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개인적 능력이다."


"울컥" 포인트가 엉뚱하다는 건 경험으로 알고 있었지만, 이 문장에도 울컥하다니! "울컥"이 올라와서 [돌봄 선언: 상호의존의 정치학]을 읽다가 잠시 쉬었다. 인간 본연의  성향으로서 돌봄. 단위시간당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어 팔리는 상품으로서가 아닌, 생명 있는 존재들끼리 서로 보듬고 살리는 본능. [선언 manifesto]되니, 무게감의 더해진다. 



코로나19 덕분(때문)에 공론의 장 중심으로 치고들어온 이슈가 바로 돌봄 아니던가?  2020, 2021년  '돌봄 경제' '돌봄 위기'를 주제로 한 웨비나와 컨퍼런스 찾기가 쉬워졌다. 언론과 학계가 '돌봄' 이슈를 띄워 주니, 일상에서도 이 용어가 새로운 뉘앙스를 담는다. "돌밥 돌봄해야 해서....(시간 약속 못 지킵니다), 제가 돌봄 담당이라 코로나 특히 조심해야 해요." 요새 카톡방 일상 대화에서 이런 표현을 자주 접하면서, 얼떨떨해진다. '애 봐야 해요. 애 보는 사람'이 반세기 전 표현인양 아득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물론 '돌봄'은 '아이 돌보기'만을 의미하지 않고 훨씬 포괄적인 의미로 쓰인다). 



[돌봄 선언: 상호의존의 정치학]의 저자들(더 케어 컬렉티브 the care collective)은 "보편적 돌봄 Universal Care"가 상식, 즉 삶의 중심이 되는 세상을 꿈꾼다. 이들이 정의하는 보편적 돌봄은 "모든 돌봄이 우리의 가정에서뿐 아니라 친족에서부터 공동체, 국가, 지구 전체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우선시 되는 것(41)"이다. 



코로나 팬데믹은 돌봄의 상호의존성과 호혜성을 살려 전지구적 차원의 돌봄 공동체를 상상하고 실천할 필요를 우리에게 일깨워주었다. 코로나 19는 인간이 바이러스 및 비인간 존재들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 속에서 생존해왔다는 걸 각인시켜줬다. 돌봄 대상의 범주를 확장시켜 '내 새끼, 내 핏줄 관계'뿐 아니라 (그동안 약탈해온) 지구를 보듬어 안아야할 필요가 분명해졌다. 그러나 전개되는 현실은 다르다. 그걸 사람들은 '돌봄의 위기'라고 말한다. 백신은 개발되었지만, 국적을 선별하고 건강권을 모두에게 고루 나눠주지 않는다. 국경은 물리적으로뿐 아니라 관념적으로도 더 강화되었고 '회색지대'에는 돌봄 받지 못한 사람들이 비통함이 커진다. 당장 4단계 방역지침이 내려지면서 대한민국의 많은 어머니들은 "돌밥" 상비군으로서의 책무 다하기를 요구받는다. '여성화된 돌봄'에 대한 비판의목소리가 꾸준히 출력을 높여왔어도 여전히 위기상황에서 돌봄 상비군은 '여성, 그 중에서도 어머니'라고 빈곤하게 상상되고 실천된다. 저자들은 [돌봄 선언]을 통해서 "어머니와 여성뿐 아니라 모두가 돌봄 역량을 가지고 있고, 서로 함께 돌봄을 실천함으로써 우리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다 (85)"고 말한다. 


저자들은 인간의 돌봄 성향을 시장논리로 길들이고 왜곡시켜서 '우리 같은 사람, 내 것과 내 편 돌보기'가 마치 건강한 생존전략인양 응원하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에 저항한다. 저자들은 타인의 고통, 타인의 돌봄 필요에 대한 무관심에서 깨어나라고 우리에게 촉구한다. 신자주의 자본주의 기업의 위장술인 "무늬뿐인 돌봄carewashing"을 가려내고, 전통적으로 비시장 영역이었던 돌봄조차 아웃소싱하려는 흐름에 저항하라고 촉구한다. 


나아가 [돌봄 선언]은 "보편적 돌봄"을 실현할 행동 강령도 제시한다. 한 마디로 "일상화된 무관심"이라는 마취에서 깨어나 돌봄 성향을 일깨우라는 것이다. 이는 돌봄이 개인 차원의 문제라는 의미가 아니다. "무관심한 친족, 무관심한 정치, 무관심한 국가, 무관심한 경제"라는 큰 틀 자체를 뒤흔들라는 제안이다. 예를 들어, 저자들은 "내 새끼, 내 가족과 친족' 챙기기의 편집증에서 벗어나 친족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옮긴이 정소영 박사도 지적하듯 "난잡함 promiscuity'이라는 개념이 의미 전복을 일으키며 저항의 의미로 쓰였다. 저자들은 핵가족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난 '난잡한 친족promiscuous kinship'을 돌봄 대상으로 확장시키라고 제안한다.  '돌보는 공동체 만들기' 위해 지역도서관을 적극 활용하라는 제안도 귀를 솔깃하게 한다. 새로 정책이나 공공공간을 만들 것이 아니라, 이미 확보된 지역도서관을 거점으로 활용하라는 실용적 제안이니까. 도서관을 거점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은 물리적인 책뿐 아니라 다양한 자원, 기술과 지식 등이 있다. 


혹자는 이런 제안을 들으며, 자본주의 논리와 돌봄 윤리의 타협점을 찾느라 머릿 속이 뜨거워질지 모르겠다. 하지만 저자들은 선을 긋는다. 결코 타협할 수 없다고! "낸시 폴브레가 말했듯이 '보이지 않는 손'이 아닌 '보이지 않는 심장'을 생각하라고! 


선언문을 읽기만 해도 심장이 뜨거워진다. 뜨거운 심장의 연결. 책에서는 이를 "돌보는 관계의 글로벌 동맹" 확장이라고 표현했다. 부족하나마 지금 [돌봄 선언] 리뷰를 공유하는 것도, "확장"에 참여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 뜨거움을 또 누구와 나눌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