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확실한 시대의 과학 읽기 - 과학과 사회를 관통하는 생각의 힘을 찾다!
김동광 외 지음 / 궁리 / 2017년 2월
평점 :
불확실한
시대의 과학읽기
"구제역, 화학물질, GMO, 핵발전소 문제
등의 책 속 주제들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활발히 토론되어야 하는 끝나지 않는 논쟁입니다. 과학은 여전히 논쟁 중입니다.
(17쪽)"
"잘 몰라서……
," "A는 A라고 뉴스에 나오지
않았어요? 그게 답 아닌가요?" 과학적 이슈에 일반인으로서 흔히 보이는 반응이 '난 전문가도 아닌데……, 몰라도 지장 없지 않나요?' 아닐까? 그런데 <불확실한 시대의
과학읽기>의 공저자들이자 '시민과학센터'의 연구자들은 이런 태도가 '아니올시다다'라고 일깨워준다. 우리 시대, 과학기술의 시대에서
불확실성은 제거 불가능한 하나의 요소이기에 일부 전문가 그룹에 판단과 해결을 다 맡겨버리지 말고, 우리 자신의 문제로서 스스로 과학논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구제역, GMO, 핵발전소 문제는 사회 다양한 주체들과 활발한 논의를 거치고, 앞으로도 논의해야 할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는 아직도 일원적 '탑다운(top-down) 규제' 제일주의에 매여 있다는 비판도 함께한다. 즉, 시대를 거스른 이런 식의
규제방식은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민주적 거버넌스 governance)'를 되려 거스르는 흐름이라는 것이다.
*
전신 '참여 연대 과학기술민주화를 위한
모임'이었던 '시민과학센터' 소속 공저자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건설적 논쟁을 촉발하는 사명감에 부합하도록 참 흥미로운 주제들을 선정했다. 아래는
<불확실한 시대의 과학읽기>의 각 챕터 제목인데, 평소 과학기술에 딱히 관심 없던 일반인이더라도 '혹'할 만큼' 흥미로운 소재들이다.
· 구제역 사태, 대규모 살처분이 유일한 방안일까?
· 변형 조류인플루엔자, 과학자들의 연구 활동 자유를 어느 선까지 보장해야
할까?
· GM 식품, 단순히 먹고 안 먹고의 일차원적 질문에서
벗어난다면?
· 프로작이 과연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을까?
· 화학물질의 유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 불확실한 기후과학 위에 차려진 탄소시장의
정체는?
· 핵발전소와 핵폐기물 관리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다만 <불확실한 시대의 과학읽기>의
필진이 기술사회학, 과학사,
생명공학 등 각자의 세부전공이나 활동하는 주요 소속단체 면에서 배경이 다르고, 편집서를 내기 이전 원문을 실었던 매체와 원문의 최초 출간한
연도도 다양한 만큼 이것들을 통일감 있게 어우르는 작업이 어려웠겠다 싶다. 이책을 '과학교양서'로서 제시했다면 공저자 중 누군가 대표필진이 이
책의 기획의도와 지향을 명확히해주는 머리말을 실어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머리말을 대신해 궁리 출판사 측에서 '권두좌담'을
실어주었지만, 한정된 지면 때문이었을까? 저자들이 지향하고 주장하는 활발한 소통과 논쟁을 맛보기라도 시켜주는 대신 각 필진이 '내가 쓴 글은
이렇습니다.'를 압축 소개하는 코너에 그친 것 같아 아쉽다.
주제와 필진에 따라 동원된 전문
어휘의 양과 비중에 차이가 있어서 7편의 글마다 읽기의 난이도도 차이가 있었다. 개인적으로 읽고나서 가장 인상 깊게 남은 글은 "구제역 사태"를
다룬 김동광의 글. '구제역 청정국'이라는 지위가 국익과 직결이라는 국가주의적 신념으로 오로지 대규모살처분만을 해결방안 삼는 정부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 '원자력발전소' 대신 '핵발전소'라는 단어를 써서 기뻤다. '원자력'이라는 단어로 핵의 위험성을 중화시키려는
뉘앙스의 정치학에 평소 반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따로 다루지 않았지만 미세플라스틱 문제나, 생명윤리에 대한 이야기도 차후 더
이야기해주기를 독자로서 바란다. 이렇게 책으로 나오기까지 많은 논의와 사회적 실천을 거쳤을 텐데, 독자로서의 작은 보답이라면 그 과학의
논쟁에 '내 문제'라는 생각으로 귀기울이고 참여하는 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