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직영정품]아이오페 레티젠 모이스춰 트윈케익 SPF25/PA++ 14g - 111134027-21호
아모레퍼시픽[직배송]
평점 :
단종


커버력이 부족해서 피부가 깨끗한 분들에게 적당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도에 없는 마을 - 제16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대상작 창비아동문고 267
최양선 지음, 오정택 그림 / 창비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량 소비 사회에 대한 비판이 깃든 내용인데 아이들을 책 속으로 끌어들이는 힘은 부족해 보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4-11 20: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소나무집 2012-04-13 09:10   좋아요 0 | URL
그랬군요.

희망찬샘 2012-06-05 0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보다 뭔가 부족해보인다는 평을 먼저 접해서 (몇 번 그런 지적을 하신 분들을 뵈었거든요.) 책은 사 두었는데 썩 책이 손에 안 잡히네요.

소나무집 2012-06-05 08:54   좋아요 0 | URL
정말 별로였어요. 아이들은 교훈보다는 재미가 있어야 책을 손에 드는데 재미도 없고 교훈도 쌈박하게 주는 것도 아니고 그렇더라구요.
 
어쩌다 중학생 같은 걸 하고 있을까 VivaVivo (비바비보) 14
쿠로노 신이치 지음, 장은선 옮김 / 뜨인돌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2 딸이 이 책을 읽고 나니 할 말이 너무 많다고 하네요. 요즘 우리 중학생들의 마음이, 모습이 바로 이렇구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4-13 10: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희망찬샘 2012-06-05 0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이 정말 재미있네요.

소나무집 2012-06-05 08:57   좋아요 0 | URL
요즘 중딩 아이들의 세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어요. 희망찬샘님도 6학년 담임이니까 읽어보면 도움이 되실 것 같은 책이에요. 왕따의 과정과 극복, 그후 이야기까지 잼있게 읽었어요.

희망찬샘 2012-06-05 10:19   좋아요 0 | URL
꼬옥 한 번 읽어봐야겠네요.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3 - 태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3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3권 태종실록(왕권을 세우다)은 태종 이방원이 왕권을 강화하고 세종을 임금으로 세우는 순간까지의 이야기다. 역시 아버지와 동생과 형을 끌어내리고 왕이 된 태종은 노련한 정치가였다. 시작은 비록 정통성 문제로 오금이 저려 아버지와 백성의 눈치를 봤지만 왕권을 강화해 나가는 솜씨가 아버지보다 한수 위다. 자신을 몰아낸 아들에 대한 반항심으로 똘똘 뭉쳐 가출을 일삼던 이성계를 순순히 무릎 꿇리는 장면을 보면서 이젠 시대의 흐름이 이방원 편으로 돌아섰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방원은 왕권 강화를 위해 외척과 아버지 시대의 사람들을 확실히 제거해 버린다. 강한 임금이 되고 싶으니까 너무 까불지 말라는 얘기. 가장 큰 희생양은 왕비인 민씨 집안 형제들이었다. 태종이 외척에 대해 유독 민감했던 것은 아버지 이성계의 둘째부인 신덕왕후, 즉 막내 방석을 세자로 내세워 자신을 물먹인 새어머니에 대한 한도 작용했다. 

 

그래서 자신을 왕으로 만든 내조가 큰데도 태종은 원경왕후를 견제하기 위해 속을 뒤집는 일만 일삼았다. 원경왕후는 조선의 안주인이 되어서도 정치적으로만 머리가 획획 돌아가는 남편 덕분에 늘 홧병에 시달리며 살아야 했다. 왕비지만 가까이하기엔 너무 위험한 사람이다 이거였겠지? 거기다가 세종을 왕으로 앉혀놓고 세종의 장인까지 민첩하게 제거했으니 외척의 발호는 꿈도 꾸지 못하는 시대로 만들었다.  

 

태종은 제거할 사람의 순위를 정할 때 나이를 아주 중요하게 생각했다. 똑같은 공신 중에 죄가 좀 있어도 하륜처럼 나이가 많으면 뭐 그쯤이야, 황천길 갈 날이 멀지 않았는데... 하면서 넘어갔지만 이숙번처럼 나이가 젊어서 언제든 일을 도모할 여지가 보이면 가차없이 팽해버렸다.  

 

태종은 핵심 인사로 역성 혁명에 반대한 인물들을 기용해서 과거 제도를 개혁하고 관료 제도도 유교 정치에 맞게 개편한 현실주의자였다. 니편 내편 가르기 좋아하는 요즘 정치인들이 태종의 이런 점은 본받았으면 좋겠다. 임금에게 "아니 되옵니다"라고 직언할 수 있는 언관 제도를 마련한 것도 태종이다. 그리고 모든 정책 결정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 후세의 평가를 두려워하도록 했으니 이는 오늘날 대부분의 대통령이 기록을 거의 남기지 않는 것과는 대조적. 좋은 평가 받고 싶으면 떳떳하게 기록에 남길 수 있는 정치를 하면 될 것을...

 

뭐니뭐해도 태종 이방원의 가장 큰 업적은 우리 역사에 길이 남을 세종을 왕으로 앉힌 것이다. 큰아들이 왕위를 이어야 한다는 정통성 때문에 무지하게 고민하고 갈등을 하면서도 결국 양녕을 폐세자하고 충녕으로 세자를 전격 교체한 후 두 달여 만에 왕좌에 앉혀놓는 결단성은 역시 정치 10단만이 보여줄 수 있는 솜씨다. 그 과정에서 보이는 양녕대군과 충녕대군의 권력을 탐하는 묘한 신경전도 재미있다. 

 

피를 뿌리며 거머쥔 정권이었지만 물러설 때가 언제인가를 알아차리고 떠난 정치인이기에 후대에 후한 평가를 받는 것 같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3-24 0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24 18: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26 20: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 태조.정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2권 태조, 정종실록(정도전의 개혁과 왕자의 난)에서는 이성계가 왕으로 등극하고 조선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그 과정에서 큰 실수가 하나 있었으니 첫째부인 한씨의 장성한 아들을 다섯이나 놔두고 둘째부인 현비의 막내아들 방석을 세자로 앉힌 것이다. 그로 인해 두 번씩이나 왕자의 난을 겪게 된다. 권력을 쥐기 위해 형제를 단칼에 베어버리는 무정함에 등골이 오싹해지긴 하지만 역사책을 읽는 500년 후 독자의 입장에서는 그 살벌한 과정이 흥미진진했다.

 

골칫거리가 될 수도 있는 고려 왕조의 왕씨들을 은근슬쩍 몰살시키는 모습이나 재상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고려의 기운이 서려 있는 개경을 버리고 한양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보면 이성계는 역시 혁명가 기질을 타고난 리더였구나 싶다. 이렇게 이성계와 정도전이 풀어나가는 조선의 시작은 기운차게 착착 진행이 되는 듯하다. 드디어 왕씨에서 이씨 천하로 진입~

 

이성계를 통해 새로운 나라를 설계해 보려고 했던 정도전과 중앙 정계에 진출하고 싶어 안달을 하던 하륜의 대립도 볼 만하다. 결국 정도전은 이방원에게 힘을 실어주려는 하륜의 꼼수 때문에 개혁된 조선의 밑그림만 그려놓고 처단되고 말았으니 안타까운 대목이다. 거기다가 조선 말 대원군이 신원을 해주기 전까지는 어린 세자를 끼고 임금에게 아첨하며 전횡을 일삼다가 왕자들마저 제거하려 한 역적으로 기록되었으니 얼마나 억울했을까! 

 

지금 우리 시대에도 정도전 같은 개혁 정치인이 필요한데 그들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건지...

 

더 기가 막힌 건 태조 이성계의 말년이다. 왕이 되고 싶었던 다섯째 아들 방원을 세자로 세우지 않은 대가로 왕자의 난을 두 번이나 겪으며 아들을 줄줄이 잃는다. 그 결과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넘어 절친이었던 정도전마저 잃고 뒷방어른으로 물러나 감시까지 당하는 처지가 되었으니 조선을 세운 임금의 낯이 서지 않는 대목이다. 아무리 강한 권력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노리는 자의 밥이 될 수 있다는 교훈인가? 권력 앞에선 아버지도 형제도 꼼짝마시압! 

 

야망을 품은 이방원이 하륜과 손을 잡고 꿈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보면 그 아비의 그 아들이라는 말이 딱 어울린다.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늘 기회로 살려내는 처세술이라니... 아버지 이성계를 뒷방으로 밀어내고도 자신이 직접 왕이 되지 않고 정치 파워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는 둘째형님을 왕(정종)으로 내세워 좌지우지하는 솜씨도 끝내준다.

 

그러니 잠시 왕의 자리를 건사하며 이방원이 정당하게 왕이 되도록 조정자 역할을 한 정종은 조선 역사에서 흔적이 느껴지지 않을밖에. 숙종 때에야 묘호가 지어졌을 정도로 조선의 임금들도 정종을 정상적인 임금으로 생각하지 않았다고 한다.

 

500년 전이지만 정치인들이 중앙 정계 진출을 꿈꾸며 핵심 권력을 가진 자에게 들러붙는 과정이 왠지 낯설지 않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3-16 16: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17 08:1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