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글쟁이들 - 대한민국 대표 작가 18인의 ‘나만의 집필 세계’
구본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안타깝게도 지금은 고인이 되신) 한겨레 신문의 구본준 기자가 당시 주목받은 대중 인문서 필자분들을 인터뷰한 글 모음이다. 면면을 나열하자면 정민, 이주헌, 이덕일, 한비야, 김용옥, 구본형, 이원복, 공병호, 이인식, 주강현, 김세영, 임석재, 노성두, 정재승, 조용헌, 허균, 주경철, 표정훈.

 

이 책은, 대중 인문저자의 자료 접근에 대한 자세를 배울 수 있다는 점이 참 좋다. 소설 등 문학 작가의 작법에 대한 책은 많다. 그러나 문학 외 분야 필자의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책은 많지 않으니까 말이다. 게다가 이 책은 인터뷰 모음집이다. 그래서 독자는 저자가 일방적으로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는 것이 아니라 구본준 기자의 입장에서 정리해준 이야기를 듣게 된다. 또 담당 편집자 등 저자 주변에서 같이 일하며 저작 작업을 지켜본 사람들이 평가하는 저자의 장점도 구본준 기자는 함께 전한다. 한마디로 프로들의 입장에서 높이 평가하는 프로들의 자세를 배울 수 있어 좋다. 비문학 분야의 대중 저술가가 되고 싶은 꿈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에서 배울 점이 많을 것이라 장담한다. 자료를 모으고 아이디어 키우고 기록하며 규칙적으로 집필하는 것이나 건강 등 자기 생활 관리하는 것 등등.

 

어떤 정보 하나를 찾으면 그 뒤로 연관 정보들이 줄 서서 대령하고 있었던 것처럼 계속 나와요. 심지어 글 쓰다가 피곤해서 무심코 아무 책이나 집어 들어 펼쳤는데 논문과 관련된 페이지나 막힌 생각을 뚫어주는 힌트가 들어 있는 대목이 나올 때도 있어요. 그것도 생각 이상으로 자주 그래요. 그럴 때는 정말 소름이 쫙 끼쳐요.

- 12쪽, 정민 편.

 

자신의 취향보다는 독자들이 관심 가질 만한 것을 고르는 것이 원칙이다.

- 33쪽, 이주헌 편.

 

이씨는 자신의 가장 큰 무기이자 밑천은 단연 사관 그 자체라고 잘라 말한다.

- 48쪽, 이덕일 편.

 

건강관리, 궁극적으로는 자기 몸이 젊어지는 것이야말로 프로 저술가의 기본이라고 도올은 설명했다.

- 66쪽, 김용옥 편.

 

그는 자기가 고민했던 문제, 해결하려 했던 문제를 책으로 쓴다.

- 84쪽, 구본형 편.

 

주씨는 자료가 공부의 반이라고 말한다.

- 141쪽, 주강현 편.

 

자료는 눈덩어리 같아서 어느 정도 규모가 되어야 굴러가요. (중략) 자료가 오히려 연구주제를 넓혀주기도 하는 거죠.

- 169쪽, 임석재 편.

 

저술은 체력이며 글은 엉덩이로 쓴다.

- 184쪽, 노성두 편.

 

그는 전문가 글쟁이라면 지식을 묶어서 이어주는, 지식의 넘나들기 전문가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 194쪽, 정재승 편.

 

한 문장에 하나의 생각, 문어와 구어의 일치가 글쓰기 철학이라고 잘라 말한다.

- 208쪽, 조용현 편.

 

역사를 왕조 중심이 아니라 문화와 일상으로 살펴 본다는 점이다. (중략)

서구 중심으로 유럽과 세계를 보는 시각을 교정시켜 주는 점도 독자들이 꼽는 주 교수 책의 장점이다.

- 227쪽, 주경철 편.

 

2006년인가 2007년인가, 한겨레 신문 지면에 연재될 당시 인터뷰 기사로 읽다가, 2008년에 책으로 나오자마자 구입한 책이다. 당시의 나는 학원 못 다니거나 과외 못 받을 형편의 아이가 자습서 한 권 구해서 두고두고 반복해서 풀듯, 그렇게 소중하게 이 책을 읽었다. 다시 보니 감개무량하다. 그 때의 나는 이분들을 존경하고 한편 부러워하며 이 책에 소개된 전작들을 색연필로 줄쳐가며 다 찾아 읽었더랬다. 특히 역사 분야의 이덕일, 주강현, 주경철 선생님 편을. 그 후 거의 10년.

 

다시 읽어보니 그동안 발전을 거듭해서 그 분야의 대가가 되신 분도 있고, 발을 헛디디신 분도 있고, 이렇다할 대표작을 못 쓰시고 강연이나 다른 일에 더 열심이신 분도 있다. 겨우 10년 지났는데 말이다. 저자건 리뷰 쓰는 일반 블로거건, 5년 10년 20년 오래 겪어 보고 평가할 일이다.  

 

걍, 최근에 만난 친구에게 이 책 이야기를 하다가 다시 읽고 이제서야 뒷북 리뷰를 올린다.

새삼, 길게 보고 길게 계획을 잡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226쪽, 주경철 교수님 편의 책 사진.

그리고, 혹시 작가가 되고 싶으신 분이 계신다면,

 

그는 글 잘 쓰는 법에 대해 질문을 받으면 "소설이든 아니든 1천매짜리 원고를 책 쓰는 심정으로 먼저 써보라'고 권한다. 원고지 1천 매는 300쪽 안팎의 책 한 권 분량이다. 책 한권을 써 보는 첫 경험이 가장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그런 경험의 유무는 글을 쓰는 데 있어 하늘과 땅의 차이가 된다.

- 241쪽, 표정훈 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쿠자누스 2016-05-06 0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은 제목을 `인간문화재 열전`으로 바꾸어도 좋겠어요. <노름마치>의 저자 진옥섭을 추가한 개정판이 나와야 하는데 구본준 기자가 고인이 되었다니 애석합니다.

자유도비 2016-05-08 01:04   좋아요 0 | URL
거의 10년전 책이라, 그 세월동안 각각 다른 행보를 보이는 저자분들의 지난 이력 생각해보며 읽는 재미가 있더라고요.
고인이 되신 저자의 일은, 참으로 가슴 아프고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