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메이징 인포메이션 - 만화로 배우는 정보와 검색의 모든 것 어메이징 코믹스
맷 업슨 외 지음, 케빈 캐넌 그림, 노승영 옮김 / 궁리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Amazing Information

 
20170802_081448_resized.jpg


 "Googling하세요!" "녹색창을 찾으세요!" 궁금한 거 다 해결해주는 인터넷이 있는데, 고리타분하게 왠 도서관이냐고? 정보검색이야 손가락만 있으면 하는데 굳이 정보검색하는 법을 알려주는 책이 필요하겠냐고요? 오해랍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오래 붙잡고 검색한다고 해서  ‘정보문해력(information literacy)’이 절로 갖춰지지는 않거든요. 정보 과부하의 시대에 옥석을 가르고 필요한 정보를 찾는 것은 훈련으로 길러집니다. 《어메이징 인포메이션 (원제 : Information Now: A Graphic Guide to Studemt Research) 》 가 그 훈련 가이드가 되어줄 거예요. 대학생은 물론 교수와 사서들이 특히 출간을 환영했을 것 같은 이 책은 사서 및 도서관 관장을 역임하고 현재 오클라호마 주립대학(Oklahoma State University) 조교수인 맷 업슨 (Matt Upson)이 쓰고, C 마이클 홀 (C. Michael Hall)이 그림을 그렸답니다. '정보 과부하,' '정보문해력,' '통제어휘(controlled vocabulary),' '딥 웹,' '표절' 등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일부러 그래픽 노블 형식으로 책을 썼대요.
*
《어메이징 인포메이션 》은 도서관 사서 캐릭터가 마치 대학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듯, 정보를 어떻게 찾을 것이며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평가할지를 차근차근 가르쳐주는 형식으로 내용이 진행된답니다. 만화라고 만만하게 보면 큰 코 다칩니다. 생각보다 정보량이 상당합니다. 또한, 읽다보면 '어! 평소 무심코 지나갔던 부분인데, 사실 나 잘 모르는구나!'를 깨닫게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교 보고서 참고문헌 목록에 '네이버'니 '위키백과'를 올리는 것을 지도교수가 싫어한다면 왜일까요? 이용자 기반의 개방형 웹사이트에 올라온 정보는 신뢰할 수 없는 경우도 있기에 이를 출발점이나 징검다리로 활용할 수는 있으나 이를 최종 자료출처로 쓸 수는 없답니다.
20170802_081542_resized.jpg
《어메이징 인포메이션 》의 저자들은 구글과 위키피디아에만 기대지 말고, 도서관 장서목록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줍니다. '동료평가'를 거친 검증받은 학술지 논문은 구글에 전문이 실리는 경우가 많지 않고, 논문 원문을 디지털 관문 뒤에 놓았기에 접속권을 가진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일반검색, 고급검색, 절단검색 등의 방법을 동원해서 찾아낸 논문은 PDF 원문 파일을 다운로드받거나 상호대차를 신청해서 받아보면 됩니다.
*
 2, 3, 그리고 4장에서는 도서관에서 검색을 언급했다면 《어메이징 인포메이션 》의 5장은 도서관 밖, 온라인에서 제대로 정보 찾는 노하우를 알려줍니다. '딥 웹 (DEEPWEB)'은 검색 가능한 웹보다 훨씬 큰데, 검색 가능한 웹이 해수면이라면 바다속에 비유될 수 있겠지요. 6장에서는 이렇게 건진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7장에서는 윤리적으로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흔히 말하는 '출처표시법'이 되겠지요. 저는 《어메이징 인포메이션 》덕분에 처음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이 쓰는 APA에서는 출처목록을 참고문헌(reference), 영문학에서 많이 쓰는 MLA에서는 '인용문헌 (Works Cited)'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았어요. 조테로(www.zotero.org)같은 무료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출처표시를 관리하거나  많이 연습을 해봐야 출처표시에 숙달되어 자신도 모르게 표절을 범하는 우를 저지르지 않겠지요?
2.jpg
 요즘 대학입학을 앞둔 예비신입생 자녀들에게 부모님들이 해외여행이다, 성형수술이다 피트니트 센터 회원권 끊어주는 선물들 많이 하시던데, 가장 필요하고 효용이 큰 선물을 제안하겠습니다. 바로 《어메이징 인포메이션 》을 선물하고 함께 읽는 것이지요. 이 책의 내용을 숙지하고 대학 생활을 시작한다면 보고서 과제의 폭풍우에서도 잘 살아남아 A+보고서는 쓰는 것은 물론 '정보문해력'을 키워서 미래의 연구자로 성장할 기반을 닦을 수 있겠어요.  이 놀랍도록 유용한 인포그래픽노블을 그 명망 높은 시카고 대학 출판사(University of Chicago Press)에서 출간한 것은 우연이 아니랍니다. 강력하게 대학 신입생 및 연구를 시작하는 대학원생과 도서관 사서에게 추천합니다. 《어메이징 인포메이션 》을!
3.jpg
 
한국어판 특별 부록으로는 <한국십진분류법(KDC)>와 <듀이십진분류법 (DDC)>  최신판도 수록했으니 참고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