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드디어 도스토예프스키 5대 장편 소설의 마지막 소설인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을 읽기 시작했다. 명성대로 깊이 있고, 무게감 있으며, 지금까지 내가 읽은 도스토예프스키 소설들 중에서 가장 문학성이 뛰어난 느낌이다. 가히 걸작이자 대작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소설처럼 보인다. 이 소설을 가지고 말을 하려고 마음 먹으면, 너무 많은 말을 할 것 같다. 하여서 말을 줄이기로 했다. 쓰다 보면 끝이 없을 것 같아서. 다만 이 말 한가지는 해야겠다. 후반부에 나오는 '대심문관' 이야기는 개인적으로 너무 인상깊었다. 종교와 계몽주의, 엘리트주의에 대해서 여러모로 생각할 수 있게 만들어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ren 2020-02-02 13: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대작들을 읽고 난 직후의 느낌을 말로 다 표현하기는 쉽지 않은 듯합니다. 그러나, 먼 훗날을 기약한다면(?) 힘들더라도 리뷰나 페이퍼로 한번쯤 정리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까라마조프 형제들>을 39년 전에 읽었는데, 그 당시 책을 읽고 난 직후의 생생했던 느낌을 제대로 기록해 놓지 않아서 아직도 이 책을 볼 때마다 ‘후회‘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대한 느낌은 그저 ‘대단하다, 심오하다, 깊디깊은 소설이다‘는 정도로밖에 표현할 수 없거든요.

그나마 등장인물들에 대해 제가 느꼈던 감정들을 조금 끄적거려 놓은 게 유일한 위안거리랍니다. 장남 표도르는 순박하고 정직하고 어쩌고, 둘째 이반은 무신론자니 어쩌니, 셋째 알료샤는 청순한 박애가니 어쩌니, 사생아 스메르쟈꼬프는 비열하고 꾀가 많고 악마적이니 어쩌니, 조시마 장로는 긍정적이니 어쩌니, 라끼찐은 경박한 재줏꾼이니 어쩌니, 그루셴까는 또 어쩌니.. 정도가 제 기록의 거의 전부입니다.

대작을 읽고 나서 ‘기록‘을 안 남기고 지금도 후회 중인 책들이 정말 많은데, 가령 <전쟁과 평화>, <돈키호테>, <마의 산> 등과 같은 작품들이 그렇습니다.(그 대신,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이나 찰스 디킨스의 <황폐한 집>, <데이비드 코퍼필드> 등에 대해 끙끙거리며 리뷰로 정리해 놓으니, 나중에 그 리뷰들을 볼 때마나 얼마나 뿌듯하고 기분이 좋은지 모른답니다.) 이런 작품들을 읽고 난 뒤의 생생한 느낌들을 그냥 마음 속으로만 간직한 채 ‘리뷰‘로 정리해 놓지 않으니, 세월이 가면서 자꾸만 그 작품에 대한 구체성은 희미해지고 뭐라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손에 잘 잡히지 않는 느낌들만 남는 것 같아요.

짜라투스트라 2020-02-02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하면 좋죠.^^
 

마지막에 있는 <찌혼의 암자에서>를 읽지 않았다면, 스타브로킨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추측은 할 수 있었지만 정확한 '상'을 그릴 수 없었으리라. 그러나 <찌혼의 암자에서>를 통해 스타브로킨이라는 인물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었고 그로 인해서 그라는 인물에 대해 조금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적 투쟁 대상인 허무주의적인 무신론의 화신이자 그 자체인 인물. 도스토예프스키가 생각하는 도스토예프스키식 '악'의 화신이자 악령 같은 존재. 처음에는 스타브로킨이 소름이 끼쳤는데, 읽어나가면서 점점 우스워졌다. 이게 허무주의적인 무신론에 대해서 도스토예프스키가 바랐던 의도인건가, 아니면 허무주의적인 무신론이 필연적으로 가지는 속성인 것인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도스토예프스키가 허무주의적 무신론을 악에 가까운 그 무엇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사실은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인라인의 소설은 여전히 경쾌하고 읽기 편하다. 페이지가 술술 넘어가고 이야기에 중독성이 있다. 이해 안 가는 용어와 개념을 제외한다면. 페이지터너 소설을 쓰는 스토리텔러 답다. 그의 손 끝에서 펼쳐진 이 소설은 미국 독립 혁명을 '달의 지구로부터의 독립'으로 바꾸고, SF적인 설정과 하인라인 특유의 스토리텔링이 더해져 만들어진 소설이다. 하인라인식 달세계 독립 혁명 서사라고 할까. 아니면 자기 상상으로 풀어 헤친 미국 독립 혁명의 재창조라고 할까. 이야기 테마의 핵심이 미국 독립 혁명의 변용이라면, 이야기의 전개를 이끄는 것은 소설에 나오는 캐릭터들이다. 특히 인간이 아닌, 인격을 가진 컴퓨터로서 달세계의 독립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마이크의 개성은, 이야기 전개의 흥미를 크게 북돋는다. 마지막의 결말이 아쉬울정도로. 어찌되었든 다시한번 하인라인 스토리텔링의 힘을 깨닫는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 읽고 나서 작가의 이름을 들여다본다. 아니 이 소설을 쓴 작가가 미쓰다 신조가 맞아? 내가 놀란 이유는, 이 소설이 일본의 과거를 비판적으로 들여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 일본이 무슨 잘못을 저질렀고, 그것이 뭐가 문제인지 들여다보는 형태의 소설. '아니 이렇게 쓰면 일본 사람들이 좋아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음.. 그래 일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지는 내가 관심가질 필요가 없지. 새로운 시리즈를 통해 어떤 식으로든 미쓰다 신조가 자신의 소설을 업그레이드 시키고 있다는 느낌이다. 공포와 호러의 결합을 넘어가서 공포와 호러의 역사의 결합으로까지. 앞으로 모토로이 하야타 시리즈가 어떻게 나아갈지 그 행보가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머러스한 분위기와 문장, 독특한 캐릭터와 말도 안 되는 사건과 그것의 독특한 해결 방식으로 특징지어지는 작가 구라치 준의 대표 시리즈인 네코마루 선배 시리즈의 첫 작품. 첫 작품답게 작가 특유의 유머러스함과 독특함은 아직 완숙되지 않은 모습이다. 대신에 사람들간의 유대가 강조되고 있다. 유머와 인간애의 조화라고 할까. 하지만 네코마루 선배의 독특함과 유머러스함은 건재하고 있기에, 유쾌하게 읽다가 서글퍼진다. 점점 자신만의 스타일을 갖추어가는 시리즈의 원형을 읽는 게 이런 느낌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