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왕실의 자녀교육 - 엘리자베스 여왕부터 조지 왕자까지
오노 마리 지음, 강지은 옮김 / 북씽크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국 왕실의 자녀교육


20170314_110610_HDR_resized.jpg


<영국 왕실의 자녀교육>, 주위에 프랑스나 영국 유학파보다는 미국 유학파가 훨씬 많다보니 전해듣는 말로라도 영국에서의 교육을 잘 알 기회가 없다. 게다가 한국의 평민으로서 '영국 왕실'이란  뉴스에서 제공하는 몇컷의 사진이나 타블로이드 기사로 맛보기나 간신히 하는 범접불가의 클래스인만큼 '영국 왕실의 교육'이란 생소하기 그지 없다. 여기 운이 좋게 영국왕실의 자녀교육에 관한 정보를 접하고 책을 낸 일본인이 있다. 오노 마리. 엄밀히 말해 그녀는 영국 왕실에  연고를 두었다거나 영국 역사에 체계적인 지식을 가진 역사가도 아니다. 영국 현지 유학 서포트 기관인 ‘M&M 영국아카데미’를 운영하면서 영국의 교육에 관한 글을 잡지에 간간히 기고하는 학부모이자 사회활동가이다. 그녀 스스로 평하기에 "운 좋게도," "일본인 유학생을 서포트하는 업무와 영국 보딩스쿨에서 근무하면서 기숙학교 전반에 걸친 심리요법 케어 및 복지에 대해 전문적으로 배울 기회"가 있었다 한다. 게다가 업무상 영국인들을 많이 접할 기회가 있어, "건물과 사람 모두 역사와 함께 기품과 품위가 느껴져 그 근저에는 도대체 무엇이 있는지 (8쪽)"를 탐색할 수 있었다고 한다. <영국 왕실의 자녀교육>은 그 탐색에 대한 오노 마리의 레포트라 할 수 있다.

*

그녀의 레포트는 철저히 영국으로의 유학을 계획중인 일본인을 독자로 상정한 것이다. "일본인 유학생 한 명 한 명이 영국에서의 체험을 통해 진정한 국제인이 되어 훗날 일본을 위해 쓸모 있는 인재가 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 (165쪽)"이라는 대목에서 특히, 그녀가 일본인으로서의 민족주의와 유학상담 에이전트로서의 사명감으로 무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그녀가 영국왕실의 교육을 일반 일본인에게 소개하는 이유는 그들의 교육 시스템을 단지 칭송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영국 교육 시스템에서 취할 것은 취하고  철저히 준비해서 앞으로 영국으로 유학갈 일본인들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고, 다시 일본에서 인재로서 국가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이 책은 비극의 주인공인 다이애너비부터  2017년에도 대중의 사랑을 한몸에 받는 "윌리엄 왕자와 캐서린 비"가 이룬 로열 패밀리는 물론이거니와 빅토리아 여왕이 받은 교육을 중심으로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친 영국 왕실교육의 특징도 살핀다. 뮤지컬 <왕과 나>라든지, <제인에어>등으로 짐작할 수 있겠지만 빅토리아 시대에는 '거버너스 governess'라는 가정교사가 상류계급 여자아이들의 교육을 담당했다. 영국 상류층은 이렇게 '그들만이 받을 수 있는' 교육을 받으면서도 동시에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의 정신도 함께 계승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천박한 교만이 아닌 향기로운 차의 품격이 그들에게서 느껴지나보다.

*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활자로 전해듣는 것보다는 영국에서 직접 공부한 경험이 있다면 좋겠다. 차선책으나마 책으로 전해듣더라도 이왕이면 현지 영국에서 교육을 직접 받아본 사람의 해석을 거치고 싶지만 빈약하나마 오노 마리의 레포트도 영국식 교육 분위기를 상상하는데 도움을 준다.

20170314_110638_resized.jpg

20170314_110712_resized.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