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작은 반복의 힘 - 끝까지 계속하게 만드는
로버트 마우어 지음, 장원철 옮김 / 스몰빅라이프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주 작은 반복의



20170206_121015_resized.jpg

지. 지. 부. 진. 자. 기. 혐. 오. 의. 지. 상. 실.
*
혐. 오. 의. 지.  부. 진. 자. 기.
*
기. 혐. 오. 의.
 
결국 동의어가 아닐까. 결심했으나, 가시적인 성과 없고, 자꾸 스스로의 결심을 허무는 모습에 자기 혐오를 느껴 다시 결심하지 못하는 악순환.
그 악순환을 과감히 끊고, 인생 대변혁 이루고 싶은 이들 많을텐데, 문제는 HOW?
<아주 작은 반복의 힘>에서 답하길, "스몰 스텝small step"부터 성취하라. 인간의 뇌는 갑작스러운 변화에 저항한다. 그러니 성공 가능성을 높이려면, 계획은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부담이 없는 변화로 시작하고 계획을 작게 세워 습관이 되도록 매일 성취하라. 그러면 결국 큰 변혁으로 이어지고, 성공한다.  UCLA의대 교수인 로버트 마우어는 '성공하는 사람'들의 '성공이유'가 궁금해서 연구를 진행했다고 한다. 꼭 성공을 목적으로 삼지 않더라고, 자존심, 자긍심을 높이는데 스몰 스텝 접근이 유용할 것 같다.
 
 

20170206_120306_resized.jpg

20170206_120404_resized.jpg
 
<아주 작은 반복의 힘>을 읽다가, 뜨끔하도록 무서운 예화를 하나 만났다. 술에 취한 남자가 가로등 아래에서 잃어버린 열쇠를 찾고 있었다. 경관이 '어디에' 떨었뜨렸냐고 묻자, '저쪽'이라고 답하면서도 '가로등 아래'가 밝아서 여기서 찾노라고 대답한 고주망태의 모습은 나와 다르지 않다. '하루 1권 읽고 쓰기'의 자잘한 계획이 결국은 열쇠 찾는 일에 직접 착수하기가 두려워 내건 자기 기만의 미션임을 고백한다. 목적전치가 되어서는 안된다. 안락한 가로등 아래 안주해서도 안 된다.

20170206_120519_resized.jpg
 
명령보다 작은 질문의 반복이 변화를 이루는데 유익하다고 한다. 매일 '당신이 주차한 옆 자리에 자동차 색깔은?'이라고 반복해 묻는다면, 결국 옆 자리 자동차 색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스스로에게 작은 질문은 매일 던지면 어떻게 될까?
 
'짜투리 시간들을 어떻게 가치 있게 보낼까?'
'하루 한 페이지씩 쓰기를 어떻게 착수하면 될까?'
가치 있는, 작은 질문을 만들어 본다. 질문 던지기를 습관화한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을 고민한다. 고민후 실천을 습관화 한다. 결국 나는 내가 원하는 그 방향으로 변화해 나간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다.

전망좋은 도서관을 검색하다 새로 알게 된 '전망대 북까페,' 하늘 바로 아래 있는 그 북까페의 쏟아지는 햇살을 받으며 읽은 책이 바로 <아주 작은 반복의 힘>인지라, 오래 기억할 것이다. 실천은 더욱 오래 지속적으로 하리라.
20170206_111500_resized.jpg

도서관에서 내다본 전경.
 
20170206_114220_resized.jpg

20170206_112554_HDR_resized.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