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을 때 어느 날에는 표지 앞날개에 있는 작가 소개부터 시작해서 끝 부분까지 다 읽고 마지막에 뒷표지 까지 읽을 때도 있지만, 어느 때에는 본문 페이지부터 읽을 때가 있고, 때로는 앞 부분의 목차는 읽었지만, 서문이나 후기를 읽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또 어느 책은 서문이나 후기가 없는 책도 있어요.


 그런데 가끔은 서문이나 후기는 본문에서는 쓰지 않은 남은 이야기가 있기도 하고, 본문의 이야기에 대한 작가의 후기라서 책에 대한 작가의 설명 같은 느낌이 들 때도 있습니다. 한 권의 책을 쓴다는 것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이고, 그리고 그 시간를 되돌아보는 것 같은 느낌으로 후기를 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은 51개의 영화 이야기를 쓴 에세이 <고마워 영화>에서 에필로그 부분을 손글씨로 썼습니다.

 손글씨는 천천히 정자로 한 자씩 써야 글씨체도 좋아질텐데, 아직도 쓱쓱 빨리 쓰는 것 같습니다. 잘 쓰지 못하는데, 천천히 쓰는 게 잘 되지 않아요.^^;


  편안한 저녁 시간 보내세요. 








  

 

 


에필로그

51가지 영화읽기를 골라 엮으며 취향과 편향이 어느 쪽인지 드러났다. 중복된 감독이 있고 배우가 있고, 기울어진 주제가 있다. 열망이 드러난 셈이다. 첫 수필집에 몇 편의 영화에세이를 실었지만 아쉬웠고 영화이야기를 더 하고 싶었다.
영화를 보기 전에 사전 정보를 보지 않는 편이다. 선입견 없이 만나기를 바라는 마음이기도 하고 어떤 종류의 것이든 뜻밖의 만남이 전하는 순간의 떨림을 즐기고 싶은 마음에서다. 거칠고 대담하게 읽은 것도 있고 기억이 겹쳐와 글썽이며 읽은 것도 있고 세밀화를 그리듯 촘촘하게 읽은 것도 있다. 영화를 보며 가슴이 뜨거워지다가도 오히려 서늘한 죽비 한 대를 맞은 듯 냉철해질 때가 적지 않다. 모두가 나의 결이다.
영화는 그 장점과 한계가 명확하지만, 어느 예술보다 우리 삶에 가까이 있고 상대적으로 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미덕을 지닌다. 시나리오와 연출을 함께 작업한 감독도 있지만 원작소설이 있는 경우는 문자언어를 영상언어로 이미지화하는 작업이 얼마나 특별하고 위대한지 두 가지를 비교해보면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상업영화와 예술영화의 경계를 논하는 건 무의미해졌다. 재미와 의미를 건져 올리기에 영화만큼 풍부한 텍스트도 없을 것이다. 영화는 영화일 뿐이지만영화는 꿈과 현실의 치열한 반영이다. 좋은 신발이 우리를 좋은 곳으로 데려다주듯 좋은 영화는 우리를 좋은 이미지의 세계로 안내한다. 사람풍경을 비롯해 다른 영역에서 느낀 것들이 하나로 직조되어 어떤 이미지로 선명해질 때면 희열을 느낀다. 무한한 공간 어딘가에 끊임없이 연결되어 있다는 안도감이 든다. 영화는 날마다 태어나고 행복은 그러므로 보장된 셈이다.

2017년 가을
또다른 계절의 나들목에서
배혜경

- 고마워 영화, 배혜경, 세종출판사, 2017 p.316~317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8-02-23 14: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방금 에치나인님 페이퍼 보고 왔는데
글씨도 사람의 얼굴만큼이나 제각각이라는 게
신기해요.
두분 다 예쁜 글씨입니다. 부럽삼.ㅠ

그나저나 프레이야님 보시면 좋아하시겠는데요?^^

서니데이 2018-02-23 21:19   좋아요 1 | URL
hnine님은 글씨 예쁘게 잘 쓰시는데, 보면 읽기도 좋은 것 같아요.
사람마다 손글씨가 다르기도 하지만, 조금씩 계속해서 달라지는 것 같기도 해요.
몇 년 전의 글씨와 많이 다르더라구요.
그렇게 예쁘지 않지만,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stella.K님, 따뜻한 주말 보내세요.^^

프레이야 2018-02-24 14: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손글씨 좋아요 !! 서니데이 님 기쁘네요^^

서니데이 2018-02-24 18:42   좋아요 0 | URL
예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조금 더 잘 쓸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프레이야님, 좋은 주말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