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설은 지난 몇년간 읽은 소설 중에서도 가장 감동적이었다. 다 읽고 난뒤 바라본 표지 속 파도는 마치 읽는 내내 나를 두드리고 휘감은 감정의 파고와 같았다. 1600년 초 에도시대 농사짖기 힘든 척박한 골짜기에 하세쿠라로 불리우는 주인공 사무라이가 살고 있다. 그는 그 지역 일족의 총령이었지만 가족들과 함께 마을 사람들 사는 수준으로 고되게 하루하루를 버티듯 살아가고 있었다. 그나마 얼마 나지 않은 곡식은 연공으로 영주에게 거의다 바쳐야만 한다. 그런 와중에도 돌아가신 아버지를 대신하여 집안의 유일한 어른이신 숙부는 사무라이를 찾아올때마다 비옥했던 과거 영지(구로카와)에 대한 미련을 기나긴 한탄으로 반복했다. 어느날 주군인 이시다로가 어쩌면 구로카와를 되찾을 수도 있다며 영주에게 가보라고 한다. 영주는 사무라이에게 이국풍의 대형 무역선이 만들어지고 있으니 40여명의 남만인(서양인)들, 100명이 넘는 일본인 상인과 일꾼들과 함께 배를 타고 멕시코에 사절로 가서 통상제의를 담은 서한을 총독에게 전달하고 오라는 임무를 맡긴다. 왜 달변가도 중신도 아닌 하필 자신들같은 하위 계급을 먼 나라에 사절로 보내는 것일까? 의문을 가졌지만 시키는대로 할 수밖에 없었다.
눈이 내렸다. 저물녘, 구름 사이로 자갈투성이인 강가에 연한 빛을 비추던 하늘이 어두워지자 사위가 돌연 고요해졌다. 두 송이, 세 송이 눈발이 흩날렸다. 눈은 나무를 베고 있는 사무라이와 하인들의 일옷을 스치고, 덧없는 목숨을 호소하듯 그들의 얼굴이나 손에 닿았다가 사라졌다. 하지만 인간들이 묵묵히 손도끼만 움직이고 있으니 이제는 그들을 무시하듯 이리저리 주위를 날아다니기 시작했다. 저녁 안개가 눈과 섞여 퍼지자 시야는 온통 잿빛이 되었다. P.7
바울회 선교사인 스페인출신 벨라스코 신부는 또한명의 주인공이다. 일본의 기리시탄(크리스천의 포르투칼어)박해에도 일본어에 능통해 살아남았다. 버림받은 나환자들을 위해 아사쿠사에서 병자들을 돌보던 그는 통역사로 이 사절단에 참여하게 된다. 신부라기보다 책략가에 가까운 그는 이번 임무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일본에서 주교가 되어 종교적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한다. 당시 천주교는 베드로회와 바울회로 나뉘어 반목하고 있었는데 베드로회는 벨라스코가 몸 담은 바울회의 선교활동에 대해서 비판적인 의견을 로마 교황청등에 보고하곤했다. 반면 벨라스코는 베드로회의 일본에서의 과욕과 만행으로 인해 기리시탄이 탄압받게 된 거라고 생각한다. 두 달이 넘는 항해와 몇차례의 폭풍을 통과해 멕시코에 도착한 사절단은 처음 마주하는 낯선 세상만큼이나 예상과 다른 그곳의 반응에 갖은 어려움을 겪게된다.
베드로회의 수도사들이 도요토미 히데요시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능숙하게 조종하지 못한 데다 에도성에 파고들어 있는 불교 고승들을 회유하지도 못하고, 반대로 그런 요직에 있는 자들에게 반감과 의혹의 씨를 뿌렸다는 것을 알고 있는 만큼, 그는 한편으로 자신의 야심을 부끄러워하면서도 주교가 되고 싶다는 마음을 억누를 수 없었다. P.25
물과 기름만큼 다른 성향의 사무라이와 벨라스코는 여정이 이어지는 동안 결코 서로를 이해할 수 없었지만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그리고 영주가 바라던 성과를 내기 위해 무려 4년간 이어진 긴 여정끝에 드디어 결실을 맺으려던 그때. 일본 현지의 급변한 정치상황이 서신으로 그들앞에 전달된다. 그로인해 낙동강 오리알이 되어버린 사절단은 그제서야 서로에게 강한 유대와 동질감을 느낀다. 일본 사절들의 귀환을 위해 멕시코에 남게된 벨라스코를 제외하고 다시 험난한 항해끝에 사절단은 일본으로 돌아온다. 그들 앞에는 과연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을까. 궁금하신 분들은 직접 책을 읽어보시길.
골짜기의 밤은 깊었다. 골짜기의 밤을 모르는 사람은 진정한 어둠과 어둠의 침묵을 모른다. 정적이란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정적이란 뒤쪽 숲의 초목이 스치는 소리, 때때로 들려오는 새의 날카로운 울음소리, 그리고 가만히 이로리의 작은 불꽃을 향하고 있는 사내의 모습이다. -P.463
껍데기에 갇힌 달팽이처럼 눈덮인 골짜기의 삶만이 자신에게 주어진 업인줄 알고 살아가던 말 수가 적은 사무라이와 일본이란 나라의 포교를 삶의 목표로 살아오던 벨라스코 신부의 긴 여정 이야기가 수기형식으로 번갈아 이어지며 결말을 향해 나아간다. 어디까지가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고 어디서부터가 소설적 구현인지 후반에 실린 해설을 통해 대략적이나마 짐작할 수 있다. 소설은 죽어있는 것을 살려내는 작업이라는 것을 엔도 슈사쿠의 작품을 읽으며 체감한다. 작가가 살려낸 이야기는 독자의 '읽기'와 '공감'을 통해 비로소 맥이 흐르고 생명력을 얻는다. 더구나 역사적 사실들을 기반으로 작가가 창작으로 디테일을 첨가하면 그 생명력은 누군가의 심장에 귀를 대고 듣는 심장박동처럼 강력한 감각을 동반한다. 내 안에서 사무라이와 벨라스코, 요조는 다시 살아났고 이 작품을 읽는 내내 나를 온통 흔들어놓았다.
거품을 일으키며 해변을 덮치는 파도가 옥졸이 떠내려 보낸 거적을 삼키고 부딪치며 물러간다.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겨울 햇빛은 긴 모래사장에 내리쬐고 바다는 바람소리 속에 여전하게 펼쳐져 있다. 대울타리 안에 이제 관리나 옥졸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P.513
![](https://image.aladin.co.kr/product/6058/79/coveroff/8961843745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9476/95/coveroff/8964473256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