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공부법 - 천년 지성 최고 명문대학의 공부 노하우
오카다 아키토 지음, 장은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천년 지성 최고 명문대학의 노하우

옥스퍼드 공부법

 


 

20150717_103224.jpg


대학의 지성의 보고에서 취업 예비군 양산지로 바뀌어가는 현실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닌가보다. 도쿄 외국어대 교수인 오카다 아키토는, 일본의 대학이 '레져 랜드(leisure land)'라고 경멸 받고, 학생들 역시 '놀아도 졸업할 수 있다'는 안이한 생각을 가져서는 미래형 인재를 키울 수 없다고 조바심을 낸다. 그는 학자이자 선생님으로서의 사명감에서 '절멸 위기'에 놓인 인재를 키우는 데 도움을 주고자 책을 집필한다. 학생이나 교사뿐 아니라, 회사원이나 인재육성에 관심 있는 이들을 주 타겟으로 쓴 책이 바로 <옥스퍼드 공부법>, 부제는 '천년 지성 최고 명문대학의 노하우'이다.

*

 작문법, 사고법, 자기 관리 등 뼛속까지 '옥슨(OXON: 옥스퍼드 대학)'인임을 보여주는 오카다 아키토는 서문에서 젠틀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젠틀맨이란 뒤집어 보면 '높은 자부심과 지적 무장,' '과묵한 위엄' 등 인간 관계에서 상대가 비집고 들어갈 틈을 주지 않는 스킬과 분위기가 몸에 밴 사람(5쪽)"이다. 그런 스킬과 분위기는 당연히 거저 얻어지지 않는다. 물론 모두가 '젠틀맨'의 아우라를 욕심낼 필요는 없겠지만, 이는 흉내낸다고도, 코칭 받는다고 생겨나지도 아니다. 그가 교류하고 소통하는 지인들, 속한 집단의 분위기에 시나브로 젖어들어, 이것이 아우라처럼 발산되는 것이기에. 다시말해 옥스퍼드 대학 출신에게서 젠틀맨의 아우라를 본다면, 이는 '세계 최고, 천년의 지성' 옥스퍼드 대학 특유의 학풍과 집단적 정서가 발현된 것이리라. 오카타 아키토의 <옥스퍼드 공부법>을 읽다보면 저자에게서 그 자부심 높고 고매한 '젠틀맨'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

 일본인 최초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은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이 유학생활하며 배운 성공하는 공부습관 및 생활 자세를 42가지로 압축해서 보여준다. 그저그런 단문장의 나열이 아니라, 한 문장 한 문장 뼈가 되고 살이 되는 충고들이다. 흥미롭게도 그는 일본인 특유의 사고법, 토론법, 작문법을 옥스퍼드 대학에서의 지적 수련기에 상당 부분 수정해나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대학 교육까지 받은 그는 옥스퍼드의 지도교수에게서 "일본 학생이 쓴 문장은 논점이나 논술의 방식이 명료하지 않아서 무엇을 전하는지 알 수 없다"(41쪽)거나, "일본인 학생을 성실하긴 하지만, 창의적이지 않다"는 평가의 진의를 파악하고 부단히 노력하여 옥스퍼드 학풍을 체화했다. "일본의 지식 흡수형 시스템(25쪽)"에서는 당연히 받아들였던 상식을 의심하고 뒤집어 질문했으며, '패러그래프 라이팅'과 '토론'으로 생각을 조리있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훈련을 했다. 오카다 아키토는 스스로가 시행착오와 각고의 노력끝에 얻은 비결을 독자에게 마치 지도교수가 부드럽게 지도하듯 알려준다. 


 
독자는 오카다 아키토 교수의 코칭으로 옥스퍼드 공부법을 엿보는 동시에, 옥슨의 정신을 체화한 오카다 아키토 교수의 사고법, 생활 관리법과 학문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가 있다. 그의 글로만 추측하건데, 그는 성취동기가 무척이나 높고 자기 규율에 엄격한 외유내강형의 학자일 것이다. 화가 났을 때는 상대에게 자신의 눈빛을 읽히지 않기 위해 눈을 감고 마음 속으로 '나는 화가 났다'를 외친다거나, 신발 굽이 짝짝으로 닳아 있으면 척추교정사를 찾아가 시술을 받는다거나, 아침마다 2-30분씩 청색 펜(옥슨인들은 파란색이 창의력을 돋운다고 생각해서 파란색 필기구를 쓴다고 한다!)으로 메모하며 신문 읽는 습관을 수십년째 유지해왔다든지 등의 작은 예만 들어도 저자의 엘리트성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
 마음에 와 닿았던 여러 문단 중 다음을 <옥스퍼드 공부법>에서 인용하며 리뷰를 맺고자 한다.

"뉴욕에 유학했을 무렵에는 아직 젊어서, 맨해튼의 까페에 앉아 장래의 꿈을 향해 열정적으로 생각에 잠겨 있었다. 내가 이상으로 여기는 각 연령별 도달 목표를 노트에 적고 그 부분을 떼어 방 벽에 붙이기도 했다. 때론 그것을 소리 내어 읽으며 스스로를 고무시켰다." (124쪽)
 

20150717_102306.jpg


 

20150717_100514.jpg


 

20150717_100937.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