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 궁궐문화원 전문 해설사 36기 동기들은 국립 민속박물관에서 월례 모임을 갖는다.

지난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 함께 공부한 뒤 지금은 각자 영역에서 다들 열심히 해설하고 공부하고 살고 있다.

우리는 수업과 필기시험, 시연 등을 모두 마치고 수료식을 가진 직후인 2017년 2월부터 한 달에 한번씩 모였다.

그간 한성백제박물관, 남양주 실학박물관, 동구릉, 창덕궁 후원, 백범기념관 등에서 만나 해설 듣고 때로 해설도 하고 식사하고 서로 안부를 묻고 즐거운 이야기를 나눴다.

지난 해 마지막 모임일인 12월 20일에는 잠실의 이** 님 집에서 송년회를 가졌다. 지난 해 모든 모임에 빠지지 않고 참석한 네 회원에 상장과 부상(문화상품권)을 포상하는 자축 행사도 가졌다.

서울과 인근 경기도에 박물관, 능, 궁궐 등이 많다. 수원 화성도 이야기되었고 전주 경기전도 이야기되었었다.

이제 새롭고 의미 있는 모임장소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10시 50분 집결을 위해 아침(8시 30분) 집을 나선다는 이야기를 톡에 올렸다.

그러자 한 동기가 가장 멀리서 혹한에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일찍 집을 나선 나를 생각해서라도 참석하겠다고 해 기분을 좋게 해주었다.

오늘은 전체 13명 중 여섯 명만이 참석하는 소모임이 될 것이다. 바빠서(특히 해설 때문에) 참석하지 못하면 아쉽지만 축하할 일이고 일정상 여유가 있어 참석하면 반가운 일이다.

학문으로써 벗을 모으고 벗으로써 서로의 인덕을 돕는다는 이문회우 이우보인(以文會友 以友輔仁)의 의미가 딱 들어맞는 모임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명(幽明)을 달리했다는 바른 표현 대신 운명(運命)을 달리했다는 바르지 않은 표현을 한 신문 기사 밑에 삼가 고인의 명복(冥福)을 빈다는 댓글이 이어진 것을 보았다.

34세라는 너무 젊은 나이에 운명(殞命)한 한 연예인을 보며 나는 어떤 댓글도 달지 않았다.

명복이란 말이 낯설고 애매하게 느껴져 애도(哀悼)한다는 표현을 하는데 문득 그 표현이 상투적으로 느껴져 아무 말도 하지 않은 것이다.

이승의 밝은 세상[明]을 떠나 저승의 어두운 세상[幽]으로 떠나는 것 즉 유명을 달리하는 것은 현실을 접고 가능성으로 존재했던 죽음을 구현(具顯; 어떤 내용을 구체적 사실로 나타나게 하는 것)하는 것이다.

존재의 일부였던 죽음이 전체가 된 것이다.

구현이란 말은 선승(禪僧)과 같은 삶을 살다가 간 프랑스의 시인, 사상가 조에 부스케(1897 - 1950)를 생각하게 한다.

조숙한 문학청년이었던 부스케는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해 척추 부상을 입고 죽을 때까지 삼십년을 침대에 누워 있어야 했다.

그는 ˝나는 내 속에서 커가는 거대한 존재의 상처다. 또 내가 그의 실추를 구현하게 될 조금 더 큰 인간의 의식˝(‘달몰이‘ 19 페이지)이란 말을 했다.

이 말은 ˝내 상처는 나 이전에 존재했고 나는 그것을 구현하기 위해 태어났다˝(이정우 지음 ‘삶 죽음 운명‘ 111 페이지)는 출처 불명의 그의 다른 말을 이해하는 데 유용히다.

˝그대는 무엇을 구현하기 위해 사는가?˝ 부스케가 아니 내 안의 진정한 내가 이런 질문을 던지는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양도성 서울을 바꾸는 정책 꿈꾸는 내일 4
전우용 지음 / 서울연구원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서울을 바꾸는 정책 꿈꾸는 내일 시리즈 네 번째 간행물인 역사학자 전우용 교수의 '한양 도성'은 지난 201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으나 2017년 국제 기념물 협의회로부터 등재 불가 판정을 받은 한양도성의 위상과 가치를 간단하게 조망한 책이다.(시리즈의 모든 책들이 150 페이지를 넘지 않는 소책자들이다.)

 

"..그녀는 인경전의 종소리가 울리면 장안의/ 남자들이 사라지고 갑자기 부녀자의 세계로/ 화하는 극적인 서울을 보았다.."(김수영 시 '거대한 뿌리' )는 시 구절을 연상하게 하는 구절로부터 시작되는 '한양도성'은 얇지만 꼭 필요한 내용들을 담은 알찬 책이다.(시에서 말해진 그녀는 이사벨라 버드 비숍이다.)

 

김수영 시인의 시에서도 알 수 있지만 "종각의 종소리와 함께 성문이 닫힌 뒤에는 낮 시간대 옥외 활동이 제약되었던 여성들만이 거리를 오갈 수 있었다"(6 페이지)는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도성과 서울의 관계이다. "도성은 서울의 상징이자 그 자체로 서울이었다."

 

성벽과 성문은 서울을 알리는 이정표 또는 랜드마크 역할을 했다. "서울 사람들에게 성벽은 운명적 동반자였다. 서울을 방문하는 일은 성벽을 보고 성문을 지나는 일이었으며 서울에서 산다는 것은 매일같이 성벽을 보고 느끼는 것이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개인 또는 소집단으로는 결코 자연에 맞설 수 없었기에 수많은 사람들을 동원하여 분업과 협업 구조에 밀어 넣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했고 그 과정에서 지휘권을 장악한 집단이나 기구 즉 국가가 출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과정은 서로 다른 문명 발달 단계에 있는 종족 사이의 전쟁과 병행된 과정이었다. 물론 그 이전에 신석기 농업혁명과 그로 인한 정착 및 저장(잉여생산물에 대한)으로 인해 권력이 생겨났다는 사실이 언급되어야 한다.

 

도시(都市)라는 이름에서 도()는 모두 갖추었음을 의미하고 시()는 교환이 일어나는 장소를 의미한다.(20 페이지) 광희문은 숭례문과 흥인지문 사이의 한양도성의 동남문이다. 수문인 오간수문과 이간수문(도성 안에서 발원한 하천의 물줄기를 성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만든 문) 인근에 있어 수구문(水口門)으로 불렸고 조선시대 도성 안에 매장이 일체 금지되었기 때문에 시체는 모두 성 밖으로 나가야 했는데 광희문과 소의문이 시체의 출구로 배정되었다. 그런 까닭에 시구문(屍口門)으로도 불렸다.(40 페이지)

 

안현미 시인의 屍口門 , 이란 시를 보자. “,파란 아침이고 시구문 밖으로 나가면/ 끝날 이 고통도 아직은 내 거예요. 친절하지 않을래요 종/ 합선물세트처럼 주어지는 생을 사는 건 당신들이지 나는/ 아니에요....죽은 자들만 불러모아 사망/ 자 주식회사를 만들고 영원히 죽고 싶은 나는, 시구문 밖,/ 봄 활짝 핀 착란이 그리워요.”

 

태종은 즉위 후 한동안 개성을 영구 수도로 삼으려 했다. 그러던 태종은 개성과 한성을 자주 왕래하는 것이 불편했는지 한성에 이궁(離宮)을 지을 것을 명했다. 태종은 이궁이 완성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한양으로 행차해 열흘 정도 조준의 집에 머물다가 공사가 끝난 뒤 창덕궁이란 이름을 붙이고 이어(移御)했다.(44 페이지)

 

한양도성을 처음 쌓을 때 도평의사사에서는 성곽은 안팎의 구별을 엄격히 하고 나라를 굳건히 하기 위한 것이라는 말을 했다.(18 페이지) 인조에게 삼배구고두례(三拜九叩頭禮; 세 번 절하고 절할 때마다 세 번씩 머리를 땅에 찧는 청나라 의식)의 굴욕을 강요하며 항복을 받아낸 청 태종은 화의 조건 중 하나로 성이 무너져도 다시 쌓지 않을 것을 집어넣었다.(48 페이지)

 

한양도성의 성벽은 몸통인 체성, 체성 위에 낮게 쌓은 여장, 총을 쏠 수 있게 만든 총안 등으로 구성되었다.(58 페이지) 한양도성의 성문은 성벽으로 둘러싸인 특별한 공간과 그 외부 사이의 접촉을 통제하는 시설이다.(59 페이지) 도성을 빠져나가는 사람이나 도성 안으로 들어오는 사람이나 모두 성문을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었고 문을 여닫는 시간은 국가가 통제했다.

 

성문을 여닫는 시각은 도성 한복판에 종루를 세우고 종을 쳐서 알렸다.(59 페이지) 조선왕조는 도성을 쌓은 후 그 안을 한성부라 했다. 한성부는 새 수도의 행정 구역 명칭인 동시에 도성 안과 성저십리의 행정을 관할하는 정이품 관청의 이름이기도 했다.(67 페이지)

 

1420 년대 완성된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도성 안의 가호수는 17105, 성벽에서 10리 바깥까지의 거리 내에 있는 지역인 성저십리의 가호 수는 1779호였다. 성저십리의 면적이 도성 안보다 다섯 배 이상 넓었으나 인구는 1/10에 불과했다. 성저십리의 행정도 한성부가 담당했지만 성벽은 그 안과 밖을 전혀 다른 세상으로 나누었다.

 

도성 안은 왕실과 국가의 존립을 위해 꼭 필요한 사람들이 거주하는 공간이었기 때문에 도성 주민은 조세, 공물, 요역을 모두 면제받았다. 대신 도성 안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국가의 지휘에 따라 일상생활을 조직할 의무를 졌다. 이를 방역이라 했는데 왕의 행차에 앞서 도로를 청소하는 일, 낙엽이 쌓였을 때나 눈이 많이 내렸을 때 궁궐을 청소하는 일, 내사산의 숲을 관리하는 일, 국상 때 상여를 지는 일 등이 모두 방역으로 부과되었다.(69, 70 페이지)

 

한양도성은 군사 시설로는 단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다. 임진왜란 때나 병자호란 때에도 왕은 적이 가까이 다가왔다는 소식을 듣자 바로 도성을 버리고 피난했다. 성벽은 그저 성 안팎을 왕래하는 평범한 사람들을 괴롭혔다. 서울 성벽은 전쟁 때문이 아니라 세월 탓에 여기저기 무너져 내렸다.

 

숙종 때부터 다시 성을 수축(修築)하는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백성들 사이에서는 유사시 버리고 도망갈 성을 다시 쌓는데 대한 불만이 높아갔다.(75 페이지) 내사산의 아름다운 풍경과 한 몸이 된 한양도성은 놀이와 문예 활동의 장소로도 이용되었다.(85 페이지) 성벽 주변에는 산과 물이 잘 어우러진 명승지가 많이 시인 단체인 시사(詩社)들의 모임도 자주 열렸다.

 

1899년 전차가 다니면서 그 궤도로 인해 성문을 여닫을 수 없게 됨에 따라 수백 년간 도성민의 일상생활을 규제했던 바라와 인정도 중단되었다. 대신 창덕궁에 대포를 설치하여 매일 정오에 오포(午砲: 정오를 알리는 대포)를 쏘았다. 이로써 밤과 낮으로만 구분되던 중세의 시간은 정오를 기준으로 오전과 오후로 나뉘는 근대적 시간으로 재편되었다.(91 페이지)

 

19108월 한국의 주권을 강탈한 일본은 한성부를 경성부로 개칭하고 경기도 소속으로 삼았다. 한성부의 수도 지위를 박탈하여 일개 지방 도시로 격하시킨 것이다.(96 페이지) 한양도성은 일제에 의해 훼손되었고 해방과 동시에 거대한 인구 이동으로 훼손되었고 한국전쟁 중 집중적이고 대규모적인 피해를 입었다.(104 페이지)

 

1955년 혜화동과 성북동 안에 새 교지(校地)를 마련한 경신고등학교는 학교 신축 공사를 하면서 주변 성들로 축대를 쌓아 큰 물의를 일으켰다.(105 페이지) 경신고등학교의 축대는 현재까지도 한양도성의 완전성을 훼손한 대표 사례로 꼽히고 있다.(105 페이지) 대한민국의 문화재 보호법은 19621월 제정되었다.(104, 105 페이지)

 

1968121일 북한군 특수부대가 청와대 인근 백악까지 침투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을 계기로 백악과 인왕 일대의 성벽 주변이 민간인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되고 성벽은 군사 시설이 되었다. 성벽 주변에 군 초소 등이 신설되고 정상부에 방공 시설 등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도성은 다시금 훼손되었다.(109 페이지)

 

2006124일 문화재청은 광화문 해체, 복원 및 월대(月臺) 조성, 한양도성을 사적과 명승으로 지정, 관리하는 방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서울 역사도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서울 한양도성 내부 공간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것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125 페이지)

 

20117월 문화제청은 서울성곽이라는 사적 지정 명칭을 서울한양도성으로 변경했다. 읍성, 산성, 토성 등 전국에 산재한 성곽 유산의 명칭 부여 방식을 통일한다는 취지에서였다.(129 페이지) 2012928일 한양도성도감이 설치되었다. 도감(都監)이란 조선시대에 특정 목적 사업을 위해 설치한 임시기구를 말한다. 서울시가 이런 이름을 붙인 것은 한양도성 보존관리 사업의 역사적 의의를 드러내고 사업단의 목표를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로 설정했기 때문이다.(132 페이지)

 

한양도성도감 설치와 동시에 서울역사박물관 산하에 한양도성연구소가 신설되었다.(137 페이지) 2014731일 동대문성곽공원 내 서울디자인 지원센터에 한양도성박물관이 개관되었다.(138 페이지) 1975년 서울성곽 복원 사업이 시작된 이래 박원순 시정(市政) 이전까지 한양도성 관리 행정은 외형 복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한양도성도감이 설치된 뒤부터 원형 보존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조선시대 서울 고지대의 성곽 주변에는 건물이 들어설 수 없었다. 왕의 거처인 궁궐을 굽어보는 곳에 건물을 지을 수 없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 이후 궁궐의 권위가 소멸되고 서울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성벽 주변 고지대 여러 곳에 빈민들의 토막촌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에는 무허가 주택이 건립되는 속도가 한층 빨라졌다. 1950 1960년대를 거치면서 낙산, 인왕산, 남산 기슭의 성벽 주변에는 예외 없이 마을이 생겼다. 1975년 성곽 복원 사업을 시작하며 성벽 주변의 일부 무허가 주택을 철거했으나 예산 부족으로 전면 철거하지는 못했다.(144 페이지)

 

저자는 한양도성을 온전히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해서는 한양도성을 우리의 값진 문화유산으로 인식하고 한양도성을 물리적 구조물을 넘어 정서적 구조물로 소생시켜야 한다는 말(151, 152 페이지)로 책을 마친다. 정서적 구조물이란 말이 중요하다. 저자가 어떤 의도로 썼는지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이효덕의 표상공간의 근대에 이런 논의가 있다. 조망(眺望)하는 인간이 없다면 풍경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말을 저자의 논의에 맞추면 한양도성을 역사적 의미가 담긴 정서적 구조물로 여기는 시민들이 없으면 그것은 단지 우리 밖의 물리적 구조물(애정의 대상이 아닌)에 불과하다는 말이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 공부를 계획하고 6개월 코스의 몇몇 프로그램을 생각해두고 있었다.

하지만 흐지부지 모두 놓쳐버렸다.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만은 아닐 것이다. 내 상황은 아직 영어에까지 관심을 둘 처지가 아닌 듯 하다.

의식은 영어 공부를 해야겠다 마음 먹지만 무의식은 아직 그것을 허용할 생각이 없는 듯 하다.
나는 여전히 인문, 특히 읽기와 관련된 강의에 관심이 많다.

읽기의 매력이 어디에 있는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주역 독해’와 ‘옛 그림 읽기’ 수강 신청을 했다.

시도 그렇고 인문서도 그렇고 어려운 것은 여러 이유가 있지만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주역을 읽으면 기미(幾微: 느낌으로 알아차릴 수 있는, 일이나 상황의 되어 가는 형편)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또는 기미를 알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주역 독해 강의를 신청했다.

물론 아직 나는 주역의 이분법 즉 철학(哲學)인가 점(占)인가의 논의에 진입할 마음이 없다.

내가 주역에 관심을 두는 것은 이야기거리를 얻기 위해서이다.

허수경 시인의 시집 ‘혼자 가는 먼집’을 소축(小畜: ☴☰: 손(巽)괘가 위에, 건(乾)괘가 아래에 위치)과 이(颐: ☶☳: 간(艮)괘가 위에, 진(震)괘가 아래에 위치) 괘로 풀어듯.(소축은 무엇인가 흘러 나가는 것을 경계할 것을 가르치는 괘, 이는 뜻하는 바를 하루 아침에 이룰 수 없으니 묵묵히 은인자중 할 것을 가르치는 괘이다.)

올 초 소리 소문 없이 나온 한정희, 최경현의 ‘사상으로 읽는 동아시아의 미술’도 읽는다는 말이 들어간다.

작년 이즈음 타계한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벤투의 스케치북’란 책에서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계산할 수 없는 목적지에 이를 때까지 그것과 동행하기 위해 그림을 그린다는 말을 했다.(15, 17, 20 페이지)

존 버거가 수행했던 일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는 소설가였고 평론가였고 미술(비평)가였다.

그는 불분명한 것을 구체화하기 위해 그리거나 읽고 썼다. 하지만 그림에 전혀 재능이 없는 나는 오직 읽고 쓰는 일에 매달릴 수 밖에 없다.

주역도 독해하고 그림도 독해해야 한다. 보는 법을 배운다는 릴케의 말(‘말테의 수기‘에서)은 내게 와서 읽는 법을 배운다는 말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 - 나희덕이 읽은 우리 시
나희덕 지음 / 창비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와 관련해 최근 의미 있는 두 가지 발언을 접했다. 한 발언은 논문 지침서에서 발()해진 것으로 그 책은 순전히 저자 자신의 경험으로 쓴 책이라는 말이다. 다른 발언은 역사 소설 창작 지침서에서 발()해진 것으로 어떤 일에 성공한 사람에게 그 과정을 설명하라고 하면 잘 설명하지 못하고 그냥 어떻게 하다보니까 되었다는 식으로 얼버무리는 반면 실패한 사람들은 말이 많다는 말이다.

 

두 발언은 좋은 지침서의 가치를 강조하는 말인 듯 하다. 따지고 보면 내가 쓴 많은 서평도 논문 지침서의 저자처럼 실패하고 좌절하는 과정을 거친 결과이다. 역사 소설 지침서의 저자는 무엇인가를 가르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임을 말하는 것 같다. 성공한 사람은 잘 말하지 못하고 많은 실패를 거쳐 성공한 사람들은 발언 기회를 얻기 어려울 것 같기 때문이다.

 

나희덕 시인의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를 읽으며 수필 형식의 시비평집이 내게는 생소하다는 생각을 했다. 시인일 뿐 문학비평가라는 자의식을 가지지 않았었는데 한국 문학비평가들이 시를 너무나 읽을 줄 몰라 시 비평을 썼다는 논자(김정란 교수 지음 비어 있는 중심’ 6 페이지)가 있지만 나희덕 시인은 거의 동시에 자신의 속에서 싹트기 시작한 두(시인으로서의 정체성, 비평가로서의 정체성) 갈망이 그 후로 오래도록 서로를 먹여살렸다고 말한다.

 

표제작이기도 한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보랏빛의 균형감각이 필요하다는 의미가 담긴 글이다. 표면적으로 그것은 빨강과 파랑 사이에서 균형 감각을 갖겠다는 의미이지만 시와 시 비평, 읽기와 쓰기, 사유와 실천 사이에서의 그것도 포함되는 것이 아닐지?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첫 단원인 낡은 구두와 <낡은 구두>’에서 시인은 1994년 문익환 목사님의 부음을 실마리로 구두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며 하이데거 및 미당(未堂) 등에 대한 구두론을 펼친다. 백석과 서정주 시인의 고향론을 펼친 고향, 잃어버린 종소리에서 저자는 모든 인간은 방랑자인 동시에 거주자라는 볼노(L. F Bollnow)의 말을 인용한다.(38 페이지) 이 역시 보랏빛 이야기로 수렴하는 듯 하다.

 

탄생의 순간을 포착하는 시론에서 저자는 시가 태어나는 순간을 논리적인 언어로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것이라 말한다. 앞서 말한 역사 소설 지침서의 저자의 말을 연상하게 하지만 소설과 시는 다를 것이다.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에서 보랏빛을 역동적인 색으로 정의(59 페이지)한 저자는 그에 맞게(?) “정교한 방법론이나 비평적 테마를 제시해주는 시론보다 또하나의 시적 창조를 추동할 수 있는 맹아적 힘을 가진 시론들에 더 손이 간다.”는 말을 한다.(42 페이지)

 

역동(力動)의 동()과 추동(推動)의 동()이 같은 글자임을 유의하자. “가장 심각한 나의 우둔 속에서/ 새로운 목표는 이미 나타나고 있었다.”는 김수영 시인의 영롱한 목표의 일부를 인용하며 첨단의 노래와 정지의 미의 관계를 이야기(55 페이지)했던 저자는 장석남 시인과의 대담에서 침묵이란 그 속에 활발한 운동성을 지니고 있고 그래서 어떻게 보면 비어 있는 것 같지만 꽉 차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한다.(71 페이지)

 

활발한 운동성을 역동성이란 말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의외로 자신은 의미를 많이 남겨야 시의 꼴이 이루어진다는 말을 한다.(78 페이지.. 이 말에 이어 저자는 장석남 시인은 의미를 자꾸 배제하면서도 시가 된다고 말한다.) 저자는 자신의 초기 시는 체험 자체의 진정성만 있다면 시가 될 수 있다는 순진한 믿음 때문에 언어적으로 상당히 이완되어 있었다고 말한다.(79 페이지)

 

자연은 어떻게 풍경이 되는가에서 바다에 대한 흥미로운 글을 접할 수 있다. 우리나라 시에서 바다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김기림, 임화, 이용악, 정지용 등의 바다 시편들에 와서이다. 이들은 일본 유학을 다녀오면서 경험한 현해탄이라는 구체적 바다를 근거로 바다에 대한 시를 썼다.

 

자연은 어떻게 풍경이 되는가에서 저자는 회화나 문학에서 인간의 생각과 감정이 완전히 배제된 중립적인 공간이라는 게 과연 존재할 수 있을까 묻고(95 페이지) 같은 풍경을 보고도 그것을 느끼고 표현하는 바가 각각 다른 것은 대상에 대한 심미적 인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하며(96 페이지) “풍경이란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 실체가 아니라 보는 주체에 의해 선택된 심미적 인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고 말한다.(96 페이지)

 

자연은 어떻게 풍경이 되는가는 시와 그림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일례로 김소월 시인의 산유화에 나오는 저만치라는 시어를 예로 들어 저자는 그것을 새로운 시선과 원근법적 구도로 본다.(101 페이지) ‘자연은 어떻게 풍경이 되는가는 상당히 깊이 있고 정밀한 시선에 의해 쓰여진 시론이다.

 

'생태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 그리고 시'란 챕터는 시와 생태, 여성적인 것의 친밀성을 탐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는 자연에서 생명의 광휘가 사라진 것과 예술작품에서 아우라가 사라진 것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125 페이지) 저자는 시를 사물과 함께 호흡함으로써 1회적인 아우라를 포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많이 남겨져 있는 영역으로 본다.(126 페이지)

 

저자는 시에 있어서 생태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의 만남은 순전히 이념적 결합만으로는 안 되고 시인의 몸 자체가 생태적 공간이 될 때라야 비로소 가능해진다고 본다.(130 페이지) 저자는 다양성을 생태적인 것으로 본다.(136 페이지) '창조, 거대한 뿌리의 발견'에서 우리는 김수영 시인이 어떻게 선배 시인들 또는 전통에 대해 의도적 오독을 했고 또 그런 과정을 거쳐 자기 시 세계를 구축했는지 접할 수 있다.

 

저자는 김수영 시인의 독자적 시 세계 구축의 동력을 내적인 면과 외적인 면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김지하 시인론인 '불귀(不歸)와 미귀(未歸)의 거리'에서 추상적인 것과 구체적인 것은 원래부터 구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현실과 문화적 맥락 속에 놓이느냐에 따라 추상적이 되기도 하고 구체적이 되기도 한다(176, 177 페이지)고 말한 저자는 김지하 시인의 '황토'를 고도로 추상적인 시가 강렬한 정치적 무기가 될 수 있었던 사례로 꼽는다. 저자는 불귀와 미귀의 문학적 차이를 논한다.

 

고정희론(‘시대의 염의(殮衣)를 마름질하는 손’)에서 저자는 고정희 시인을 기독교, 민중, 여성이라는 커다란 화두들을 자신의 내면 속에서 하나로 녹여내려고 했던 용광로 같은 시원(始原)이었다고 풀이한다.(222 페이지)

 

김혜순론(‘다성적 공간으로서의 몸’)에서 저자는 김혜순의 시에 나타난 다성적 특징을 다성성이라는 개념의 비평적 발원이기도 한 바흐친의 미학 이론과의 접점들을 통해 해명해 보였다. 저자는 문학이론의 현재적 의미는 언어적인 경계는 물론이고 시대나 장르의 차이를 넘어서 그 대화적 가능성을 발휘할 때 생겨나기 마련이라는 말을 한다.(220 페이지) 이는 바흐친의 미학이론은 도스토예프스키나 라블레 등의 작품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소실미학에 가깝고 그 이론으로 해명하려는 김혜순의 작품은 시임을 염두에 둔 말이다.

 

저자의 글은 김혜순 시론에 이어 장정일의 초기 시론, 김기택의 시론, 최두석 시집 꽃에게 길을 묻는다평론, 이홍섭 시집 숨결평론 등으로 이어진다.

 

보랏빛을 어디에서 오는가를 읽으며 느낀 것은 저자의 시 읽기 내공이 상당히 탄탄하다는 점이다. 치밀하고 어떤 때는 어려워 난감함을 갖게도 한다. 전체적으로 안정되고 생각이 깊다는 느낌이 든다. 마지막 순서인 장철문 시집 바람의 서쪽평론까지 저자의 글은 고르게 안정적이다.

 

김정란 시인이 말한 재단이 아닌 소통(疏通)의 글쓰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마지막 부분에서 저자는 선()은 삶의 집착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식이고 시()는 삶의 무게를 끝까지 끌어안고 짊어지는 방식이라 말한다.(314 페이지) 저자가 바라보는 장철문 시인은 전기한 두 방식을 함께 지니고 가는 존재이다. 밝힐 수 없지만 김수영 시인에 대한 저자의 두 가지의 해석이 꽤 설득력 있다는 생각을 했다.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