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학에서 말하는 층(formation)은 다른 것과 위, 아래로 구별되며 일정 규모 이상이어서 지질도에 표시되는 암석의 집합체를 말한다. 층을 영어 자판으로 치면 cmd가 된다. catholic medical center도 cmd로 줄여 쓴다. 일부러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실수로 그렇게 된 것이다.

 

연천의 주요 층은 미산층, 궁평층, 백의리층, 대광리층 등이다. 2008년 완성된 지질도를 통해 알 수 있다. 2008년은 가장 늦은 해다. 비무장지대와 맞닿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억(億)이란 숫자를 어디서 들었을까?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멸종 이야기에서. 그리고 분리된 상태였던 한반도가 2억년 전에 충돌해 하나가 되었다는 말에서. 연천에서 각섬암과 석류석이 발견되는 것은 대륙 충돌의 한 증거. 각섬석은 각섬암의 구성 광물. 모(某) 사이트에서 각섬암 속의 석류석이란 말과 각섬석 화강암이란 말을 만났다. 정확한 용례다. 그나저나 상당한 흥미를 자극하는 곳이 연천이다. 주먹도끼, 물거미, 용암강, 석류석과 남정석과 각섬암 등으로 인해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충남 소재 한 대학의 지질학과 학생들과 교수분들께 연천 해설을 하게 되었다. 차원이 다른 순간을 맞은 셈이다. 코스는 선사박물관, 은대리 습곡구조, 좌상바위, 백의리층 등이다. 선사박물관은 ”우리 영역이 아니기에 어렵지 않냐?“고 말하는 사람이 있지만 나에게는 가장 쉬운 부분이다. 은대리 습곡구조와 좌상바위는 생소한 지점이어서 어렵다.

 

그 분들은 지질 전문 내용을 들으려고 오는 것이기보다 연천 이야기, 전문 교수들이 하는 강의와는 다른 해설사만의 스킬, 문화, 역사, 생태, 기후 등과 연관되는 지질 이야기를 들으려고 오는 것일 테다. 전공자들 앞에서 해설을 하기에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전공자들이라고 다 알 수는 없으리라 생각하고 담담히 해야 하지만 흐름과 내용에 대해서는 고민을 해야 한다.

 

연천이 추가령 구조곡과 북(北) 강원 평강 오리산을 빼놓고 말할 수 없듯 공주도 그에 해당하는 지질 정보와 이력이 있을 것이다. ‘화강암의 차별침식이 만든 자연성릉 : 계룡산(845.1m)‘이란 제목이 눈에 띈다. 계룡산은 공주에 주로 속해 있는 산이다. 공주 지역의 주요 기반암은 쥐라기 말 대보조산운동에 의해 형성된 화강암과 이를 관입한 백악기의 화성암류다.

 

대보조산운동은 약 1억 8천만년 전 ~ 1억 2천만년 전인 쥐라기 초기에서 백악기 초기 사이에 일어난 한반도 지질사상 가장 격렬했던 대규모 조산 운동이다. 이름은 일제강점기인 1927년 일본인 지질학자가 평안남도 대동군 대보면에 위치한 대보탄전에서 큰 충상단층을 발견하고 이의 원인을 대보 충동이라 명명한 데에서 유래했다.

 

장순근 교수는 대보조산운동에 의해 나타난 대보 화강암을 경상남북도를 제외한 한반도 남쪽 전체에 북동-남서 방향의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모습을 드러낸 암석으로 정의한다.(’우리 땅 바위와 화석‘ 95 페이지) 연천을 흐르는 임진강의 발원지인 마식령산맥이 대보조산운동의 결과 생긴 습곡구조(褶曲構造)다. 흥미롭게도 공주에 연천봉이 있다. 우리 고을은 잔 물결 연(漣)과 내 천(川)을 쓰지만 공주 연천봉은 이을 연(連)과 하늘 천(天)을 쓴다는 차이가 있다. 이제 시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연과학 특히 지구과학 또는 지질에 집중하다가 잠시 쉴 기회를 얻은 것 같다. 某 출판사로부터 내 주요 관심사와 전혀 다른 분야의 책이 도착했다. 서평을 써야 하는 책이다. '심리학이 조조에게 말하다'. 중국 역사와 심리학의 만남이랄 수 있는 책이다. 심리학으로 삼국지를 재해석한 첫 시도의 책이라고 한다. 심리(心理)라는 말이 오늘의 주제어다.

 

마음의 결이라는 의미의 이 말에서 내가 할 말은 심리학이란 마음의 무늬를 다루는 분야가 아니라 갈라진 마음을 논하는 학문이란 말이다. 갈라졌다는 말은 아프고 상처 입었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쉴 사이 없이 요동하고 분열한다는 뜻이다. 본문에 의하면 유비는 울컥하는 심정을 잘 다스린 사람이다. 울이 鬱은 아니지만 내게는 그늘 즉 얼룩으로 보인다. 얼룩은 마음의 아픈 결이다. 이 책으로 일전(一轉)의 기회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년(停年) 후 명예교수로 있는 분께 지질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메일 주소는 그 분의 책을 출간한 출판사에 문의해 알았습니다. 지구과학을 전공하신 이 분은 제 질문에 친절히 답해주고 계십니다. 며칠 전 두 번째 질문에 답하시면서는 연천의 은대리 판상절리와 임진강 주상절리를 연필 스케치한 그림을 보내주셨습니다.

 

그림을 잘 그리지는 못하지만 노두를 직접 탐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론 공부도 중요하고 관찰도 중요하고 상상력 함양도 중요하지요. 그래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를 것입니다. 한 교육학자가 자신만의 컬러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창의성이라 정의한 것이 생각납니다. 보리스 카스텔과 세르지오 시스몬드의 '과학은 예술이다'란 책을 다시 읽고 싶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