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이 온다 - 서해 염전에서 나는 소금 어린이 갯살림 4
도토리 기획 엮음, 백남호 그림 / 보리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 여름 방학 때 염전을 구경할 기회가 있었다. 친정아버지께서 이 책에 나온 염전에 아는 분이 있다며 구경시켜 주겠다고 하셨다. 마침 조카 네 명도 와 있던 터라 아이들은 신나 했다. 특히 제주도에서 올라온 조카들은 생전 처음 보는 염전에 대한 호기심이 대단해 질문이 끊이질 않았다.

햇빛에 검게 그을린 염부 할아버지의 친절한 설명은 이 책에 나온 그대로였다. 정말 덥고 힘드실 텐데 아이들을 바라보는 얼굴에는 웃음이 가득했다. 할아버지의 설명을 초롱초롱한 눈으로 듣던 아이들. 미리 책을 보고 갔으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바닷물이 짠 줄은 알았지만 그 바닷물에서 새하얀 소금이 나온다는 사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한 아이들은 마냥 신기해했다. 사실은 염전에 처음 가 본 나도 신기했다. 마침 소금꽃이 피어나고 있어서 더 실감이 났다.

소금 창고에 가득 쌓인 새하얀 소금 산 앞에서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일제히 '와!' 하고 환호성을 질렀다. 그렇게 많은 소금을 본 건 처음이기 때문이다. 만져 보고 먹어도 보면서 아이들은 바다에서 온 소금의 존재를 확인했다.

염전에 다녀온 후 이 책을 샀다. 우리 딸아이는 무척 반가워하며 아는 척을 했다. 직접 가서 본 염전을 그림책에서 보았으니 그럴 만도 했다. 정말 꼼꼼하게 소금이 오는 과정을 그리고 이야기에 담아냈다. 소금이랑 소금 창고랑 그 주변 풍경이 정말 똑같다. 염전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얼굴이 할아버지에서 아주 젊은 삼촌으로 바뀐 것만 빼고.

소금밭을 소개해주는 여자 아이가 그때 뛰어놀던 우리 아이들 같아 슬그머니 웃음이 나온다. 하지만 그 동네에 정말 이렇게 삼촌이나 아빠를 부르며 달려와 줄 아이들이 살고 있을지는 모르겠다.

유난히 반짝거리는 소금은 화학 소금일 가능성 백 퍼센트란다. 그리고 좋은 소금은 뒷맛이 쓰지 않고 달다고 한다. 늘 먹는 소금 이야기를 이 책을 읽으며 해준다면 바다에 갈 때마다 아이들은 소금을 떠올리지 않을까? 한번쯤 아이들을 데리고 염전에 찾아가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충남 태안군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염전 방문하는 체험 프로그램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