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의 지도


 


432.jpg

 

 

2004년 한국에서 초판 번역본이 나온 이래, 무려 54쇄까지 찍어낸 필독교양서 <생각의 지도 (원제The Geography of Thought:The Asians andWesterners Think Differently and Why> 를 이제서야읽어 본다.  중국에서 유학온 중국인대학원생의 다소 도발적인 지적, 중국인은 순환적 사고를 하는데 교수님은 (서양인 특유의) 직선적 사로를 하신다, 에 자극받기도 했거니와 여러 사회과학 문헌들을 섭렵하다 보니, 인간인지과정 보편론자로서의 생각에 변화가 왔다고 한다. 이후, 저자 리처드 리스벳 교수가 몸담고 있는 미시간 대학뿐 아니라 베이징 대학, 교토대학, 서울대학에서 교차 실험 연구를 하면서 동양인과 서양인 사고과정의 차이, 그기원을 밝히는 시도를 하고 있다.


본격적 논의에 앞서 저자는 독자의 오해를 사지 않도록 용어에대한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인다. '동양' 이라 할 때, '동양'으로 지칭되는 문화의 다양성을 무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고밝힌다. '동양' '서양'이라는범주어도 단순한 이분법의 발로가 아니라, '평균적' 차이를고려하여 편의상 썼다고 한다.

"왜 동양인과 서양인의 사고과정이 다른가? 기원을 어디서찾을 것인가?"의 문제의식에 대한 답으로 저자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중국 철학의 풍경을 독자에게펼쳐 보인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은 개인의 자율성에 대한 강한 신념으로 자유와 개성, 사물의 본질을 중시하는 특징을 지닌다. 그 증거로 저자는 영어 어휘에서추상 형용사를 '-ness' 접미사를 통해 명사화시키는데 반해 중국어에서는 추상 명사접사가 없음을 지적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개인의 자율성보다는 집단의 자율성과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중시했다고 한다. 그 예로, 음양 이론, 침술, 풍수를 들고 있다.



 

 

 

53.jpg

 


 


 

2장, '동양의더불어 사는 삶, 서양의 홀로 사는 삶'에서는 미국과 중국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사례를 끌어와 동서양의 자기 개념(self-concept)을 비교한다. "당신에 대해 말해 보시오."라 하면 여러분은 어떤 서술을 할지? 북미인들이 성격형용사나 행위 위주의 서술을 한다면, 한중일 3국 사람들은 타인을 언급하거나 타인과의 관계지향성을 드러내는 서술을 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한다. '자아, 내집단, 외집단간의 관계성'을 보여주는 사회심리학 실험을 예로 더하고 있는데, 미국인과 한국인에게 볼펜을 마음대로 골라 가지라 했더니 한국인들은 가장 무난한 색을 대부분 골랐다고 한다. 그렇다면 미국인은? 가장 희귀하고 튀는 색의 볼펜을 골랐다. 멀리 이 실험까지 가지 않고, 우리나라 고속도로를 생각해보자. 무채색 계열의 무난한 차량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렇다면 캘리포니아의 프리웨이 위를 달리는 차량의 색은? 저자는 이런 일상의 예가 독립성(independence)을 강조하는 서양과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을 강조하는 동양의 사고과정 차이를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흥미로운 연구 사례도 2장에서 소개되었는데, 경영학자 제프리 산체스 버크스가 이끈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영자의 속마음을 읽어내는 데에 피실험자였던 미국인보다 한국인이 더 뛰어났다고 한다. 저자는 타인의 감정을 신경쓰며 자라온 데서 그 이유를 찾는다. 책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아이들이 밥을 남길 ˖, "농부 아저씨가 너가 밥 남기면 얼마나 속상하시겠니?"라고 타인의 감정을 언급하지 않는가?


동양인은 사회에 존재하는 수많은 상호의존적 단서들을 통해 끊임없이 상호의존적인 사람이 되도록 유도(점화)되어 있고, 서양인들은 독립적 단서들을 통해 독립적인 사람이 되도록늘 점화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71)

보다 상호의존적 사회에서 살고 있는가, 아니면 보다 독립적인 사회에서 살고 있는가 하는 사회적존재 방식이 세상을 보는 방법을 결정하는가? 만일 그렇다면 오늘을 살고 있는 동양인들은 개인의 힘보다는외부의 힘을 중시하는 집합주의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사회에 살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반면에 서양인들은 개인주의적이고독립적인 사회에서 살기 때문에 보다 분석적인 눈으로 세상을 보고 환경보다는 사물자체에 많은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82)

상호의존성과 독립성이라는 단어는 3장에서도 대조군처럼 계속 등장한다. 동양인은 배경, 즉 맥락을 고려하며 전체를 보는 성향이 강한 방면 서양인은 사물 그 자체를 독립적으로 분석한다는 주장은 반복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심리학 사례가 다양하고 참신하다.

4장, "동양의 상황론과 서양의 본성론"에서는 1991년 실제 발생했던 총기난사 사건을 사례로 같은 사건에 대해 미국인과 중국인이 어떻게 다른 해석을 내리는지 소개한다. 미국인은 총기 사건의 주범의 성격적 결함에 주로 주목하지만 중국인은 가해자의 상황적인 요인을 더 고려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인다. 마찬가지로 스포츠 게임에 대한 가쉽에서도 미국인은 주로 개별 선수의 능력으로 경기 결과를 파악하는 반면, 동양인은 팀워크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한다.

리처드 리스벳은 5장에서 "문화적 차이가 언어적 차이에 기인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책 전반에 걸쳐 기술하는 동양인과 서양인의 인지적 차이와 언어적 차이 사이에는 놀라울 정도의 유사성이 있다는 말과 아울러. 가까운 예로 우리 국어 교육을 생각해보자. 초등 고학년이 되어서도 일기장에 '나는' 이라는 주어를 쓰면 '꽤나 유치한' 어린이 취급 받으며 우리는 좋은 문장에서 주어 '나는'을 생략하기를 권고받는다. 반면 행위의 주체를 자신으로 두고 사고하는 영어권에서는 언어에서 주어에 집착한다. 비가 온다를 영어로 it's raining이라 하지 않는가?

<생각의 지도>에서 가장 재미있게 읽은 장을 꼽으라면, 6논리를중시하는 서양과 경험을 중시하는 동양”을 들고 싶다.  저자 리스벳 교수의 제자이자 번역자인 최인철 교수는 문화적 차이를 증명하기 위해 한국인과 미국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모순관계에 있는 진술들을 제시했다고 한다. 예를 들어, 1. 많이 알면 알수록, 더 믿게 된다. 2 많이 알면 알수록, 덜 믿게 된다.의 두 가지 진술에 대해 한국인 참가자들은 놀랍게도 1에 동의했더라도 2진술에 동의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 비약하자면 동양인들은 서양인에 비해 모순에 보다 호의적이며 변증법적 사고를 한다고 볼 수 있다. 간단히 표현하자면 서양인이 either/or로 사고할 때, 동양인들은 both/and로 사고하는 경향이있다는 것이다. 사고법의 차이에 대한 이런 가설이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더 점 보는 걸 좋아한다'는 진술에 대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양인이 일관되게 긍정 혹은 일관되게 부정인 진술을 신뢰한다면, 동양인은 모순 관계에 있는 진술에 더 융통성 있기 때문에 점장이의 점괘에 호의적이라는 것이다.

7장과 8장에서는 "서양과 동양 사고 방식의 차이, 그 기원은?"과 "누가 옳은가?"의 질문은 던진다.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까지 언급하는 7장에서는 사고의 차이를 생태환경의 차이 수준에서부터 검토한다. 쌀 농사가 중심이 되는 농경 사회인 고대 중국에서 협력이 중요했던 반면, 고대 그리스에서는 무역이 성행했기에 집단주의가 상대적으로 약했고, 이렇게 다른 사회구조가 사고방식에 영향을 끼쳤다는 해석이다. 물론 사고의 차이를 낳는 것은 생태환경 외에도 경제적 이유나 종교적인 이유도 있다는 설명도 잊지 않는다. 8장에서는 언어, 몸에 대한 접근, 법률, 경영, 계약에 대한 태도, 종교 등의 면에서 동양과 서양인의 인식 차이가 어떻게 벌어지는지를 보인다. 8장에서 던진 "누가 옳은가?"에 대한 질문은 에필로그에서 답하는데. 리스벳 교수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과 서로 존중하며 중간쯤에서 수렴될 것이라는 견해에 동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