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소재 한 대학의 지질학과 학생들과 교수분들께 연천 해설을 하게 되었다. 차원이 다른 순간을 맞은 셈이다. 코스는 선사박물관, 은대리 습곡구조, 좌상바위, 백의리층 등이다. 선사박물관은 ”우리 영역이 아니기에 어렵지 않냐?“고 말하는 사람이 있지만 나에게는 가장 쉬운 부분이다. 은대리 습곡구조와 좌상바위는 생소한 지점이어서 어렵다.

 

그 분들은 지질 전문 내용을 들으려고 오는 것이기보다 연천 이야기, 전문 교수들이 하는 강의와는 다른 해설사만의 스킬, 문화, 역사, 생태, 기후 등과 연관되는 지질 이야기를 들으려고 오는 것일 테다. 전공자들 앞에서 해설을 하기에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전공자들이라고 다 알 수는 없으리라 생각하고 담담히 해야 하지만 흐름과 내용에 대해서는 고민을 해야 한다.

 

연천이 추가령 구조곡과 북(北) 강원 평강 오리산을 빼놓고 말할 수 없듯 공주도 그에 해당하는 지질 정보와 이력이 있을 것이다. ‘화강암의 차별침식이 만든 자연성릉 : 계룡산(845.1m)‘이란 제목이 눈에 띈다. 계룡산은 공주에 주로 속해 있는 산이다. 공주 지역의 주요 기반암은 쥐라기 말 대보조산운동에 의해 형성된 화강암과 이를 관입한 백악기의 화성암류다.

 

대보조산운동은 약 1억 8천만년 전 ~ 1억 2천만년 전인 쥐라기 초기에서 백악기 초기 사이에 일어난 한반도 지질사상 가장 격렬했던 대규모 조산 운동이다. 이름은 일제강점기인 1927년 일본인 지질학자가 평안남도 대동군 대보면에 위치한 대보탄전에서 큰 충상단층을 발견하고 이의 원인을 대보 충동이라 명명한 데에서 유래했다.

 

장순근 교수는 대보조산운동에 의해 나타난 대보 화강암을 경상남북도를 제외한 한반도 남쪽 전체에 북동-남서 방향의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모습을 드러낸 암석으로 정의한다.(’우리 땅 바위와 화석‘ 95 페이지) 연천을 흐르는 임진강의 발원지인 마식령산맥이 대보조산운동의 결과 생긴 습곡구조(褶曲構造)다. 흥미롭게도 공주에 연천봉이 있다. 우리 고을은 잔 물결 연(漣)과 내 천(川)을 쓰지만 공주 연천봉은 이을 연(連)과 하늘 천(天)을 쓴다는 차이가 있다. 이제 시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