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하늘바람 > [퍼온글] 어린이책 세계를 이끌어 가는 두 작가 | 작가 이야기

http://blog.yes24.com/document/652704
지금이야 '칼데콧 상 받은 작품이다'라고 이야기하면 모두가 감탄을 하며 고개를 끄덕이지만 불과 몇 년 전만해도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는 않았다. 그리고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도 마찬가지다. 어떤 면에서 보면 출판사들이 의도적으로 상을 내세우는 경우도 있어서 약간 꺼려지기도 하지만 일단 인정받은 책이라는 점에서는 눈길이 간다. 간혹 우리 정서와는 맞지 않는 책이 있기도 한데 그것을 가지고 상의 가치를  판단하는 일은 조심스럽다. 문화라는 것이 모든 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이해받는 것은 아니니까. 다만 나와 정서가 맞지 않다던가 우리와 정서가 맞지 않는 것은 내가 보지 않겠다는 결정이 필요할 뿐이다.
 
그럼 과연 랜돌프 칼데콧이라는 사람과 케이트 그린어웨이라는 사람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궁금해진다. 그래서 이번에는 그 두 사람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들이 남긴 작품은 여러 편이 있겠지만 우리 나라에 번역되어 있는 책은 한 권씩 밖에 없다. 작품이 여러 편이었다면 따로 소개를 하겠지만 어차피 한 편씩 밖에 없으므로 비교도 할 겸 같이 소개한다.
 
<<< 랜돌프 칼데콧(0846~1886) >>>
 
칼데콧은 윌터 크레인, 케이트 그린어웨이와 함께 빅토리아 시대 말기를 대표하는 영국 어린이책 일러스트레이터 3인방의 한 사람이다. 칼데콧의 그림책을 두고 모리스 샌닥은 '칼데콧은 그림과 글의 기막힌 조화를 처음으로 고안해 냈다. 글은 생략되고 그림이 말을 한다. 요컨대, 그것은 그림책의 창조였다."
 
돈과는 가장 무관할 듯 싶은 어린이 그림책. 하지만 그림책은 불행하게도 인쇄물 가운데서 돈, 그리고 기술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물건이다. 인쇄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컬러로 된 그림책 한 권을 만드는 데만도 천문학적인 경비와 기술이 드는 시대가 있었다. 어린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차고 넘쳐 그림책으로 그 사랑을 표현하려는 화가가 있다 해도, 재력과 기술을 다 갖춘 '스폰서'를 만나지 못하면 화가의 재능은 세상의 빛을 볼 수가 없었다.

그토록 척박하던 시대에 숨은 공로자가 있었으니, 이름하여 에드워드 에반스라는 출판업자이다. 서민적인 화풍의 목판본 그림책으로 19세기 말엽에 이른바 '그림책의 황금시대'를 연 랜돌프 칼데콧도 이 에반스의 눈에 든 행복한 화가의 한 사람이다. 황금 시대의 또 하나의 거장인 케이트 그린어웨이가 귀족적인 화풍으로 어린이를 천사처럼 귀엽게 그려 내는 그림책을 보여 준 반면에 칼데콧은 웃음과 풍자가 가득한 서민의 모습을 주로 그려 당연히 대중에게 폭발적인 사랑을 받았다.

칼데콧은 1846년 영국 중부의 아름다운 도시 맨체스터에서 태어났다. 정식으로 회화 수업을 받은 적이 없던 터라 은행원 생활을 하면서 습작을 하다가 1871년에 런던에서 발행되는 잡지에 풍속화를 그리면서부터 화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1878년부터 세상을 뜨기 전까지는 구전 동요와 민요를 바탕으로 하여 해마다 두 권씩 그림책을 내놓는 왕성한 창작 활동을 했다.

<칼데콧 상>
'근대 그림책의 아버지'로 불리는 랜돌프 칼데콧을 기념하기 위해 1938년 창설괸 그림책 상. 미국 도서관협회에서 주관하며, 전년도에 미국에서 출판된 모든 그림책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을 그린 화가에게 수여한다. 칼데콧 상은 1권의 최우수상에게, 칼데콧 아너 상은 1~5권의 우수작에게 준다.
 
- 리브로 작가소개와 시공주니어 도서목록에서 -
<<< 작품 소개 >>>
* 익살꾸러기 사냥꾼 삼총사(시공주니어)

이 시기의 작품을 보면 대개가 목판 그림책이다. 당시에는 다양한 기법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목판 그림책은 이상하게도 편안함과 푸근함을 준다.
 
이 이야기는 <마더 구즈 이야기>에 나오는 한 이야기를 재구성한 책이라고 한다. 사냥꾼이 사냥하러 나갔다가 사냥은 안 하고 거의 놀다가 오는 그런 이야기로 내용이 썩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진 않았다. 하긴 요즘처럼 구성도 다양하고 이야기 구조도 튼튼한 책을 먼저 접했으니 그럴 수밖에. 그러나 이 책이 19세기에 나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런 책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냥꾼 셋이 사냥을 떠난다. 그러나 그들이 진짜 사냥을 하기 위한 것인지 의심이 간다. 들판에 서 있는 허수아비를 보고 한 명이 허수아비라고 하자 다른 한 명이 길을 잃은 농부라고 한다. 그야말로 익살스럽다. 이야기는 이런 식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한 번은 칼라 그림이 나왔다가 다음 장에는 흑백 그림이 나온다. 그런데 사냥꾼이 들고 다니는 것은 사냥 도구가 아니라 악기다. 그것만 봐도 이들의 목적을 대충 짐작할 수 있다.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글 속에서는 나오지 않았던 이야기들이 나온다. 그제서야 모리스 샌닥이 이야기한 말이 실감난다. 글이 이야기를 끌고 가던 시절에 글에서는 나오지 않는 이야기를 그림으로 나타냈다는 것이 아마도 획기적인 방법이었을 것이다. 거듭 이야기하지만 지금 기준으로 보지 말고 19세기라고 생각하고 봐 주길...
 
사냥을 하려면 숲이나 산으로 가야 하건만 이들은 온 동네를 휘젓고 다니며 일을 저지른다. 남의 집에 있는 바퀴를 굴려보내지 않나 데이트 하는 연인을 놀래주질 않나... 그래도 그들은 마냥 재미있단다. 보는 사람도 재미있긴 하다.
 
<<< 케이트 그린어웨이(1846~1901) >>>
 
영국 그림책의 효시인 케이트 그린어웨이(1846∼1901)는 런던에서 유명한 조판사의 딸로 태어났다. <런던 화보>의 일을 하는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려서부터 그림 공부를 하였고, 딸의 그림 솜씨를 인정한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그린어웨이는 당대 인쇄계의 거장인 에반스를 만나게 된다.

현명한 에반스의 판단과 도움 아래 화가로서 뛰어난 재능과 문학적인 소질을 발휘하여 본격적인 그림책 작가로 활동하게 된 그린어웨이는 그림책뿐만 아니라 알파벳을 가르치는 ABC 북, 달력, 카드 등 여러 분야에서 그림을 그렸다. 그녀의 은 조악한 흑백 학습지가 대부분이었던 당시 아동 출판 시장에 천연색의 다채로운 이미지와 그림들을 선보여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그녀가 만든 발렌타인 데이 카드가 연인들 사이에 크게 유행하였다.

그린어웨이는 꽃, 나무, 초목 등 전원 풍경을 배경으로, 천진스런 어린이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관찰하여 부드럽고 섬세한 필치로 그려내어 독자에게 현실감이 살아 있는 향수를 전해 주었다.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는 중세 독일의 전설을 소재로 삼아 유명한 낭만주의 시인 로버트 브라우닝이 글을 쓰고 케이트 그린어웨이가 그림을 그린 19세기의 귀중한 그림책의 하나로, 신의 뜰에서 노는 것 같은 어린이들의 묘사가 이채롭고 의상이며 배경 모두가 복고풍의 귀족적인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초판을 목판 인쇄로 찍어 현대의 그림책에서는 느낄 수 없는 목판본 그림책의 고전적인 맛이 흠뻑 배어 있다.

어린이에게는 꿈과 환상의 세계를, 어른에게는 어린 시절의 환상을 회상시켜 주었던 그린어웨이는 어린이와 어른들 모두에게 폭넓게 사랑받는 대중적인 작가였다. 

- 리브로 작가파일에서 -

<<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 >>

케이트 그린어웨이를 기념하기 위해 1956년 영국 도서관 협회가 창설했다. 매년 영국에서 발행된 그림책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을 그린 화가에게 수여한다.
이처럼 칼데콧 상과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은 모두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그만큼 그림책에서 그림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고 하겠다. 칼데콧은 영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후에 미국으로 건너가 활동하는 바람에 상이 미국에서 제정되어 미국 사람 내지는 미국에서 출판된 책에만 수여한다. 아마 영국 입장에서는 억울하지 않았을까. 그리고 그림책을 이야기할 때 항상 나오는 사람이 바로 에반스라는 편집자다. 어느 책에서건 에반스가 없었다면... 이라는 말을 할 정도다. 책에 있어서 편집의 역할과 중요성을 짐작하게 해준다.
 
<<< 작품 세계 >>>
*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시공주니어)

이 책을 처음에 보고 도저히 19세기 작품이라고 생각할 수가 없었다. 이렇게 아름답고 이렇게 멋진 책이 있다니... 그것도 19세기에 말이다. 지금 보아도 전혀 뒤지지 않는 그림이 감탄을 하지 않고는 못 배긴다. 이 책 역시나 목판으로 그렸다. 위에 소개한 책도 목판이지만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등장인물들의 의상과 배경 모두 복고풍으로 고급스럽다.
 
독일 옛이야기를 바탕으로 영국의 유명한 시인인 로버트 브라우닝이 글을 썼다. 그래서일까. 읽으면 읽을수록 진한 맛이 우러나는 것이.

하멜른이라는 마을에서 가장 골칫거리인 쥐들. 고양이를 죽이고 개를 물고 심지어는 자는 아기까지 문다.
 

그런데 키 크고 마른 사람이 나타나 자신을 피리 부는 사나이라고 소개하며 쥐를 쫓아내겠다고 이야기한다.
 

너무 인상적인 피리 부는 사나이 모습. 반면 앞표지는 아이들을 데리고 가서 살고 있는 모습이다. 같은 이야기를 소재로 하는 책들이 여러 권 있지만 이상하게 이 책이 가장 마음에 든다.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의 마음이 다른 욕심 많은 인간의 마음을 꼬집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