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 뜨거운 기억, 6월민주항쟁
최규석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100뜨거운 기억, 6월민주항쟁

20170717_101644_resized.jpg


"사람도 100씨가 되면 분명히 끓어. 그것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네."
"선생님은 어떻게 수십년을 버텨내셨습니까?"
"나라고 왜 흔들리지 않았겠나. 다만 그럴 때마다 지금이 99도다...그렇게 믿어야지."


 

20170717_102351_resized.jpg

*

 5시 마감하려는 도서관에서 아주 우연히 제목, 아니 부제를 보았고 지체없이 대출했다. <100도씨>의 부제는 "뜨거운 기억, 6월민주항쟁"이었다. 주말 새로 읽기 시작할 책을 예닐곱권 쌓아두었는데도 이 책을 집어든 이유는 부끄러움 때문이었을 것이다. 더 단순히 기억하자면, "알아야 겠다. 잘 모른다."

*

비슷한 이유에서 저자 최규석은 '6월민주항쟁계승사업회'로부터 처음 작업 의뢰가 들어왔을 때 거절할 심산이었다고 한다. "첫 이유는 내가 그 사건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다는 것이었다. 1987년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나는 그 사건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었고 주변의 어른들 또한 직접적 기억이 없었다. (208)" 그런데 속상하게도 분명하게 기억나는 그 당시 사건은 있다. 바로 IMF 때, "금모으기운동"에 비할 수 있는 "평화의 댐 모금" 사건이었다. 오후 5시가 되어야 시작하던 공영방송이 이 무렵 왠일인지 종일 전파를 타면서 코 질질 흘리면서 돼지저금통 안고 나온 초등학생이며 쌈짓돈 들고 나오신 할아버지를 보여주었다. '참 신기하다.'하면서도 나 역시 저금통을 깬 돈을 "애국"하는 마음으로 모금함에 넣었다. 본문에서는 이 부분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고문하고 죽이고 단일사건으로 천명을 넘게 잡아가도! 댐 터진다고 공갈치면 그걸로 끝이야. 북한에 마징가가 있다고 해도 믿을 사람들이야 (76)"

 20170717_101857_resized.jpg

 

 

최규석 화백은 "과연 내가 할 수 있는 일일까 겁을 먹고 벌벌 떨 (211)"었다고는 하지만 그의 <100도씨> 덕분에, 왜 사람이 끓어야 하는지, 한 사람의 열걸음이 아닌 "열사람의 한 걸음"이 더 힘이 있는지 느낄 수 있었다. 작가의 말에서 최규석 작가는 "6월항쟁 당시 명동성당에 격리된 사람들에게 밥을 해 먹였던 철거민들은 지금까지도 여전히 맞고 쫓겨나고 잇고, 노동자들은 제 처지를 알리기 위해 전태일 이후로 수십년째 줄기차게 목숨을 버리고 있지만 연예인 성형 기사에 묻히는 실정이다. (208)" 마찬가지로 본문의 표현인 "타인의 피로 얻을 과실을 따먹고 있는 (209)"사람들이 감사는 커녕, 애써 얻은 과실이 썩어가는 데도 내버려두기 때문이다.
 
20170717_102225_resized.jpg
 
20170717_102209_resized.jpg


 

20170717_102215_resized.jpg

 

 

20170717_102808_resized.jpg


 <100도씨>는 처음에 학교에 배포될 목적으로 CD롬 형태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애초 교재의 용도였는데, 강좌형식으로 '민주주의'에 대한 강의를 덧붙여 다시 펴낸 것이다. 아주 많은 사람이 읽었을 테고, 더 많이 읽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책프2주차의 도서 자유리뷰를 <100도씨>로 정해보았다.  작년 가을부터 올 봄, 촛불이 뜨거웠는데 100도씨였을까? 촛불이 꺼지지 않으려면 한 사람이 아니라, 열 사람, 또 백 사람, 염원하고 움직여야 겠다. 남의 피로 얻은 과실을 따먹지만 말도록 염치를 가지고 움직여야겠다.

20170717_102919_resized.jpg


 

20170717_103141_resized.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