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폭풍 - 치명적 신종, 변종 바이러스가 지배할 인류의 미래와 생존 전략
네이선 울프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네이선 울프(Nathan Wolfe). 하늘에서 별을 따기보다 어렵다는 UCLA 종신 교수직을 버리고 GVF (Gloval Virus Forecast)를 창설했다. 지구상에서 판데믹이라는 단어조차 사전에서 지워버리는 시대를 꿈꾸면서. 전 세계가 주목하는 바이러스 전문가 네이선 울프. 그의 학자적 열정과 인내, 사명감, 학문 공동체에 대한 겸손한 태도와 인류에 대한 애정을 흠뻑 드러낸 역작 <바이러스 폭풍 The Viral Storm >을 읽으니 절로 그에게 존경심이 생겼다. 고백컨데 그 존경심의 십할은 질투심. 전세계 유명 석학과 다양한 토픽을 종횡무진 넘나들며 학문적 스파크가 튀는 열띤 대화를 할 수 있는 그의 박학다식에 대한 질투심. 또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진과 협업하고 긴밀한 네트워크를 맺으며 말그대로 글로벌하게 연구하고 세계에 기여하는 그의 세계시민성에 대한 부러움.
스탠포드 대학교 학사, 하버드 대학교 박사로서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는 '떠오르는 탐험가'로, 2011년 TIME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기도 한 네이선 울프는 과연 어떤 연유에서 '바이러스 헌터'가 되었을까? 어려서부터 유인원에 매혹되었던 그는 그 호기심을 지적으로 발전시키며 자연스레 지적계보를 이루어나갔다. 인류학자 리처드 랭엄교수, 진화생물학자 윌리엄 해밀턴, 보건학자 앤디 스피엘먼 교수 등과 지적 조우를 하면서 자연스레 영장류에 대한 관심에서 바이러스 연구로 축을 옮겼다고 한다.
<바이러스 폭풍 The Viral Storm >은 네이선 울프가 새로운 판데믹(pandamic)이 전세계로 확대되기 전에 철저히 파악하여 확산을 막는데 일조하고자 집필하였다고 한다. 1부에서는 '병원군'의 관점에서의 바이러스의 확산 본능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이어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병원균 청소(microbial cleansing)가 일어나 병원균 레퍼토리를 현저히 감소시킨데 반해 유인원 계통은 여전히 병원균의 온상이라며 '노아의 방주'에 비유한다 (p.89). 노아의 방주 문을 열어 새로운 바이러스가 창궐하게 하는 일등 공신은 바로 사냥과 도축. 이 두 행위는 바이러스 전염의 최적기회를 제공한다.
2부 '공포의 판데믹 시대'에서는 교통수단의 발달로 대륙간 바이러스의 이동이 어떻게 가속화되었는지를, 수혈이나 장기이식 백신 등이 어떻게 병원균 확산의 양날검이 될 수 있는지를 경고한다. 아프리카 대륙만의 풍토병이라 생각했던 '원숭이두창'이 2003년 미국에서 창궐하여 무려 93명이나 감염시킨 것이 한 예다. 네이턴 울프는 또한 완전히 인류에게서 박멸된 천연두 바이러스의 샘플을 테러집단이 손에 넣게 될 때의 재앙을 언급한다. 북학과 대치 상황에 있는 우리로서는 생물학적 테러 biological terror의 위험에 더욱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
마지막 3부 '바이러스 사냥'에서는 '바이러스 헌터'로서의 네이선 울프의 자신감과 사명감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그는 인류 생존 번영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조기에 추적해서 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바이러스 채터 viral chatter'개념을 설명한다. 나아가 디지털 유행병학의 시대에 사는 만큼, 적극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방식을 제안한다. 개인적으로는 바이러스 학자로서 사냥과 도살이 야기할 위험을 경고하면서 동시에 진정한 적은 가난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국제사회의 협력을 촉구하는 점도 높이 사고 싶다. 사냥은 가난한 대륙 가난한 이들에게는 바이러스 확산기제가 아닌 생존수단이기 때문이다. 생존을 위한 사냥과 야생동물의 식용을 근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전 지구적 차원에서 모색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 동감한다. <바이러스 폭풍 The Viral Storm >은 인류의 진화사에, 나아가 미래에 관심있을 이들에게 특히나 깊은 인상을 줄 필독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