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 - 딸의 사랑을 응원하는 엄마의 30년 사회생활 다이어리
유인경 지음 / 위즈덤경향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일도 사랑을 딸에게

 



20151205_142940.jpg


경향신문 정기구독자도 아니고, '생방송 오늘 아침' 등의 TV 프로그램과도 가깝지 않은지라 유인경 기자(경향신문에 1990년 입사한 이래 신문, 잡지, 방송, 강의 등 팔방미인의 활약 중이다)는 그녀의 수필집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이제는 정말 나를 위해서만>에서 처음 만난 중년의 그녀는 20대 정점의 젊은이만큼 열정적이고 부지런하며 긍정적이었다. 비록 지면을 통했을 뿐이지만, 거침없이 할 말 다하는 그녀에게서 강렬한 기운을 느꼈다고 할까? 베테랑 기자답게 인간관계의 폭도 넓고 소통의 기술도 세련된 그녀가 이제 딸의 사랑을 응원하며 수필집을 펴냈다. 제목은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인데, 제목부터가 의미심장하다.
*
20151205_142833.jpg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행간의 정보로 유추해보건데, 유인경 기자의 딸은 한국 기준에서 혼인 적정 연령에 속한 여성인듯 하나 적어도 현재 애인이 없다. (" 네가 지금은 애인이 없지만 근사하고 멋진 사랑꾼이 될 거라고 믿는다. [189쪽])" 또한 엄마 유인경이 팔불출 소리를 감내할만큼 자랑하고픈 괜찮은 품성과 스펙을 갖춘 듯 하다. "내가 좀 네 자랑을 심하게 한 탓인지 너를 며느리 삼겠다고 하는 이들 가운데 '아버지가 회사를 운영하는데 아들이 너무 심약해서 걱정이다. 대신 경영을 도와줄 야무진 며느리를 찾는다'라거나 '집안에 돈을 많은데 아들이 유명대학을 나오지 못하고 부실해서 2세를 생각해서라도 능력 있고 똑똑한 여자를 만나야 한다'라고 너무 솔직하게 털어 놓는 이들이 제법 있다. (134쪽)"
 *
하지만, 훌륭한 인품과 기능적 스펙을 다 갖춘 여성이라도 소위 '사랑'에 얼마나 취약할 수 있는지, 얼마나 무방비이며 어리석어질 수 있는지....... 그래서 일정 정도 마음의 연습이나마 필요하지 않을까? '연애'니 '사랑'은 즉흥무처럼 아무리 연습한다해도 실전무대에서 예기치 못했던 흐름과 춤사위를 만들어내겠지만, 마음의 준비를 하면 좀 더 현명하게 넘어갈 수 있지 않을까? 유인경 기자의 표현을 그대로 빌자면, "사랑은 '그렇게 때문에'가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이고 약점을 사랑으로 보듬어 장점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뻔히 드러나는 암초를 구태여 헤쳐 나가며 인생을 소진할 필요가 있을까?"(96쪽)
사회생활 선배이자 결혼 생활 선배로서 유인경 기자는
편지 형식을 취해 딸에게 똘똘하게 사랑하는 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알려준다. 사실 독자는 유인경 기자의 딸이란 1인이 아니라 이 땅의 미혼 여성이라 할 수 있겠다. 아니, 이미 결혼이라는 제도에 안착했을지라도 세련된 사랑의 기술을 갈고 닦고 싶은 모든 이들이 독자가 될 수 있겠다. 정작 본인 스스로는 70여회 맞선 경력과  80년대식 썸타기를 맛보았을지라도, 조신한 여성'이라는 젠더 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느라 맘껏 연애를 못해봐서 후회하는 유인경 기자. 하지만 기자로서의 마당발 인맥, 다양한 취재원, 탁월한 언어감각에 힘입어 마치 연애 9단의 고수인양 다양한 연애의 정사와 야사를 흥미진진 버무려놓았다. 무엇보다 "뻔히 드러나는 암초(대표적 예로 햄릿 왕자, 마마보이, 무심한 남자,  무능한 남자 등)"를 구별하고 피해가는 법을 소상히 적도 있는데, 현재 본인이 암초 사이를 힘겹게 항해하고 있다는 자괴감이 드는 여성이여,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를 꼭 읽어보시길.

*

정말 재미있게 폭 빠져 읽은 책이지만, 마지막으로 던지고 싶은 질문 하나.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 전반에 흐르는 메세지는 '사랑보다 네 자신을 믿어라.' 사랑을 하더라도 자기를 우선에 두고, 결혼을 해서 마찬가지로 자신을 잃지 않는다면 시련 앞에서 무너지지 보다는 더 성숙해지고 사랑도 더 크게 키워나갈 수 있다는 뼈가되고 살이되는 조언.

하지만, 그 똑같은 가르침을 딸이 아닌, 며느리가 충실히 하려한다면......? 드라마에 나오는 전형적 시어머니들이라면 어떤 대사를 던질지 짐작이 간다. "결혼하면 푹 삭아서 남편과 자식의 양분이 되거라?" 딸의 사랑을 응원하는 엄마의 마음으로 이 땅의 엄마들이 며느니의 자아실현을 응원할 때 대한민국, 저출산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20151205_142846.jpg

20151205_142912.jpg

20151205_142930.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