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오묘한 수학방정식
클레망스 강디요 지음, 김세리 옮김 / 재미마주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수학이라.... 그다지 나랑 친하게 지내지 않은 분야가 수학책이다. 처음 책을 받아들고는 책도 얇고 그림 위주(그것도 아이들이 좋아하는 졸라맨 캐릭터)의 책이어서 아이들 책인 줄 알았다. 하지만 나보다 먼저 책을 본 딸아이가 자꾸 질문(나도 못 알아듣는)을 하길래 자세히 보니 띠지에 '어른들을 위한 그림책'이라고 되어 있다.  

한마디로 이 책은 수학책이 아니다. 하지만 수학을 전혀 모르면 이해할 수 없는 책이기도 하다. 수학 개념에 인생을 빗대어 풀어낸 철학책이기 때문이다. 수학이나 인생 둘 다 관심이 없다면 아예 이 책을 펼치지 않는 편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수학이나 인생 중 어느 한쪽이라도 관심이 있다면감탄을 안 할 수가 없다.  


남녀가 만나서 아이가 태어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둘이 합쳐서 하나가 된다."는 개념을 사칙연산(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으로 설명해준다.  

남자와 여자는 증가되기(곱하기) 위해 침대 속에 들어가 남자 위에 여자(분수) 혹은 여자 위에 남자(분수)가 되어 자신들의 반쪽씩을 나누어 준다. 증식과 조합을 거친 세포들은 아홉 달이 지나면 엄마 뱃속에서 빠져 나온다.(뺄셈) 결국 탄생은 빼기다.  

사람은 이렇게 떨어져 나왔기 때문에 서로 이으려고 하고 책을 읽으려고 하고 침대에서도 일어나려고 하는데 이 모두가 선을 이어 보려는 시도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관계를 만들어가는 게 아닐까 싶다. 

태어난 아이는 모르는 것들을 알아가기 위해 만남을 시도한다. 점을 그리고 선을 긋다가 동그라미를 그리게 된다. 아기가 동그라미를 그렸다는 것은 자아, 즉 '나는'이라고 말하는 시점인 것이다. 점과 선과 원은 위대한 수학자들의 삶을 매료시킨 대상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수학을 싫어하는 나조차도 위대한 수학자가 될 가능성이 있었다는 얘기란 말인가? 

뺄셈으로 인해 세상에 태어난 인간은 내적으로 공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데 그것을 채우기 위해 외부의 것을 내부로 가져가는 과정, 즉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해진다. 이해하기 위해 부여받은 능력이 바로 자유분방한 사고인데 이 속에서 논리가 생겨나는 것이라고 한다.  

기하학, 논리, 함수, 복소수, 벡터 개념 등이 사람이 살아가는 과정과 일치한다는 게 정말 신기하고, 책의 제목처럼 오묘하다. 고교 시절 어렵다고만 생각했고, 학교 졸업과 함께 제일 빨리 잊어버렸던 수학 개념들을 그동안 내가 살아온 인생과 연결지어 생각하니 갑자기 쉬워지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렇다고 다시 수학 공부를 하고 싶은 마음은 없고... 

이 책을 보면서 난 수학적인 머리가 없다고 생각하던 중에 위로가 되는 글을 발견했다. "머리가 비었다는 것은 두뇌가 비어 있다는 게 아니라 들어 있는 것을 서로 연결짓지 못할 뿐이다."  앞으로는 연결짓는 연습을 좀 더 해야 할 듯.

문과를 나온 내가 접해보지 못난 기하학이나 복소수 같은 개념도 졸라맨 캐릭터로 표현된 단순한 그림을 보고 있으면 그다지 어렵게 느껴지지 않는다. 인생과 수학 둘 중 어느 하나라도 친해지고 싶은 마음이 있는 중고생과 어른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