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학교 - 이정록 시집
이정록 지음 / 열림원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머니 학교


대학시절 교양과목으로 들었던 <국문학의 이해>수업. 맨 앞줄에 앉아서 늘 하던 버릇대로, 옆 자리에는 들고 다니던 생수병에 마리끌레르 패션잡지를 떡하니 올려 놓았죠.  "패션 잡지는 정기구독하면서 한달에 5000원, 시집 한 권씩 읽을 여유가 없습니까?"라는 교수님의 말씀이 제 시집 사랑의 빈약함에 대한 죄책감을 더 키웠었지요. '시집을 읽을 호흡의 여유가 없다'는 변명으로 시집 멀리하기의 독서편향이 수십년 째. 그 편중성은 아마도 정말 마음을 울리는 시집을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었을까요?
 

 
 
이정록 시인의 <어머니 학교>를 찬바람이 제법 매서운 11월 오후, 야외에서 읽었습니다. 바람이 차가웠고 커피도 다 식었지만 시 전편을 다 읽을 때까지 꼼짝 않았습니다. 행복했습니다. 좋은 시집을 가을이 가기전에 읽을 수 있어서 행복했고, '아, 나도 시집 읽으면 감동하고 반응 격렬히 하는 독자일 수 있구나.'하면서 제 자신을 재발견했기 때문에 행복했습니다. <어머니 학교>를 만나 복많은 독자들 만큼이나, 이정록 시인은 행복합니다. 엄마가 있어서. 아무렇게나 턱턱 뱉어내시는 말씀 같지만 그 연륜과 깊이에 '허거걱'하고 젊은 사람들 허 찔리는 어록을 쏟아내시는 엄마가 있어서. 그 말씀 받아적기만 하면 시가 된다하니 이정록 시인은 그 얼마나 복받았나요.

 
 
책 표지에, 그리고 본문에 이정록 시인과 어머니의 모습이 등장합니다. 4세 딸아이는 계속 묻습니다. "엄마 왜 아저씨가 할머니에게 책을 읽어주는 거야?" 엄마가 아이에게 책 읽어주는 풍경에 익숙한 아이로서 어쩌면 지극 당연한 호기심이겠지요. 그 질문에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시집을 여는 '시인의 말'에서 이정록 시인은 "어머니와 한 몸이 되어 잠에서 깨었다........채 어머니로 변하지 않은 오른손이 쏟아지는 어머니의 말씀을 받아 적기 시작했다. 어머니로 부화하려던....내 눈망울이....읽어보고는 눈물을 흘렸다." 어머니는 시인에게 가슴과 눈을 뜨여 주었고, 대학원까지 나온 고학력 아들은 그 시어에 형식과 몸을 입혀주었습니다.


 

 
어렵지 않게 쓰여서 더 재미있다는 출판사 측의 리뷰. 자전적 소설로도 산문으로도 혹은 다정한 마주이야기로도 읽힙니다. 인텔리 고학력 아들 먹물많이 쓰는 직업의 시인으로 키워 도회지로 내보낸 어머니, 시골의 과부할머니로서 이냥저냥 죽음을 기다리지만 비관하지도 후회하지도 않고 초연한 태도입니다. "양말 바닥이 발등에 올라타서는 반들반들 하늘을 우러른다는 건, 세상길 그만 하직하고 하늘길 걸으란 뜻 아니겄냐?"라면서......어머니는 인간의 어머니 뿐 아니라, 새끼를 낳은 생명 순환의 고리를 이어간 모든 생물의 어미를 존중합니다. 씨앗 가르치느라 속이 텅 빈 노각이나 늙은 호박을 보며 "큰 하늘을 모셨구나!"하고 감탄합니다. 세속적 욕심, 물적 욕심에서 초월한 듯한 어머니의 마음에서 한가지 욕심만은 죽어 없어질 때까지 사그러지지 않을 것입니다. 한국 특유의 입신양명. 자식에게 기대하는 입신양명. 비록 원고료를 걱정할지언정, 가난한 입천장을 향해 후루륵 승천하는 삶은 국수마냥, "나한테는 내 자식들이 희고 둥근 알인께로" 잘하라. 성공하라 하십니다. 읽고 또 읽을수록 이정록 시인의 가족사와 시인의 어머니에서 확장되어 무수한 한국적 어머니의 마음을 다시 읽게 됩니다. 이 가을 <어머니 학교>를 꼭 읽어보시기 권합니다. 10여년 전과 달라, 이제 시집 한권 값이 5000원은 아니지만, 그래도 별다방 커피 두 번만 참으면 멋진 시집으로 따뜻한 가을 날 수 있을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