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리 편지 창비아동문고 229
배유안 지음, 홍선주 그림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이런 일이 있었을까? 비슷한 일이 있었을 것 같기도 하고 없었을 것 같기도 하다. 아무리 세종 임금이 백성을 사랑했다고는 하지만 산골짜기 한 소년과 이런 깊은 우정까지 나눌 수야 있었을까 싶다. 그래서 작가의 상상력이 더 빛이 난다. 세종 임금이 약수로 유명한 초정리로 눈병 치료를 갔다 온 일과 시집 간 딸에게 한글을 시험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모티브로 이 이야기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한글을 만들어놓고도 양반들의 반대 때문에 근심에 싸여 있던 세종 임금이 가난한 소년 장운을 만나는 장면은 정말 극적이다. 한양에서 왔다는 토끼 눈의 점잖은 할아버지는 장운에게 한 가지 제안을 한다. 새로 만든 글자를 익혀 오면 쌀을 주겠다는 것이다. 장운이 글자를 모두 익히고 누나와 주변 사람들에게 글자를 가르쳐주는 과정은 요즘 우리가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것과 비슷하다. 위에서부터 억지로 이루려들지 않고 아래로부터 서서히 길어올린 세종의 인품이 참 따뜻하게 느껴졌다.

빚대신 종살이 간 누나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새로운 글자의 진가는 더 빛을 발한다.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서 전할 수 있다는 사실에 스스로 대견해하는 장운이. 토끼 눈 할아버지의 말대로 장운은 글자를 유익하게 쓴다. 한문을 쓰는 양반들의 입장에서 보면 천한 신분의 아이들이 글을 써서 주고받는다는 것은 아주 우스운 일이다. 하지만 이 작은 일이 결국 큰일을 이루고 만다. 가난한 사람이나 신분이 낮은 사람도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쓰고 남이 쓴 글을 읽을 수 있도록 해준 것이다. 쓰고 배우기가 편해서 온백성이 다 쓸 수 있는 글자를 만들겠다는 세종 임금의 소원은 가랑비에 옷 젖듯이 이루어진다.

고집 센 점밭 아저씨 밑에서 석수 일을 배우던 장운에게 한양 갈 기회가 찾아온다. 중전 마마의 명복을 비는 절을 짓는 공사장으로 가게 된 것이다. 장운은 어쩌면 토끼 눈 할아버지를 만날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품게 되고, 실제로 그 꿈은 이루어진다. 장운은 일터에서 보고 들은 것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흙바닥 훈장 노릇을 한다. 장운은 일꾼들에게도 글자를 가르치며 뭔가 또다른 세상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결국 장운은 토끼 눈 할아버지를 만난다. 공사장을 둘러보러 오신 임금님이 알고 보니 초정리 정자에서 글자를 가르쳐주신 토끼 눈 할아버지였던 것이다. 장운의 감격은 말로 표현할 수 없었다. 세종은 장운이 또 한번 자신의 근심을 덜어주었다며 꼭 훌륭한 석수가 되어 찾아오라고 한다. 그후 장운은 정말 훌륭한 석수가 되어 궁궐의 석등이나 돌사자를 새기며 세종 임금과 더 많은 우정을 나누었을 것만 같다.

인터넷의 영향으로 잘못된 용어인지조차 모르면서 쓰고, 한글보다 영어 배우기에 더 열을 올린다는 것을 알면 세종 임금은 지하에서 뭐라고 하실까? 세계인이 인정한 한글, 우리 스스로 그 가치를 떨어뜨리진 말아야겠다. 그러기에 이 책이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우리 문화보다 남의 문화를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아이와 부모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다. 누구나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