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 가면 가정집에 있어야 할 냉장고가 길거리에 놓인 것을 볼수있다. 안에는 각종 채소를 비롯해 먹을거리가 가득 채워져 있다. 누군가가 음식물을 넣어두면 필요한 사람이 언제든 가져갈 수 있도록 설치된 ‘나눔 냉장고‘다. 독일 전역에 백여 개가 있다.
확실한 것은 이런 현상이 몇몇 착한 사람들만의 선행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풍족한 사람들이 여유를 부리며 하는 행동도 아니다. 지극히평범한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일상의 풍경이다.

그리스에는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아도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카페가 있다. 커피를 마시러 온 손님들이 종종 자신이 마신 커피값 외에 한잔 값을 더 지불하곤 한다. 이른바 ‘서스펜디드 커피(Suspended coffee)‘다.
커피를 사 마실 돈이 없는 노숙자나 실직자 등 가난한 이웃을 위해 미리 돈을 내고 ‘맡겨두는 커피‘다.
누군가를 위해 서스펜디드 커피값을 지불한사람은 그 증표로 ‘힘내세요‘와 같은 응원의 쪽지를 남겨둔다. 그러면 커피를 마시고 싶은 사람이 그 쪽지를 구매권처럼 사용할 수 있다.
처음에 네 곳으로 시작한 서스펜디드 카페는 이제 그리스 전역에 걸쳐 백여 개가 넘는다. 그리스에서 처음으로 서스펜디드 카페 운동을시작했던 알레판티스 씨조차도 서스펜디드 카페가 이토록 급속도로

한편 기발하고 재미난 방식의 기부도 있다. 재미(fun)와 기부(donation)를 합친 퍼네이션(funation)이라는 새로운 용어까지 등장했다. 기부시계로 유명한 ‘원페이스워치‘는 시계를 사면 그 수익금이 자동으로 자선단체에 기부된다. 재미있는 것은 시계 색깔에 따라 기부 대상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덕분에 시계 색깔을 고르는 것이 소비자에게 특별한의미를 준다. 에이즈 환자를 위해서는 빨간 시계를 유방암 환자를 위해서는 분홍 시계를, 굶주린 아이들을 위해서는 흰색 시계를 사면 된다. 시계의 색깔은 총 아홉 개로, 각 자선단체의 공헌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을 존중한다는 뜻이다. 힌두교나 불교에서는 수인(手印)을맺는 손동작을 무드라(Mudra)라고 한다. 불상을 보면 부처님이 여러 가지 손동작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게 무드라다. 두 손을 모으는 합장은 무드라 중에서도 가장 쉽고기본적인 동작이다. 손바닥이 만나는 순간에 좋아하는 것과싫어하는 것이 사라지고, 평화가 온다는 의미다. 요가에서가장 쉬운 동작의 이름이 나마스테인 이유와도 통한다. 모든사람이 다치지 않게끔 하자는 의미다. 나뿐만이 아니라 옆에있는 사람들도 챙기자는 것이다.

나마스테 동작은 간단하다. 정석 인사법은 이렇다. 상대와1미터 정도 거리를 둔다. 두 손을 모은다. 45도 정도 허리를구부리며 "나마스테."라고 말한다. 이게 다다. 다만 반드시서서 해야 한다. 손을 합치는 건 당신을 공격할 의도가 없다는 의미다. 또한 손을 합치면 에너지가 배출되는데, 그 에너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한다는 의도를 담은 동작이다. 말을 하지 않고 손동작만 해도 나마스테로 여기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은, 외딴섬처럼 떨어져 있던 타인과하나로 연결되는 느낌
아닐까요?
나로만 살던 내가 다른 사람이 느끼는 고통과 기쁨을똑같이 느낄 수 있게 되는 거요."

딸이 입을 뗀 서두가 영광의 흥미를 확 끌어당겼다. 딸의 말에따르면 작정하고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인지 과부하가 걸릴 확률이높다고 했다. 인간이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정해져 있는데 그것보다 정보의 양이 많아지면 문제가 생긴단다. 그걸 인지 과부하라고 한단다. 진실을 말하는 사람은 큰 고민을 하지 않고 상대에게 말을 하므로 인지적인 처리가 거의 필요치 않다. 그에 비해 거짓말을하는 사람은 머리를 써야 하기 때문에 과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다.
거짓말을 들키지 않으려고 말과 행동, 표정과 눈을 통제해야 하고거짓말하는 과정에서 누수가 되지 않게 하려고 과하게 두뇌를 회전시켜야 한다. 거짓말하는 사람은 대체로 세부 사항이 모호하고 빈번하게 일시 중단 상태가 된다. 이때 ‘음‘이나 ‘어‘ 같은 애매한 신음을 연발하는 특징을 보인단다. 또한 시간을 벌기 위해 뒤로 기대는자세도 취한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땅속에 뿌리를 박고 하늘에 가지를 걸치고 있는 나무,
그것은 별과 우리 사이를 잇는 길이다."
_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Antoine Marie-Roger de Saint-Exupér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을 바꾸기로 했어. 내가 하는 연구가 사람들에게 작은복감을 줄 수도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거든. 물론 너희 엄마가나를 설득했지. 어떤 사람이 사랑을 시작했다고 하자. 승규를 좋아하는 너처럼 말이다. 승규가 내가 연구한 이 물질을 먹고, 너를 더사랑하게 될 수도 있지 않겠니? 단지 육체적으로 원하는 것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너를 사랑한다면 너로서는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한 일이 아니겠니?"

"지금껏 네가 해왔던 일을 하면 되는 거야. 음악으로 사람의 마음을 보듬어주는 일. 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일 또한 내가 연구해온 물질 자체가 가진 속성이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