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 있는 문예 계간지 ‘문예중앙‘이 사실상 폐간되었다고 한다. 통간 150호인 이번 여름호를 마지막으로 휴간에 들어갔으나 복간 일정을 제시하지 못하니 사실상 폐간인 셈이다.
정기 구독자의 수가 고작 몇 십명이었다고 하니 길이 없었을 것이다.
요즘의 문학의 무력을 감안하면 150호를 냈다는 사실이 놀랍게 느껴질 정도이다.
내가 이렇듯 문예중앙 이야기를 하는 것은 중요한 무언가가 빠져나가는 듯한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유료 구독을 하지 않은 것은 물론 내가 사는 동네의 도서관에서 무료로 볼 수 있는데도 잡지에 눈길도 주지 않았던 입장으로서 중요한 무언가가 빠져나가는 듯한 기분이 든다고 말하는 것은 진정성이 없는 처사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휴간이 좋지 않은 상황인 것은 분명하다. 지난 해 여름 문예중앙에서 시집을 낸 성윤석 시인이 쓴 관련 글도 페북에서 접했다.
출판사가 문을 닫을 경우 시집의 저작권과 출판권은 누구에게 귀속되는가란 글이다.
현역 교수로 부지런히 강의를 하시는 한 페친이 쓴 이런 글도 보았다. 문예창작과 대학생의 고민과 갈등이라며 쓴 글로 ˝월 30만원만 벌어도 글만 쓰겠는데...˝란 것이었다.
내가 알지 못하는 사람이지만 절박한 글을 쓴 그 문예 창작과 대학생에게 그것 가지고 어떻게 생활할 수 있냐고 묻지는 못하겠다.
모두 우울한 소식 뿐인 듯 하다. 모종의 흑막에 의해 문예지들이 쏟아지기도 한다니 악화가 양화를 몰아낸다고 해야 할까?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문예지를 바람직하게 만들 수 없는 것인가?
나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지는 않지만 문학계가 처한 환경이 참 빡빡하고 각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제 복간 전문 출판사인 최측의 농간 블로그에서 읽은 이야기를 해야겠다.
어떤 계기로 연(緣)이 닿았는지 기억하지 못하지만 지난 해 여름 이후 출판사로부터 허만하 시집 ‘낙타는 십리 밖 물 냄새를 맡는다‘, 고형렬 시인의 ‘은빛 물고기‘, 여림 시집 ‘비 고인 하늘을 밟고 가는 일‘, 이연주 시전집, 서정인 작가의 장편 소설‘달궁‘, 박서원 시집 ‘아무도 없어요‘ 등을 받았다.
부지런한 문학 독자가 아님에도 귀한 책들을 받아 죄송하다.(더욱 리뷰는 허만한 시인의 ‘낙타는 십리 밖 물 냄새를 맡는다‘ 단 한 권만 썼을 뿐이어서 리뷰를 써줄 것을 바라고 책을 보내준 것은 아니지만 많이 미안한다.)
어제는 조연호 시인의 시집 ‘저녁의 기원‘을 소개하는 글을 메일로 받았다. 문학과 사회에 대한 관심을 놓지 말라는 의미인지도 모르겠다.
나는 늘 문장에 신경을 쓰는데 전에도 그랬지만 최측의 농간의 대표 신동혁 님의 짧은 시평이 참 좋다는 생각을 한 뒤 더욱 그랬다.
오늘 읽은 ‘길을 잃지 않기 위해 길을 잊는 일‘이란 글도 그런 점을 확인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신동혁 님 본인의 글로 시작해 정화진 시인이 이연주 시인에 대해 언급한 내용, 김정란 시인이 이연주 시인에 대해 언급한 내용들이 이어진 글이다.
그런데 정화진 시인이 이연주 시인에 대해 언급한 부분은 설명이 되어 있었지만 김정란 시인이 이연주 시인에 대해 언급한 부분은 글의 서두에 설명이 되어 있지 않아 ‘글 잘 쓰는데...‘란 생각을 하며 한참을 읽었다.
대단한 감수성과 정교한 필치의 글이 인상적인데 중요한 것은 누가 썼는지보다 이런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다.
김승희 시인이 클라리사 에스테스의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을 평하며 쓴 ˝원초적 야성 즉 신성(神性)의 점화를 성대하게 베풀어 주는 혈액의 혁명을 일으키는 책˝이란 생각을 하며 읽었다.
가령 이런 글들.
<죽은 이연주가 내 꿈속에서 “철사로 된 빽빽한 말다발”이라고 말하던 모습을 나는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꿈에서 깨어나 나는 한참 동안 가슴을 누르고 있어야 했다.....내 울음이 저승까지 이르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너를 위해서 내가 잘 말할 수 있을까? 허공에 목을 매달아 버린 네 잘린 말 대신?....>
‘영혼의 역사‘라는 시인의 평론집 날개에 적힌 ˝심리몽환적이며 신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매우 지적˝이라는 글을 생각하게 된다.
˝자연과학이 주도하는 비신화화의 시대에 신화를 말하고, 합리적 개념 언어의 시대에 신비하고 풍성한 상징 언어에 주목˝(양명수 지음 ‘폴 리쾨르의 ‘해석의 갈등‘ 읽기‘ 7 페이지)했다는 리쾨르를 생각하게 하지만 중요한 것은 시인은 이연주 시인을 만난 꿈에서의 대화 이후 진혼곡 같은 말을 했다는 데 있다.
다양한 글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다시 시를 부지런히 읽어야겠다. 느끼기 위해서는 시를, 알기 위해서는 평론을 읽어야 하니 읽을 거리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물론 즐거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