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릴리언트 - The Brilliant Thinking 브릴리언트 시리즈 1
조병학.이소영 지음 / 인사이트앤뷰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브릴리언트

The Brilliant Thinking



육아와 생활인으로서의 반복적 일상, 책 읽기의 호흡이 짧아졌다. 411쪽에 달하는 <브릴리언트 The Brilliant Thinking>은 짧은 호흡으로 가볍게 읽어 넘길 책이 아니다. 김우식 전 부총리의 추천평처럼 "한 마디로 '참Brilliant한 책'이기 때문이다. 공저자 이소영과 조병학은 "감히" "무모하게" 생각의 생김새를 해부하려든다. '우리의 생각이 곧 우리의 미래'라 전제하며.

요렇게 '참하고 무모한 책'을 쓴 저자들은 얼마나 브릴리언트할까? 책 읽고나서 저자가 이렇게까지 궁금해보기도 오랫만이다. 조병학은 현대경제연구원으로서 지식비즈니스실을 실장직에 있으며 창조성에 관한 강의를 진행중이며 이소영은 이화여대에서 인사조직(OB/HRM)을 전공하였고 '생각의 탄생'이라는 이러닝 프로그램으로 2008년 digital innovation 대상을 수상했다.




고급 양장본에 초월적 우주를 연상시키는 표지, 읽기 전부터 그 두께감에 겁먹을만 하다. 그래도, 의외로 술술 읽힌다. 현명함을 전수받으려고 하는 작은 독수리 베라와 큰 독수리 헤라의 문답법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에. 저자들은 스토리텔링의 힘을 빌어와 형이상학의 세계를 동물 캐릭터를 등장시킨 우화로 풀어내었다. '생각 노트'라는 책속의 책 기능의 챕터만 따로 읽는 것도 <브릴리언트>를 읽는 한 방법이다. 개인적으로 독수리들의 문답법보다는 '생각 노트'의 글이 더 와닿는다.



이성, 감성, 직관, 오감, 본질, 언어, 진실 등 무겁고 거창한 철학 용어가 주를 이루는 본문. 저자들은 형이상학의 어려운 이야기를 생활과 연결될 수 있는 질문들과 사례, 유명인사들을 동원하여 재미있게 풀어나가려 한다. 최근 대세인 Steve Jobs와 애플사 역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빛나는 생각을 설명하면서 여류 화가 조지아 오키프를 끌어온 점도 참신하다.


예민한 감각,
예리한 이성,
섬세한 감성.
스티브 잡스나 조지아 오키프처럼 놀라운 혁신을 이뤄낸 위인들은 늘 이 세가지를 새로이 하였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한 자리에서 25잔의 차를 들이키고야 시를 쓴 새뮤얼 존슨이나 연필을 뾰족하게 갈고 간 연후에야 글쓰기를 시작했던 대문호 헤밍웨이. 괴상한 습관일뿐일까? 아니, 그들은 나름의 방식으로 감각을 예민하게 다듬으려 했던 것이다. 조병학과 이소영은 감각의 무감각을 꺨 수 있는 것은 '뇌', 이성이고 감성이라고 확언한다. 감각의 무감각이라는 감옥에서 빠져나오려면 결국 이성을 예리하게 하기, 쉽게 말해 끊임없이 학습하는 것 뿐이다. 저자들의 주장이다. 이 분야의 공부가 짧은 나로서는 저자들의 제안이 실용적이며, 효율과 생산성을 중시하는 라인에 서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생각의 빈곤, 감각의 무감각이라는 감옥에서 벗어나려면 브릴리언트한 생각을 해야 하고, 그러려면 끊임 없이 학습하라는 메세지. 참한 책 브릴리언트를 관통하는 핵심 주장일까? 411페이지의 책을 공들여 다시 한번 긴호흡에 읽어보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