나간 미래), 그리고 그 어감 자체로 제가 인상깊게 여겨지는 (실수하는 인간)까지
총 8편의 단편을 9년만에 다시 읽으니 감회가 새롭고 그때부터 꾸준히 제 생각과 느낌들을 표현할 걸 후회도 되고 그렇습니다.
한창 방영중이라 40여쪽 안팎의 단편소설을 1시간짜리 드라마로 무려 16부에 걸쳐서 보여줄텐데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기도 하면서 단편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또한 궁금하여 본방사수는 못하더라도 드라마를 꼭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좋은 책이었으나 초판을 3쇄밖에 찍지 못해 아쉬웠는 데 드라마가 방영되고 새로 재판을 찍어서 그런지 벌써 3쇄를 찍었다고 하니 제가 더 기쁘네요.
정소현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트하우스 - 2021년 목포문학박람회 목포문학상 수상작
이숙종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년 목포문학박람회 목포문학상 수상작인 이숙종작가님의 「보트하우스」를 읽고 이 글을 쓰면서 드는 마음은 저도 물 꿈을 꾸고 싶다, 정확히는 물 속에 잠겨있는 무덤이 나오는 꿈을 꾸고 싶다는 마음이었습니다.
저는 태어날 때는 세 사람이 있는 집에서 2살 후에는 두 사람, 네 사람, 일곱 사람이 살던 집에서 살다가 두 사람만 살던 집에서 오랜 시간동안 살다가 현재는 한 사람만 사는 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보트하우스가 정확히 어떤 집을 이야기하는 지는 사실 지금도 잘 모르고 있고, 직접 보지는 못했기 때문에 그 형태 같은 것이 잘 그려지지 않는 게 한국에서는 이러한 집을 보기가 좀처럼 흔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겠죠. 아무튼 아이가 태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죽어버린 베틀 짜는 여자, 죽었으나 소리없이 도둑무덤 옆에 묻혀 물에 잠겨버리고 세월이 지나 사람들은 서서히 그런 기구한 사연을 잊혀가지만 꿈에서 불현듯 떠오르는 이미지들......
이야기는 필립 케멜 캠밸이라 남자가 교수였던 서지향과 그의 딸인 최연지와 함께 보트하우스에 살고 있는 이야기와 연지의 시점에서 이야기하는 것이 교차되어 읽는 내내 흥미로웠습니다.
세 사람, 네 사람, 두 사람, 한 사람으로 좁혀지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인생은 알 수가 없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삶은 실재한다는 것을 생각해 마음이 먹먹해졌습니다.
이숙종작가님, 진심으로 목포문학박람회 목포문학상 수상을 축하드리며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