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이 보일 때까지 걷기 - 그녀의 미국 3대 트레일 종주 다이어리
크리스티네 튀르머 지음, 이지혜 옮김 / 살림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生이 보일
때까지 걷기 미국 3대 트레일
종주기
독일어 까막눈인지라 원제
의 뜻을 모르겠으나 한국어판 제목, <生이 보일 때까지
걷기>를 자꾸 곱씹게 된다. "생이 보일 때까지" 걷겠다면, 저자 크리스티네 튀르미
(Christine Thurmer)는 아직도 그 "生"이란 걸 찾고 있는 걸까? 1967년생, 한국 나이로 51세인 이 분은 여전히 고국인
독일에 집도 두지 않고 전 세계를 누비며 걷고, 사이클 타고, 걷고 있으니까. 여전히 생을 찾고 있나보다. 그녀의 개인 블로그( http://christine-on-big-trip.blogspot.kr/ )의 자기
소개란에서 " I still have not had enough."라 하는데 도대체 무엇이 아직 덜 충분하다는 뜻일까? <생이 보일 때까지
걷기>를 너무 재미있어서 단숨에 읽고 나서도, 난 아직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 왜 걷는지 잘 모르겠더라. 본인이 카페인 중독이 아니라
식수조차 귀한 산 속에서 다행이라던 그녀는 그냥 "걷기 중독"일까? 왜 걷는지 잘 모르겠더라. 열심히 책을 읽었는데도 도통 모르겠어서, 그게 참
신기했다.
*
뒤집어 생각하면 크리스티네 튀르미야
말로 걷기 자체가 목적인 도통한 사람인지도 모르겠다. 사사로운 '무엇'을 위하여가 아니라, 그저 낯선 곳을 걷는 자체가 즐거운 사람. 일반
하이커들과 차원이 다른 사람. 그녀는 트리플 크라운 (멕시코와 캐너다 국경 사이의 PCT 4277km, CDT (4900km), 미국 동부의
AT (3508km)를 완주한 자에게 미국 장거리 하이킹 협회가 수여함)을 받는 다거나, 걸어서 다이어트를 하거나 지병을 고치고
건강해지겠다거나, 정신적 성숙을 도모하겠다거나, 자연과 일체가 되어 자유를 느끼겠다거나 하는 구체의 목적을 잘 언급하지 않는다. 속된 말로,
맘이 내키면 행동으로 옮겨 바로 걷는다. "오로지 걷는 것이 목적"이 진정한 걷기의 달인인 것이다.
170cm가 넘고, 족히 80kg은
넘어 보이는 거구에 평소 운동 한 번 제대로 안 해본 30대 여성이 어느 날 갑자기 필 받아서 미국행 비행기에 오르고 총 4277km에 이르는
PCT 길을 종주한다. 다시 독일로 돌아와 잡 인터뷰를 하는데 사장단에게 질문을 받는다. "PCT, 그게 뭡니까? 자아를 찾는 여행?"이라는 질문에 그녀가 받아 친다.
"빌헬름 사장님, 진작 자아를 찾지 못한 사람은 그런 트레일을 절대 완주할 수
없습니다. 다섯 달 동안 혼자서 야생 속을 걸으려면 떠나기 전에 이미 자기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죠.(235)" 이 문장이 암시하듯이 <생이 보일 때까지 걷기>는 한국인 독자가 기대하는 것처럼 자연
속에서 나를 찾는 여행을 그리는 책이 절대 아니다. 나 역시 착각하고 읽기 시작했다가, 왜 그런 착각과 기대를 했을까를 역으로 내 자신을
정신분석했으니까. 쓰루하이커(through-hiker) 사이에서 GT (German Tourist)로 통하는 그녀는 독일인 독신 여성의 시각에서
미국 문화와 다른 국적의 쓰루하이커들을 관찰한다. 하이킹에서조차 1등을 하고 싶어하는 미국인들에게서는 성과 제일주의를 읽어낸다. 겉으로는 자유를
표방하지만 동성애자들의 무지개 상징에 긴장하고 온천 앞에서 나체되기를 꺼리는 미국인의 이중성을 비웃는다. 그렇다고 그녀가 자연 속에서 신의
섭리를 찾는다거나 우주의 기운을 느끼는 것도 아니다. 그냥 땅이 보이니까 걷는다. 걸으면서 도시에서의 인간 군상들을 묘사하듯, 트레일 도중에
만난 인간 군상들을 묘사하고 그들 세계의 보이지 않는 규칙과 관계맺음의 논리를 보여준다. 공간이 대자연으로 바뀌었을 뿐, <생이 보일때까지
걷기>는 등장 인물 수십 명 나오는 대도시를 배경으로 한 소설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나의 인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