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벌레는 어디에 숨은 거야? 상상 그림책 학교 10
에드워드 하디 글, 알리 파이 그림 / 상상스쿨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애벌레는 어디에 숨은 거야?

 

 

 



 

20150508_190308.jpg


 

아이들과 그림책을 읽다 보면 종종 느끼지만, 두 가지 일에 동시에 집중하기란 참 어렵지요. 그림책의 활자를 따라가자니 아름다운 일러스트레이션을 놓치게 되고, 그림에 홀딱 빠지다 보면 글에 소홀해지니까요. 그래서 엄마 아빠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비주얼 이미지를 머릿속에서 이야기로 비약시키는데 엄마 아빠의 음성이 배경음이 될 테니까요. <애벌레는 어디에 숨은 거야?>는 유난히도 아이들이 그림에 더 집중하게 되는 책입니다. 제목처럼 "애벌레는 어디에 숨은 거야?"하는 궁금함이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새로 생겨나거든요. 페이지마다 털이 몽글몽글 보들보들해 보이는 하얀 애벌레를 그림 속에서 찾을 수 있어요. 아이들은 세세한 내용보다는 애벌레 찾는 재미에 폭 빠져듭니다.  

아 참, 애벌레 찾기에 혈안이 된 것은 아이들만이 아니랍니다. 이 숨바꼭질 놀이의 공동 술래는 바로바로 배고픈 까마귀 한 마리. 덩치 크고 위협적일 만큼 새카맣긴 하지만 다행히도 그다지 영리하지 않답니다. 덕분에 숨바꼭질로서의 먹이사냥은 비극적으로 끝나지 않고 유쾌하게 계속될 수 있고요.


 

20150508_190331.jpg


  

한여름 복더위일지라도 아랑곳하지 않고 마구 쓰다듬어 보고 싶어질 만큼 수북한 털이 복스러워 보이는 애벌레 한 마리. 작디작은 요 녀석은 알고 보니 숨바꼭질 놀이를 좋아할뿐더러 숨는 데 귀재랍니다. 특히 까마귀처럼 ‘등잔 밑이 어두운’ 아둔한 술래를 만나면 숨기 재능을 더욱 탁월이 발휘합니다.

 

애벌레는 눈에 잘 뜨이는 새하얀 몸을 가졌지만, 마치 '영원한 술래‘ 역할에 머무는 까마귀를 조롱이라도 하듯, 까마귀 바로 코앞에 숨기를 좋아한답니다. 게다가 늘 성공하지요. 애벌레는 아가씨의 솜털 컨셉 목걸이가 되기도 하고, 머리카락이 듬성듬성 난 할아버지의 일자 송충이 눈썹으로 변신하기도 합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애벌레 못 봤니? 점심으로 먹을 참이거든!”이라며 위협적으로 애벌레의 행방을 묻는 까마귀에게 대답하는 소녀의 머리띠가 되기도 합니다.

꼬마 독자들이 <애벌레는 어디에 숨은 거야?>에 열광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자신들이 언제나 까마귀보다도 먼저 애벌레를 찾는다는 데 있을 거예요. 심지어는 책을 읽어주느라 미처 애벌레를 보지 못한 엄마 아빠보다도 애벌레를 먼저 찾으니 꼬마 독자들의 귀여운 자부심이 하늘을 찌를 듯합니다. 까마귀보다도 똑똑하고 엄마 아빠보다도 숨은그림 찾기에 민첩한 셈이니까요.


 

20150508_190502.jpg


 

20150508_190527 (2).jpg


 

배고픈 까마귀에게는 미안하지만, 까마귀가 술래노릇을 못할수록 독자로서는 더 재미있습니다. 애벌레 찾기에 번번히 실패하던 까마귀는 급기야 약이 바싹 올라서 “애벌레는 어디에 숨은 거야?”하며 고함을 질러대지요. 그 와중에 아저씨의 콧수염으로 변신해있던 애벌레는 정체를 들키고 하늘 높이 솟구쳐 날아올라가고요. 천하의 숨기 귀재 애벌레가 이젠 옴짝달짝 못하고 까마귀밥이 되는 걸까요?

 

20150508_190527.jpg

 

엄청난 반전이 숨어 있다는 말만 남기고 리뷰를 마쳐야겠네요. 스포일러가 될까 걱정되어 말입니다. 아직 애벌레의 탁월한 숨바꼭질 재능을 모르는 예비 독자라면 <애벌레는 어디에 숨은 거야?>를 꼭 읽어보세요. 사랑스러운 애벌레 캐릭터와 어린이 독자 눈높이에서의 반전의 묘미, 거부할 수 없는 유머 감각까지…… 이 작품이 왜 케이트 그린어웨이 메달 후보작에 올랐는지 알게 될 거예요.


 

20150508_190619.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