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일하기를 원한다면 젊은 세대가 기피하는 노동과 직무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 한다. 과거 익숙했던 일만 찾을것이 아니라, 낯설고 또 보수가 적은 직업이라도 기꺼이 맡아 일과 삶의 의미를 추구하려는 적극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갖춰야 한다. 미래세대에 압력을 가하는 게 아니라 협력하고 공존하려는진정성이 바탕에 깔려야 한다.
한국 노인이 더 일하고 싶어 하는 데에는 ‘폐 끼치고 싶지 않다‘ 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한다. 누군가에게 의지하려는 관성에서 탈피해, 사회 · 경제 · 문화적으로 독립적인 삶, 스스로를 책임지려는 ‘액티브 시니어‘는 이제 노년문화의 대표명사가 되었다. 여기에 더해 수명 증가로 인해 필수 생애주기가 연장되고, 경제 욕구는 커졌지만 대부분 하우스푸어인 현실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청년에겐 지옥, 은퇴자에게 천국‘으로 알려진 이탈리아는 복지지출의 60% 이상을 노인 복지에 쓰고 있는 나라이다. 극심한세대 간 갈등을 경험한 대표적 사례로 언급된다. 복지예산 대부분을 고령층에 집중한 탓에, 청년과 일반 시민에 대한 복지예산은타 유럽 국가들에 비해 형편없이 낮은 수준이다. 청년 실업률이 30%에 육박하고, 희망을 잃어버린 수만 명의 젊은이들이 매년 이탈리아를 떠나고 있지만, 복지 의존도를 줄여 미래세대의짐을 덜어줘야 한다는 생각은 기성세대로부터 외면받는 실정이다
청소 하나만 봐도 세대 간 인식 차이는 이토록 크다. 청소를 교육의 일환이라고 생각하는 기성세대와 청소는 당연히 누군가가해주는 것인 줄 알고 자라온 세대 사이에는 낯설고 익숙지 않은것들로 가득하다. 마음을 열고 이해해 보라는데, 참 말처럼 쉽지가 않다. 젊은 세대에게 어른들과의 관계는 마치 청소 같은 느낌을 준다. 꼭 해야만 하나 싶은, 누가 대신해 줬으면 하는, 거의 경험이 전무한 새로운 활동을 수행해야하는 상황과 비슷하다.
가까이 하고 싶은 어른, 멀리하고 싶은 어른은 분명 따로 존재한다. 종종 학생들과 대화하다 보면, 기본적으로 ‘따라하고 싶다‘, ‘나도 저렇게 되고 싶다‘라는 끌림을 주는 어른이 따로 있다는 걸알 수 있다. 그들이 말하는 따르고 싶은 ‘멋진 어른‘에는 두 가지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우선 일적으로는 자신의 직업을 충실하고훌륭하게 해내는 ‘본업 천재‘이다. 그리고 사적으로는 섣부른 조언을 하지 않는다. 후배나 나이 어린 사람이 먼저 물어보지 않는이상 조언하거나 가르치려 들지 않는다. 자기 분야에서 확실한한 획을 그은 사람이면서 아무리 나이 차이가 나더라도 간섭 혹은지적 없이 온전히 존중해 주는 사람이 ‘멋진 어른‘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구글은 2006년부터 실패한 서비스의 비석을 한곳에 모아 전시하는 ‘구글 공동묘지‘를 공개했다. 구글은 직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에 나설 수 있게끔, ‘20% 규칙‘을 운영해 왔다. 일터에서 주어진 시간 중 20%를 자신이 하고 싶은 프로젝트에 몰입하게 함으로써, 창의적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궁극적으로 혁신적인 제품이 개발될 수 있도록 유도한 것이다. 전 세계인의 이메일 표준이 된 Gmail도 이렇게 탄생했다고 한다. 실리콘벨리에는 매년 10월에 창업자들이 실패담을 공유하는 실패 콘퍼런스(Fail Con)가 열린다.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Elon Reeve Musk)는 ‘무언가 실패하고 있지 않다면 충분히 혁신하고 있지 않다‘라는 말로 실패와 혁신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했다. 아마존 CEO 제프 베이조스(JeffreyPreston Bezos)는 아마존을 ‘실패를 발명하는 회사‘라고 칭하며 실패를 대규모 혁신을 위한 필수적인 부분으로 바라보는 조직문화를 장려한 리더로 손꼽힌다
흥미롭게도 ‘쌤‘ 호칭과 ‘말 놓기‘ 관행 간에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나이에 대한 저항‘이다. 오랫동안 우리 사회에 질서를 부여한 것은 나이였다. 나이로 위계를 만들고 관계의 질서정연함을유지했다. 사람들은 나이를 앞세운 이 질서정연함을 신뢰했고, 그 결과 대한민국은 서열주의 사회가 되어버렸다. 한두 살 차이에서도 강력하게 작동한 것이 나이라는 문법이었다.
나와 가까운 곳에 있지는 않더라도 공통 관심사 하나만으로도쉽게 결속할 수 있다는 점이 팬덤의 주요 특징이다. SNS를 비롯한 온라인 매체의 발달이 팬덤 결속감을 더욱 키우고 있다. 하나의 야구팀을 응원하기 위해 전국의 야구팬들이 한데 모이거나, 아이돌을 응원하기 위해 전국의 팬들이 집결하는 현상은 이들 모두가 실제로 만난 적은 없지만 공통적인 관심사가 있다는 것만으로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고 또 친구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