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당신이 옳다 - 이미 지독한, 앞으로는 더 끔찍해질 세상을 대하는 방법
자크 아탈리 지음, 김수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언제나 당신이 옳다

 

20170712_143320_resized.jpg

 

폼나 보이는 필독서 같아서 갖다만 놓고, 두께와 난해도에 압도당해 차마 손을 못대는 책들은 누구에게나 있게 마련이다. 나에게 자끄 아탈리(Jacques Attali)의 <등대>도 그 중 한 권인데 딱 봐도 프랑스풍 "지성미"가 폴폴 풍기는 작가의 외모 때문에 책을 골랐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j4E4TeR7.jpg
 
고백하자면,  "너무 두꺼워서" <등대>에 도전하지 않았는데도, 서문의 화두가 인상적이었다. "어떻게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정신의 위대함에 대해 말함으로써 환희의 샘이 되기도 하는 (자크 아탈리 2013[2010]:9)" 그 '자기자신 되기(Devenir soi)'는 <언제나 당신이 옳다 (원제:Devenir soi)> 를 관통하는 핵심어이기도 하다. "자기자신 되기"는 "다른 사람의 불확실한 행동을 상관하지 말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지배하는 쪽에 내기"를 거는 (자크 아탈리 2016[2014]: 12) 태도이기도 한데, 이는 악의 세력이 부상하고 이미 끔찍하나 앞으로 더 끔직해질 세계에서 더 중요한 생존 전략이다.
*
20170711_174643_resized.jpg
 
자크 아탈리는 "나는 이제 지쳤다.… (중략) …그들 (권력자들)이 앞세우는 회의적인 태도와 파렴치함, 자기도취, 자기만족, 이기심, 탐욕, 소심함, 오만함을 보는 데에도 질려버렸다 (2016:11)"라며 권력자들에게 아무 것도 기대하지 않겠고, 차라리 내가 변하고 다른 사람을 변화시키는데 힘을 보태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다. 아탈리에 따르면 미래 사회에는 폭력, 무관용, 환경재앙, 식량 부족과 불균형, 빈부격차 특히 양극화, 실업 문제, 범죄율 상승, 인구노령화에 따른 다양한 문제들이 더욱 심각해질터인데 권력자들은 마치 자신을 선출해주면 문제를 다 해결해 줄 수 있는 양 포퓰리즘의 공약을 남발하지만 실제로는 그럴 능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한다. 그런데도 세상을 바꿔보려 하는 대신, 스스로를 무능하다고 여기기에 이런 무능력한 권력층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많아, "참 희한한 세상"이라고 자크 아탈리는 탄식한다. 그리고 그런 류의 사람들에게 '정치소비자,' 혹은 "체념하고 요구하는 자 resignersreclamants' 라는 굴욕적인 이름을 지어준다. "지레 체념한 채 자신의 인생을 선택하지 않고, 동시에 그들이 속박 받는 것에 대해 대가를 요구 (36)"하는 이들을 말한다. 듣기만 해도 굴욕적이고 두렵다. 내가 그런 "체념하고 요구하는 자"가 될까봐.
*
20170711_173932_resized.jpg
다행히 자크 아탈리는 긍정적인 메시지도 전한다. 우리 모두에게는 '자기 자신이 될' 힘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저항하는 법을 배우고 결정론적 사고에서 벗어난"다면 자기자신이 된 사람들이 대거 배출되고, 또 그 사람들이 서로를 도와서 세상을 더 살 수 있는 곳으로 만들리라는 것이다.
*
귀가 솔깃해진다. 그렇다면 HOW?가 문제인데……<언제나 당신이 옳다>의 2장, 3장, 4장이 바로 그 "HOW"를 위해 할애된 장이다. '자기 자신 되기,' 즉 인생의 주인인 롤 모델들을 숱하게 예시로 보여준다. 알콜 중독에서 벗어난 스티븐 킹, 트랜스 젠더 중국 무용수 진싱, 커트 코베인 등의 예술인들은 물론 창업에 뛰어들어 인생의 주인이 된 기업가도 소개한다. 정치 혹은 사회 활동가로서 국가의 결핍분, 무능력함을 메워주는 사람들의 예도 소개한다.
자크 아탈리는 이렇게 '자기 자신 되기'에 성공한 이들의 교육의 혜택을 입었다고 보지 않는다. 도리어 교육은 "아이들에게 기존 사회를 재생산하도록 가르칠 뿐 (179)"이라며, 그보다는 변화의 '계기'를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계기와 계기 사이에는 침묵과 집중, 명상의 단계인 '휴지기'가 필요한데 휴지기는 다시 다음의 다섯 단계로 심화될 수 있다.
1. 인간이 처한 상황과 주변 상황, 다른 사람들 ˖문에 자신의 삶에 가해진 속박과 한계를 파악한다.
2. 스스로를 존중하고 존중받도록 한다.
3. 자신의 고독을 인정한다. 다른 사람에게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는다.
4. 자신의 유일성을 성찰하라. 일생 동안 여러 재능을 동시에, 혹은 차례로 발현할 수 있다는 것도 인식한다.
5. 참자아를 발견한다. 스스로 선택한다.  

 

 좋은 말씀이라는 걸 알겠다. "언제나 당신이 옳다"라는 한국어판 제목도 사실, 용기를 주는 말이다. 휩쓸려가거나, 힘있는 자들에게 의존적이 되기 쉬운 세상에서 '네 안의 힘'을 믿고 '네 재능을 발휘하여 네가 원하는 대로 살라'고 메시지를 주니 참 듣기에 아름다운 말이다. 게다가 실제 그렇게 해서 '자기 삶'을 살고 '타인에게도 그들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영감을 주는 이들'이 많다니 고무적이고.

그. 러. 나.

아탈리의 "자기 자신 되기"를 읽고도 공허가 풀리지 않는다. 그가 구체의 언어보다는 한차원 걸러진 어휘를 써서 일지도 모르겠고, 그 역시 지식 혹은 지식인이라는 권력을 쥔 소수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가 '교육이야말로 체제순응적, 체제 재생산의 도구적 인간형'을 양산한다고 비판하지만, 그가 이렇게 정교한 언어로 전 세계인들에게 '자기자신되기'를 촉구할 수 있음도, 결국은 그 교육의 기회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잘 활용했기 때문이 아닌가. 가지지 못하고, 고통이 앞서서 '성찰'이라는 말이 사치인 이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유일성을 성찰'하라는 조언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내가 자탈리를 잘 몰라서 하는 말이겠지만, 그는 적어도 무더운 여름날 소똥 냄새 나는 농장에서 땀흘려 일할 사람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시원하게 내린 더치 커피를 마시며 책을 보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인데....삐딱선을 탐은 내가 그를 질투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유일성은 고독이라는 동전의 이면 (196)"
*
"인생의 궁국적인 목표는 '체념하고 요구하는 자'가 되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그 대신 창조자가 되어 자신이 지닌 고유한 가치와 열망에 따라 정의한 '나만의 의미 있는 삶', 즉 어느 누구도 똑같은 방법으로 디자인해낼 수 없는 삶을 사는 것을 말한다. (197)"
*
"자본주의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한다. 즉 인간을 노동하고 소비하는 사물, 이윤의 순수한 원천으로 변화시킨다. 그후 자본주의는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해서 스스로 사라진다. (211)"

20170711_190035_resized.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