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어쩌면 '나'라는 우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이라는 우주를 이해하는 과정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자신을 이해하려 부단히 노력하는 사람일수록 타인에게 관대하고 이해도가 높다는 건 결코 우연이 아닐 것입니다. 이해 안가는 사람, 이해 안되는 생각, 이해 안되는 것들 투성인 사람은 우선 자신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는지를 되돌아봐야 하지 않을까요? 그런 사람들은 유독 소설을 읽지 않습니다. 소설 안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마음껏 만나 경험하고 나를 반추할 기회를 얻을 수 있는데도 거기에 그런 유익이 있을거라 생각하지 못합니다. 또는 읽더라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감흥이 없습니다.



사람 마음에는 판사가 한명씩 있습니다.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원고로 지지해주는 검사도 있고 타인을 위한 변호사도 존재합니다. 검사와 변호사의 다툼을 보고 판사는 결과를 내립니다. 이 재판이 늘 공정할 수 없는 이유는 인간이란 본래 자신에게 관대하기 때문입니다. 검사는 본인이기에 자료가 넘쳐 납니다. 나의 성장과정, 나의 기쁨과 슬픔, 상처, 성취같은 나의 역사를 모두 간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타인을 위한 변호사는 나의 노력여하에 따라 자료가 충분할 수도 턱없이 부실할수도 있습니다. 타인의 이야기에 귀기울이고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노력, 또는 소설이란 도구를 활용해 간접적으로 타인들의 세계에 대해 들여다보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경험치가 쌓일수록 변호사의 자료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결국 좋은 판결의 밑거름이 됩니다. 



주변에 이해할 수 없는 사람 투성이라면 내가 타인의 마음을 경청하는 인간인지, 또는 소설을 읽어 간접적인 경청을 하는 인간인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타인에 대한 무지는 적극적인 무경청의 결과입니다. 



우리가 어떤 것을 모르고 있는 이유는 대개 한 가지뿐입니다. 알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보다 엄밀히 말하면 자기가 무엇을 '알고 싶어 하지 않는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무지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지식의 결여를 가리키는 말이 아닙니다. '알고 싶지 않다'라는 마음가짐을 갖고 한결같이 노력해온 결과가 바로 무지입니다. 무지는 나태의 결과가 아니라 근면의 성과입니다. p.7 푸코, 바르트, 라캉 쉽게 읽기





인간은 자신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이며, 자기 안에서만 타자를 인식하며, 그렇지만 그와 반대되는 말을 하면서 거짓말하는 존재이다. p.65





댓글(22) 먼댓글(0) 좋아요(5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2-03-17 15:13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이 페이퍼를 읽으니 얼마전 이현재 선생님의 책 <여성혐오, 그 후>의 내용이 생각나요. 주디스 버틀러의 책 <윤리적 폭력비판>에 나온 내용을 재인용한 부분입니다.

‘자아가 있고 타자가 자아 밖에 분리된 것이 아니다. 자아는 오히려 타자의 발견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나는 반복적으로 자신을 자기 밖에서 발견한다.˝ 이것은 자기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나는 나 자신을 생각할 때 언제나 나 자신의 타자이다. 어제의 나는 어제의 나를 바라보는 오늘의 나에게 낯설다.
˝나는 언제나 나 자신에게 타자이고 나 자신으로의 귀환이 일어나는 어떤 최종적인 순간도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내가 겪는 만남에 의해 항상 변형된다.˝ 따라서 나는 나를 알기 위해서라도 너를 물을 수밖에 없다. 나는 오직 ˝너는 누구인가˝를 물음으로써만 알아갈 수 있다‘

청아 2022-03-17 15:27   좋아요 2 | URL
아 제가 찾던 글이네요! 역시 나의 다락방님~♡.♡ 마침 어제 <윤리적 폭력비판>을 사두었습니다. 기대됩니다. 혐오의 몰이해, 무지에 대해 요즘 많이 생각합니다. 페미니스트들은 남성들을 이해하기 위해 끊임없이 이들의 역사를 공부하며 자신을 알아가는데, 안티들은 이해하려 노력조차 하지 않잖아요. 그것은 그들 스스로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는 근거라고 생각해요.

다락방 2022-03-17 15:40   좋아요 3 | URL
격렬한 혐오는 무지에서 오는 것 같아요. 저도 그 생각을 합니다. 얼마전 피디수첩에서 젊은 남성을 인터뷰한 장면을 SNS를 통해 보게되었는데요 ‘여성가족부는 말도 안되는 정책들을 내밀고 있으니 없어져야 한다‘고 해서 기자가 ‘말도 안되는 정책에는 어떤게 있느냐‘ 물었더니 ‘그건 모르겠어요‘ 라고 하더라고요. 모르는데 어떻게 싫어할 수가 있지? 싶지만 모르기 때문에 싫어할 수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이미 싫어한 이상 굳이 알 필요도 없는거고요. ‘모르겠어요‘ 라고 답하는게 부끄러울 것 같은데, 그건 부끄럽지 않은가봐요. 그 부끄러움보다는 무조건 싫다는 감정이 우선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혐오는 무지에서 오지요.

청아 2022-03-17 15:47   좋아요 2 | URL
네! 그저 혐오를 만들어내고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이들의 언어를 무비판적으로 되풀이 할 뿐이죠. 그걸 근거라고 생각하는듯 합니다. 제가 알기로 이 사회구조가 남녀모두에게 공정하다는 수치는 어디에도 없는데 그들은 이미 충분히 공정하다, 오히려 남성에게 불리하다고 말합니다. 조금만 찾아봐도 데이터가 나오는데 그것조차 하지 않고 증오만 쌓고 있습니다. 그들이 회피하는것에 그들이 알아야할 것들이 있는데도 말입니다.

프레이야 2022-03-17 16:0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타인을 위한 내 안의 변호사를 잘 길러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적극적인 무경청과 더불어 제대로 알려고 하지 않는 적극적인 의지가 작용하는 것 같아요. 미미님 좋은 페이퍼 빗방울 촉촉하게 젖는 오후에 잘 읽었어요.

청아 2022-03-17 16:13   좋아요 3 | URL
프레이야님 ~^^♡ 읽어봐 주셔서 감사해요!
변호사를 잘 대우해 주기란 결코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노력할수록 끊임없는 이 우주 여행의 여정이 더 즐겁고 만족스러울거라 믿어요.

새파랑 2022-03-17 16:29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저 말 미미님이 쓰신 말인가요? 😆 완전 공감에 멋진 말입니다 ㅋ 타인에 대한 이해는 아무리 노력해도 다 알수는 없지만 어느정도는 알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ㅋ 우주만큼 알기 어려운 타인 ~!!

청아 2022-03-17 16:53   좋아요 3 | URL
발췌문 두 개 빼고는요ㅋㅋㅋ 감사해요 새파랑님~♡ 새파랑님은 소설도 많이 읽으시고 또 리뷰를 보면 변호사가 능력좋은 이타적인 분이라는 느낌이 들어요.😆

페넬로페 2022-03-17 16:4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타인에 대한 감정, 평가, 행동의 감시등에는 민감하고 시선을 많이 두는 반면 나 자신을 돌아보는 일은 쉽지도 않고 관대하기도 하지요. 미미님의 글에 완전 공감하고 더 많은 생각을 해볼 기회가 생긴것 같아요.
제가 소설을 많이 읽는데 그나마 좋은 거네요^^

청아 2022-03-17 16:56   좋아요 5 | URL
실제 경청과 독서를 통한 경청이 참 유사하다고 생각해요. 특히 소설은 내가 경험할 수 없는 장소,시대,사건,관계를 통해 적극적인 경청의 경험이기도 하고요. 페넬로페님도 앞으로의 우주 여행이 쭉 멋질거라 믿습니다.여정을 함께하고픈 분~^^♡

단발머리 2022-03-17 20:33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검사는 본인이기에 자료가 넘쳐 납니다.

너무 맞는 말씀이고 너무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자료가 넘쳐나기에 더 관대하겠지요. 전... 뭐랄까요. 이런 태도가 잘못된 것일수도 있겠지만, 어쩌면 평생 이해할 수 없는 타인이 혹은 그런 관계가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노력해도 안 되는 관계요. 안 만나는게 제일 좋겠죠 ㅎㅎㅎ
정치적인 면에서라면, 서로를 완전히 이해한다기 보다는 의견 차이를 좁혀나가되 어느 것이 더 우월한 의견인지, 어느 것이 더 다수를 위한 것인지 끊임없이 경합하는 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미미님 페이퍼를 읽었더니 여러가지 생각이 떠오르네요. 좋은 글, 좋은 사유 감사합니다^^

청아 2022-03-17 21:15   좋아요 3 | URL
읽어봐 주셔서 감사해요!
평생 이해할 수 없는 타인. 있지요!ㅎㅎㅎㅎ
특히 이쪽에선 나름 관망하고 이해하려 해도 그 상대가 나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1도 안한다면 참 난감해지곤 합니다. 그래도 제 경우 곁에 두는 편이예요. 전혀 다른 관점사이에도 교차점이 있고 때로 배울점이 있더라구요.

정치적인 면에서의 경합!
멋진 표현입니다.👍 우리나라는 특히 정치적 토론문화가 없어 많은 갈등이 붉어진다고 생각해요. 정치적인 경합,토론,열띤 논쟁만이 갈등을 해소하고 서로를 좀더 이해할 수 있는 길이라고 봐요. 적어도 이곳은 서로 입장차이가 있어도 욕을 할 수 없으니 논쟁적이어도 논리를 어느정도 갖추어야하는 장점도 있고요.

사실 정치인들보다, 이른바 전문가들보다 지식인들, 학자들, 시민들이 사회문제에 열띤토론을 주고받아야 건강한 사회라고 생각해요.

갈등의 당사자들이 그런 기회를 얻는다면 더없이 좋겠죠.2030 남녀가 멸칭이나 욕설없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토론할 여건이 주어진다면 지금과 같은 분노와 혐오는 설자리를 잃게 될꺼라고 믿어요.
댓글로도 생각꺼리를 던져주신 단발머리님께 제가 더 감사해요♡.♡

희선 2022-03-18 00:5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먼저 자신을 잘 알아야 남도 조금 알지도 모를 텐데... 남을 다 알기 어렵겠지만 알려고 애쓰면 조금 낫겠지요 자기 말만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하는 말도 잘 들으면 자신과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구나 하겠습니다 그러다 보면 자신을 넓힐 수도 있겠지요 어려운 거지만...


희선

청아 2022-03-18 10:15   좋아요 2 | URL
네! 희선님~♡ 쉽지 않지만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해요. 누구나 자기 말을 들어주길 원하기에 서로 노력한다면 좀더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을테니까요. 어떤 사람은 누가 자기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살맛난다고하더라고요.ㅎㅎ

오늘 공기가 맑아졌네요. 상쾌하고 유쾌한 하루 보내시길요😄

mini74 2022-03-18 10:3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몇 번을 읽었어요 미미님 *^^* 👍 미미님 글 넘 좋아요 ㅎㅎ 경청하며 공정한 잣대를 갖도록 , 타인을 이해하도록 노력해야겠어요 미미님 글 읽고 생각할 수 있어서 넘 좋아요 ~~

청아 2022-03-18 10:52   좋아요 2 | URL
미니님♡.♡ 몇번이나 읽어봐 주시고 감동입니다ㅎㅎ 저도 늘 부족하고 이 글과 달리 행동하고 후회할 때도 있지만 ‘지향‘하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되는것 같아요. 어차피 이 방면에 완벽이란 없으니 늘 수련인의 자세로 고고씽해야겠어요. 미니님은 이미 저보다 훨 잘하고 계실꺼란 느낌이 있습니다.🤭

페크pek0501 2022-03-18 10:4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미미 님의 글을 읽으니 행복도 능력이다, 라는 말이 생각납니다.
능력이 있으려면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지요.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청아 2022-03-18 10:57   좋아요 2 | URL
페크님이 읽어봐 주시고 격려도 해주시니 오늘 넘 기쁜날이네요~♡ ‘행복도 능력이다‘ 일리가 있네요.ㅎㅎ이 책을 읽다가 ‘나와 타인을 대하는 태도가 결국 동일하다‘는 심리학자의 말이 생각나 적어봤어요. 함께 이런 생각을 나눌 수 있는것도 큰 행복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22-03-18 11: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위의 다락방 님 댓글 읽다가 문득 며칠 전 여성가족부로 토 달던 알라디너 생각이 나네요. 정작 본인은 여성가족부와 여성할당제에 대해 전무한 지식의 소유자였다능....

청아 2022-03-18 11:37   좋아요 2 | URL
저도 바로 그 생각이 나더라구요. 아마 여성가족부나 여성할당제를 반대하는 분들 대부분이 그런식으로 실정을 모르고계실거예요. 관련기사 댓글을 봐도 근거는 보이지 않고 보수당에서 억지 부리는 말 그대로의 반복에 악플만 덧붙여져 있거든요. 남녀갈등이 이렇게 심각할때 언론사가 나서서 젊은 세대들이 이런 주제로 토론할 수 있는 프로를 만들어주면 좋겠는데 죄다 기성세대, 정치 ‘전문가‘들 뜬구름잡는 공허한 이야기들 뿐입니다.

잉크냄새 2022-03-19 12: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심리학적으로 인간의 두뇌 구조 자체가 스스로를 바라볼 때는 인물보다 상황을 주로 보고 타자를 볼때는 상황보다 인물에 집중한다고 하네요. 그래서 스스로에 대하여는 ‘그때 상황이 어쩌구 저쩌구~~~‘하는 합리화가 자연스러운 반면 타자에 대하여는 ‘그 인간이 어쩌구 저쩌구~~~‘하는 비난이 자연스럽다고 하네요.

청아 2022-03-19 12:42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흥미롭네요. 그런면에서 소설은 인간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맞네요. 타인의 상황을 들여다볼 기회를 만들어주니까요. 심리학은 어렵긴한데 알아두면 여러가지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것 같아요.ㅎㅎ 잉크냄새님 알려주셔서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