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는 테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이렇게 썼다. 등불 아래 감자를 먹는 사람들이 접시를 향해 뻗은 손은 바로 그들이 밭을 갈아 감자를 캐내던 바로 그 손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어.
"온몸을 움직여 아침부터 저녁까지 밭을 갈아야만 키우고 캐낼 수 있는 감자와 차 한잔을먹는 것이 인생에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낙이라 여기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소박한 기쁨, 자신 또한 배가 고플 텐데 다른 가족에게 하나라도더 먹으라며 감자를 내미는 안타까운 손들, 삶을 지키는 가치는 바로그런 것이라고 웅변하는 듯한 이 그림을 볼 때마다 새로운 용기가 샘솟는다.
삶을 지켜주는 것은 이런 것들이지, 나는 그동안 너무 많은 욕심을 부리며 살아오지 않았나 생각했다.
내 손은 저 감자 먹는 사람들의거칠고 메마른 손에 비하면 너무 게으르고 매끄럽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들을 청 자는 귀 이, 임금 왕, 열 십, 눈 목, 한 일 , 마음 심으로구성되어 있다. 어진 임금의 가장 큰 덕목은 큰 귀와 밝은 눈으로 신하들의 말과 몸짓을 잘 듣고 살펴서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데 있다는 의미다. 이 덕목을 가장 잘 실천한 임금이 세종이었다.
취임 후 세종의 첫일성은 "과인이 이르노니"가 아니라
"경들의 말을 듣겠다" 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더가 무위해야
일을 맡은 사람이 책임감을 느낀다".
- 장자 ‘천도’ 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팀장 세종은 시간 관리에도 능했다. 시간은 임금인 세종 자신의 것이 아니라 백성들의 것이라 생각해 촌음의 시간도 허투루 쓰지 않았다.

천년의 세월도 일각의 어긋남 없음에서 비롯되고,
모든 공적의 빛남은 촌음을 헛되게 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다.
- 재위 16년 7월 1일의 《세종실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부 신하들이 세종에게 인사 문제는 무엇보다 중요하니 인사 담당자에 이인하지 말고 직접 챙겨야 한다고 건의하자 허조는 이렇게 말한다.
"일을 맡겼으면 의심하지 말고,
의심이 가면 맡기지 말아야 합니다.
저하께서 대신을 선택해 육조의 수장으로 삼으신 이상 책임을 지워 성취 하도록 하는 게 마땅하며, 몸소 자잘한 일에 관여해 신하의 할 일까지 하시려고 해서는 아니 됩니다."
세종은 허조의 손을 들어주었다. 무위의 리더십을 선택한 세종은 조선왕조 최고의 군주로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