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함께 찾아가는 서울 600년 이야기 ㅣ 산하어린이 153
김근태 지음, 서명자 그림 / 산하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 수도 서울에서 15년 이상 살았지만 내가 얼마나 무심했는지 이 책을 보면서 알았다. 내가 아는 건 서울의 껍데기뿐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사실 좀 부끄러웠다. 동네 구석구석에 얽힌 설화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을 읽다 보면 서울의 역사와 옛 사람들의 삶까지 고스란히 알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안타까웠던 부분은 지명이었다. 그 지역의 내력이 들어 있는 아름다운 지명들이 한자화되면서 완전히 다른 지명으로 바뀐 예가 많았기 때문이다. 다시 원래의 지명을 찾는 노력도 하면 좋을 것 같다.
책이 상당히 두꺼워서 부담스러웠는데 두 권으로 편집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그리고 이야기마다 지역 정보나 중요 사항들을 팁으로 정리해주었더라면 내용이 머릿속에 쏙쏙 들어왔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덕분에 방학 내내 4학년 딸아이와 서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공부를 많이 할 수 있었다. 방학 숙제로 낼 겸 자료를 찾아 정리해 보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7791.jpg)
딸아이가 직접 그린 표지. 우리 딸은 서울 하면 타버린 숭례문이 제일 먼저 떠오른다고 했다. 지금 얼마나 복원이 되었는지 궁금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7780.jpg)
펼친 면의 모습.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7781.jpg)
한쪽 면 전체를 지도로 보는 서울로 꾸몄다. 지도로 보니까 서울의 전체적인 모습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산과 하천, 한강 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을 알 수 있다. 서울에 한강 다리가 21개라는 사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7782.jpg)
서울이라는 지명이 변해온 역사와 지명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 4대문과 4소문에 대해서도 찾아보았다. 아래쪽에는 이 책에 나온 설화를 정리한 후 미니북을 만들어서 붙였다. 서울에 갔을 때 지하철 노선도는 필수니까. 내가 서울을 떠나 온 사이에 서울 지하철이 엄청 복잡해진 걸 알겠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7787.jpg)
딸아이가 재미있게 읽은 설화 다섯 가지만 뽑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778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7789.jpg)
직접 글씨를 쓰던 딸이 손 아파 죽는다고 하는 바람에 결국 내가 타이팅을 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