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해 하나! 책표지 소녀가 "샬롯"이라 생각했어요. 오해 둘! 주인공인 "인간" 샬롯이 돼지 혹은 거미, 즉 인간 아닌 존재들과 우정을 나누는 동화인 줄 알았습니다. 사실, [샬롯의 거미줄]을 처음 다 읽고도 크게 달리 생각하진 않았어요. 물론, "샬롯"은 소녀가 아니라 거미였지만, 전 이 작품의 키워드를 우정으로 봤거든요. 먼저 읽은 분들도, 책 광고 문구에서도 한결같이 "우정"을 강조했으니까요.

하지만, 이 작품을 두 번, 세 번, 그리고 네 번쯤 읽으니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샬롯의 거미줄]은, 어느 하나의 키워드로 규정할 수없이 인생의 희로애락을 응축한 품위 넘치는 작품이더라고요. 40 즈음에 농장 생활을 시작했다는 작가 엘윈 브룩스 화이트(Elwyn Brooks White, 1899-1985)가 얼마나 여유롭게 사색하고, 농장의 모든 생명체들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관찰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었지요.




많은 독자들이 [샬롯의 거미줄]을 '우정"이라는 깔때기 안에 담아두는 게 아쉬워서 제 감상을 끄적여 봅니다. 물론 샬롯과 윌버는 서로 지극히 아끼고, 지지하고 서로에게 고마워합니다. 우정의 속성을 다 갖춘 관계이지요.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이 둘은 '부모-자녀' 관계의 은유로도 읽힙니다. 제가 이렇게 해석하는 건, 단지 샬롯이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암컷 거미이고 윌버가 어린 수퇘지여서가 아닙니다. 둘 사이의 관계성은 돌봄을 제공하는 모성과 그 돌봄 속에서 성숙함으로써 다시 사랑의 호혜성을 보여주는 자녀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샬롯은 베이컨이 될 숙명을 타고난 식용돼지가 느끼는 죽음에 대한 공포를 덜어주고자, 어려운 약속을 합니다. '살려 주겠다'라는, 신도 지키기 어려운 약속. 그리고, 비롯 작은 몸집의 거미이지만 그 누구도 할 수 없었을 기적, 바로 윌버를 살게 해주는 약속을 지켜냅니다. 그뿐만 아니라, 윌버가 거친 세계에서 현명하게 대처하며 생존하도록 지혜와 용기도 불어 넣어 주지요.

반면, 철없는 어린 돼지 윌버는 그런 샬롯에게 고마워는 하지만, 받는 존재로서의 위치에 익숙해진 모습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샬롯이 알을 낳아야 하는데도 샬롯에게 품평회에 같이 가면 재미있을 거라며 동행을 기대합니다. (사람으로 치면 출산 임박한 산모에게, 나 혼자 놀이동산 가면 무서우니까 같이 가서 거기서 출산하면 재미있을 거라는......). 죽어가는 샬롯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채, 자기의 운명에 대한 불안감만 토로하기도 하고요. 물론, 윌버는 삶의 경험이 적은 어린돼지이기 때문에 타인을 섬세하게 배려하는 연습이 되어 있진 않습니다.

감동적인 점은, 샬롯에게 받기만 했던 윌버가 위기의 순간, 즉 샬롯이 514마리 새끼들만 남겨 놓고 죽어가는 그때, 냉철한 판단 주체로서 우뚝 서서 샬롯을 돕는다는 점입니다. 성장의 단계를 몇 단계 뛰어넘어 성숙해진 윌버의 모습에서, 사랑의 힘을 봅니다. 사랑은 베푸는 자 자신을 성숙시키고, 또 사랑받는 이를 다음 단계로 끌어올립니다. 돌고 도는 사랑의 힘, 사랑의 호혜성입니다.

아직 [샬롯의 거미줄]을 읽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꼭 시를 음미하듯 천천히 여러 번 읽기를 추천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