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소설가 엘리자베스 문은 [잔류 인구 Ramant Population]에서 가방끈 짧은 할머니, '오필리어'를 통해 Ph.D 소지자들을 관찰한다. 이들이 문자와 데이터라는 상아탑에 갇힌 나머지 오감으로 흡수할 수 있는 삶의 충만함을 놓치는 어리석음을 관찰하고오필리어는 이들에게 경멸과 측은지심을 보낸다. 이런 관점은, 1940~60년대 미국 텍사스에서 교육받아 온 저자의 자기 반성일 수도 있다. 혹은 자폐증 아들을 키워 온 어머니로서, 정상성만 강조하는 제도권 교육이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을 어떻게 닫아버리는지에 대한 성토이기도 하다.


엘리자베스 문은 오필리어의 입을 빌려서, 수평적이고 능동적인 배움이 얼마나 아름다운 과정인지를 독자에게 일깨워준다. "돈(학원비, 과외비, 등록금.... 촌지)"을 매개하지 않아도 잘만 굴러가는 수평적 배움에 대한 그녀의 생각을 보여주는 문장을 [잔류인구]에서 옮겨본다.

아! 나 엘리자베스 문, 많이 좋아하나 봐.


 매개하지 않아도 잘만 굴러가는 수평적 배움에 대한 그녀의 생각을 보여주는 문장을 [잔류인구]에서 옮겨본다.




오필리어는 자식들이 질문했을 때 화가 났던 모든 순간을, 괴동물의 선을 넘는 호기심에 화가 났던 모든 순간을 떠올렸다. 그런 식으로 자기 자신도 윽박지르며 살아 왔다. 배울 수 있었던 온갖 것을 배우지 못하게 막았다. 그래야 한다고 믿었던 때도 있었다. 아이들이 시간낭비를 하게 둘 순 없다고, 필요하 것만 가르치지 않으면 결코 규율을 익히지 못할 거라고. 그는 기억 속에서 환한 얼굴을, 반짝이는 눈을 봤다. 열의에 찬 목소리를 들었다...... 그리고 또한 떠올렸다. 아이들이 어떻게 변했는지, 그 자신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그토록 왕성하던 호기심과 열의가 소극적인 복종의 틀 속에 들어가버린 것을. 단념해야 했던 만큼 많이 혹은 적게 시무룩해져서.

[잔류인구] 368쪽



나 역시 오필리어처럼 괴동물(행성 원 거주 생명체들)이 충족될 줄 모르는 왕성한 호기심을 가지고, 오필리어의 냉장고 성에를 가지고 놀 때 가벼운 짜증을 느꼈다. 비인간 종족이 인간의 배설과정을 궁금해 할때 "교육받은 짜증"을 느꼈다. 마치 교실에서 암묵적인 금기어와 금기행동을 어긴 학생에게 그러하듯. 오필리어가, 정확히 무엇을 아쉬워하는지 알 것 같았다.

[잔류인구] 덕분에 2023년 대한민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공부"의 협소한 의미와 가능성을 열어주는 "배움(터득함)"의 의미를 비교해 보게 된다. 닫혔다면, 다시 여는 노력이라도 해야겠다.




21c 대한민국에서 "공부" 하면 떠오르는 키워드? 학교, 기관, 학원, 수업료, 강사, 선생, 기출문제, 경쟁, 무한 반복, 효율성, 선생. 규율, 합격, 선행.

* * * 

오필리어가 비인간 생물체들을 통해 알게 된 '배움'의 키워드는? 호기심, 열어놓음, 주종이나 위계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에서 이뤄짐. 스스로 자신의 선생님. 즉 (가르칠 대상이라는)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음. 서로 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