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적 단식, 몸찬패스트처럼
조경국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간헐적 단식 몸찬패스트처럼


2013년 서점가의 인기 도서 <먹고 단식하고 먹어라>의 서문에서 저자 브래드 필론은, 비주류였던 간헐적 단식 (Irregular Fasting, IF)도 이제 대중이 수용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한다. 2012년 나구모 요시모리의 <1 1 , 2013 <먹고 단식하고 먹어라>에 이어 <간헐적 단식, 몸찬 패스트처럼>까지.........한국 사회의 건강 염려증은 이제 서서히 어떻게, 그리고 왜 먹지 말아야 하는가?’의 문제로 옮아가는 듯 하다.
간헐적 단식을 키워드로 한 <먹고 단식하고 먹어라> <간헐적 단식, 몸찬 패스트처럼>를 두세주 간격을 두고 읽었다. 전자는 대학과 대학원에서 영양학을 전공한 브래드 필론이, 후자는 IT 분야를 공부하고 엔지니어로 12년간 일한 조경국이 집필했다. 브래드 필론은 바디빌더 특유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문적 취향을 글쓰기에도 고스란히 드러내며 학구적인 스타일로 간헐적 단식을 소개한다. 무려 247개의 참고문헌 목차번호가 말해주듯, 그는 간헐적 단식에 대한 대중의 오해와 다이어트 산업계의 주장을 학문적 치밀함으로 반박하며 간헐적 단식의 우수함과 필요성을 역설한다.
*
조경국은 몸찬패스트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다이어트를 해왔고, 블로그 (http://momchanfast.com) 도 운영한다. ‘몸찬 패스트?’ 이 팬시한 이름은 사실, ‘몸이 제대로 찬이라는 발음 그대로의 뜻을 담고 있다 (본문 35). 조경국은 자신의 간헐적 다이어트에서 강박을 버린 '융통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몸찬패스트를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 '배가 특별히 안 고프면 하루 한끼 정도는 굶되, 다른 끼니에는 맘 편히 먹기= 몸찬패스트'라고 생각해도 별 무리가 없는 듯 하다. 조경국 본인은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의 특성상 마른 비만 체형에서 벗어나기 위하 다이어트를 꾸준히 해왔다고 한다. 가릴 것, 지켜야 할 것 많은 기존 다이어트의 정형성에 지쳐가던 그가 융통성을 발휘해서 시도하 것이 바로 '몸찬 다이어트, 배 안 고프면 아침 굶기'이다.
*
조경국은 Alternate- Day Fasting, Alternate-Day Modified Fasting, Eat Stop Eat, Warrior Diet, 등 다양한 간헐적 단식법 중 그 결정판을 몸찬패스트로 본다. 실천하는 이와 상황에 따라 융통성을 준다며. 예를 들어, 브래드 필론의 경우, 간헐적 단식 중에는 칼로리가 있는 일체의 음료를 멀리하라고 신신당부를 한다. 반면 조경국은 몸찬패스트 중에도 쥬스를 허용한다.
조경국 자신도 "다이어트에서 해방되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가졌다고 할만큼, 몸찬 패스트는 기존의 다이어트와 달리, 놀라울만큼 융통성이 크다. 예를 들어, 초보 입문자라면 일주일에 1,2회만 하루 한 끼 정도를 굶으면 되고, 좀 몸이 익숙해지면 일주일에 5,6회 16~18시간 단식을 진행하면 된다. 무엇보다 정해진 룰이 없이, 선호도, 생활방식, 활동량,체중 목표 등을 고려하여 개개인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고 하니 '몸찬패스트=융통성의 맞춤형 내맘대로 간헐적 단식'이라는 인상도 든다. 조경국은 몸찬패스트가 서구에서 도입된 다이어트 방법과는 달리 '한국인의 식습과 및 생할 문화에 적합한 토착화된 간헐적 단식'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지만, '토착화된'이라는 지점에 대해서는 아직 고개가 갸우뚱 해지긴 한다. 아무튼, 몸찬 패스트가 몸을 비우는 게 아니라, 알차게 몸을 채우는(건강하게 하는) 것이라는 그의 주장에는 공감한다. 식품업계가 광고하는 대로 다 먹을 필요가 있을까? 신석기 다이어트처럼 내 몸의 본능이 이끄는 대로 먹거나 굶고 싶다. 잘 먹어야 잘 사다는 강박에서 벗어나서.....1일 3식의 신화에서 벗어나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