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새가 된 깃털 예술과 심리 동화 시리즈 8
이은주 글, 김지현 그림 / 나한기획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새가 된 깃털
통합문학치료연구소의 "예술과 심리 동화시리즈"

추천사, 작가의 말, 출판사 측의 서평을 먼저 읽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텐데.......<불새가 된 깃털>을 8세 아이와 읽으며 든 생각입니다. 꽃샘추위 꽃바람에도 아이 고집대로 기어이 야외에서 꽃바람 맞으며 <불새가 된 깃털>을 즐겼습니다. 뭔가 해석을 뱉어내야 한다는 무언의 압력에 잔뜩 목소리에 힘주어 읽는 엄마와는 달리, 아이는 마냥 재미있습니다. 똥묻은 깃털 이야기에는 킬킬거리고 별이 되어 하늘로 올라간 제비꽃 그림에서는 시선을 한참 멈춥니다. 집에 들어와서도 "또 읽자"고 하는 걸 보니, 꽃바람 속에서 읽은 깃털 불새 이야기에 마음이 흔들렸나봅니다.
작가의 말이나 추천사에는 '고난' '시련' '주체' '재회' '존재의 거듭남' '주체적 존재' '인간 존재의 양극성' '실재' '균열과 균형' '내면의 세계' '모순' '순리의 철학' '본성' 등등 무게감이 상당한 단어들이 가득합니다. 두터운 철학 사전의 한 페이지를 베어내어 온 듯한 무게감에 눌립니다. 게다가 활짝 날개를 펴고 비상하는 검은 불새의 사진과 표지의 글자체는 아무 페이지나 펴고 넘겨 보는 만만한 동화책과 격을 달리하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막상 읽어보니 <불새가 된 깃털>에는 무거운 관념적인 언어도, 훈계조의 위압적 어조도 전혀 없습니다. 한폭 한폭 그 자체로 아름다운 일러스트레이션에 쉬운 말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등장인물을 소개하자면 깃털이자 불새, 그리고 제비꽃이 이야기를 끌어갑니다. 셋은 독자적 존재이지만 결국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리워하고 서로를 동경하다가 헤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야기의 궁극에서는 별과 불새로서 다시 만납니다. 김지현 그림작가는 그 윤회적 만남을 우주를 유영하는 아름다운 두 여인으로 표현합니다.

김지현 그림작가


땅끝마을의 어느 봄날, 작은 깃털과 제비꽃이 만났습니다.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제비꽃은 저 산 너머, 바다 너머의 세계에서 온 깃털이 부럽습니다. 깃털은 제비꽃으로부터 전해들은 땅의 세계에 찬탄합니다. 이질적인 존재지만 상대가 속한 세계를 인정해주고 동경합니다. 제비꽃과 깃털은 손을 마주 잡습니다. 함께 하고 싶네요. 왠지 같이 있으면 덜 두렵고, 덜 외롭고, 더이상 떠돌지 않아도 될 것 같았습니다.

바람을 따라 흐르는 가벼움. 깃털은 참새 똥의 불쾌함을 감내해가며 자신의 가벼움을 누르고 제비꽃 곁에 머물고자 합니다. 똥과 흙을 일부러 몸에 발랐지요. 함께 하기 위한 자기희생이라 생각했지요. 그러나 깃털은 씁쓸한 배반감을 느낍니다. 몰아치는 폭우 소리에 그 울음을 씻겨 보냅니다. 똥과 흙을 바르고 땅에 머무르고 싶었지만 불새인 자신의 본질을 속일 수는 없었나봅니다. 깃털은 춤추며 날아오르더니 날개를 활짝 편 불새로 치솟습니다. 자신의 가벼움을 '뿌리없음'이라고 한탄했던 깃털은 "난 가벼워서 날려 가는 게 아니야. 나 스스로 춤을 추는 거지"하면서 자신을 긍정합니다. 이 대목은 경건한 기도문인양 마음을 울려서 몇 번이고 다시 읽게 됩니다.


깃털과 제비꽃은 서로 애닳게 갈망하고 이별을 슬퍼하지 않아도, 사실 "따로 또 하나"의 위대한 공생 관계임을 느낍니다. 그렇게 자기 존재를 긍정하고 확장시키고 '더 큰 우리'로 나아가겠지요. '존재'니 '공생'이니 하는 거창한 단어를 들먹이지 않아도 <불새가 된 깃털>은 꼬마 독자에게도 충분히 감동을 줄 것입니다. 나폴나폴 가벼이 하늘을 유영하는 깃털과 보랏빛 제비꽃의 서정적 그림만으로도 마음에 강렬한 여운을 남겨주니까요. 나한 기획의 예술과 심리 동화 시리즈는 성인 독자와 꼬마 독자 모두에게 권하고 싶어지는 권권 모두 예술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