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씨앗이 꾸는 꿈, 숲
이성아 지음, 이우만 그림 / 푸른나무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조금만 눈을 돌리면 우리 주변 어디에나 숲이 있습니다. 숲은 요란하지도 보아 달라고 떼를 쓰지도 않습니다. 묵묵히 한 자리에 서서 자리를 지키니 그 존재를 깨닫지 못하고 사는 이들이 더 많습니다. 그래서 보려고 애쓰는 사람의 눈에만 제대로 보입니다.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숲은 하루도 똑같은 날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숲은 살아 있기 때문입니다. 나무와 꽃, 풀, 온갖 벌레와 짐승들이 모여 서로 도움을 주기도 하고 경쟁도 하면서 숲을 이루어냅니다. 그렇다면 그 숲은 처음부터 울창한 숲의 모습이었을까요? 어떤 숲이건 시작은 한 알의 작은 씨앗이었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황무지가 된 벌판에 작은 풀씨가 싹을 틔웁니다. 햇빛과 바람과 비가 키워낸 풀은 꽃망울을 맺고 씨앗을 퍼뜨립니다. 아무리 거대한 숲이라도 시작은 이렇습니다. 여러 해가 지나자 숲은 마구 자란 한두해살이 풀로 가득합니다. 벌과 나비와 새가 찾아옵니다. 식물들은 살아남기 위해 최대한 많은 씨앗을 온갖 방법을 다 동원해서 퍼뜨립니다.

한해 두해가 지나자 진달래가 피어나고 키 작은 나무들이 점점 많아집니다. 이제야 슬슬 숲의 모습을 보입니다. 그후 몇 년이 지나고 바늘 모양의 잎을 단 소나무가 모습을 보입니다.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고 숲을 지키는 일꾼 덕에 다양한 동물들이 찾아와 숲을 풍요롭게 만듭니다. 하지만 소나무에 가려 햇빛을 빼앗긴 키 작은 식물들은 숲에서 사라지기도 합니다.

키 큰 소나무는 아주 오랫동안 숲의 주인 노릇을 합니다. 소나무의 적은 어디에도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솔숲 주변에 작고 여린 잎을 단 식물들이 자라기 시작합니다. 바로 소나무 사이로 스며드는 가난한 햇빛에도 불평 한마디 없이 자라는 신갈나무입니다. 다람쥐가 물어다 놓은 한 알의 도토리가 이렇게 숲의 역사를 바꾸기 시작합니다. 점점 키가 커가는 신갈나무에게 햇빛을 빼앗기자 소나무는 살아갈 기운을 잃어갑니다.

그 많던 소나무가 다 사라지고 이제 숲은 신갈나무 차지가 되었습니다. 신갈나무는 많은 생명들을 불러 모읍니다. 곰이나 늑대, 여우 같은 큰 동물과 너구리랑 삵 같은 작은 동물도 찾아옵니다. 그들 사이에 먹고 먹히는 눈물 겨운 투쟁이 이어집니다. 신갈나무도 온갖 곤충들에게 나무 진과 뿌리를 내어주고 보금자리를 제공합니다. 최초의 풀씨 하나가 떨어졌을 땐 그 누구도 상상할 수 없었던 숲을 스스로 이루어낸 것입니다.

이렇게 되기까지 150년에서 200년이란 세월이 흘렀습니다. 하지만 숲은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지금도 큰 나무 아래 주변엔 작은 싹들이 솟아나와 숲의 주인이 되려고 꿈틀댑니다. 

숲의 일생을 다룬 한 편의 숲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했습니다. 그리고 잔잔한 나레이터의 목소리가 귓가에 맴도는 듯했습니다. 영상으로 본 듯 숲의 변해가는 모습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집니다. 온몸에 숲 기운을 끌어안은 듯합니다.

숲으로 나들이 갈 때 들고 나가 저학년 아이들에겐 잔잔한 목소리로 엄마가 읽어주시고, 고학년 아이들에겐 나무 밑둥에 기대어 앉아 직접 읽게 하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