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유기 3 ㅣ 창비아동문고 134
김정호 엮음, 김환영 그림 / 창비 / 1994년 2월
평점 :
갑자기 <서유기>에 꽂혔다. 어릴적에 어린이용 동화책이 아니라 꽤 두꺼운 책으로 여러 번 읽었지만 집에 있던 그 책은 완역본
정본은 아니었던 것 같다. 어려운 한자어가 많았고 목판화같은 삽화가 있었다. 손오공의 모험 위주 만화와 달리 알쏭달쏭 심오한 내용이 많았던 것
같은 기억이 난다.
꽂힌 김에, 완역본으로 제대로 읽으려고 검색해보니 만만찮은 분량이다. 문학과 지성사, 솔 출판사 본이 있다. 일단 어릴적 기억과 대조도 해
볼 겸 가볍게 워밍업 해 보려고 축약본을 다시 검색했다. 그러다 만난 책이 이 책이다. 지난번 <사랑의 학교> 완역본을 좋게
읽었기에 창비의 이 시리즈로 믿고 골랐는데 괜찮은 선택이었다.
줄거리야 누구나 다 아는 그 이야기이다. 손오공이 삼장법사를 수행하여 저팔계, 사오정과 함께 천축국에 불경을 구해오며 방해하는 요괴들과
싸우는 이야기. 이 책은 너무 손오공의 모험 위주로 축약하지 않고 알고보면 구도 과정인 완역본의 느낌을 비교적 살렸다. <서유기>를
처음 읽지만 10권짜리 완역본은 부담스러운 어른 독자에게 적합하다. 단, 금각대왕과 은각대왕을 '누런뿔 대왕'과 '흰뿔 대왕' 하는 식으로 너무
풀어 번역한 점은 어른 독자로서는 아쉽다.
읽다보니, 어린 시절에 <서유기>를 읽으면서 품었던 의문들이 착착 살아 비늘처럼 우수수 일어난다. 그리고 새로운 의문들,
또다른 의문들이 꼬리를 문다. 아, 이렇게 또 새로운 세상을 만나고 내 나름 새로운 구도의 길로 또 들어서나보다. 하하.
* 어릴 때부터 품었던 의문
손오공은 왜 취경길에 근두운 타고 가지 않고 14년동안 걸어갔을까
손오공은 왜 돌에서 태어났을까. 그 의미는 뭘까
여자 요괴들은 왜 이리 일행들을 붙들고 결혼하려 할까
저팔계는 왜 걸어다닐까
삼장법사는 왜 이리 띨띨할까
* 새로 생긴 의문
고대인들이 보는 돌의 생명력?
손오공과 가보옥의 유사성
손오공과 피노키오의 유사성
화엄경, 서유기, 천로역정,,,
부처 옆에서 경전을 배우다가 왜 어떤 동물은 요괴가 되는가?
관음보살이 버들가지를 들고 다니는 이유, 버들여신과 연관성?
불교를 내세웠지만 도교가 강하게 느껴지는데 이건 위장?
서유기에서 느껴지는 연금술적 상징
취경인들이 유혹에 빠지는 상업 도시, 명대 도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