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을 2020년 어느 달보다 느긋하게 지냅니다. 책 읽으며 쉽니다. 성스러운 종교적 공간에서 마음을 닦는 분도 있겠지만, 발이 게으른 저로서는 햇살을 등에 지고 책 읽어도 수행입니다. 본인이 건강해야 사랑하는 이들을 돌볼 수 있다고, 돌봄의 선배들은 이야기하시죠. 내 마음에 옹졸과 후회의 앙금을 비워 내야 다른 사람도 담을 자리가 생기겠죠. 책을 읽으며, "나"라는 허구의 경계를 넘어 사람들을 만나고 배웁니다. 읽다 보면, 교만한 생각이겠지만, 다른 이들도 함께 살리는 삶을 꿈꾸게 됩니다. 

12월 내내 과하게 읽어댔으니 자제해야겠지만, 벌써 오늘만 해도 두 권을 읽었습니다. 할 일도 미룬 채. 

최재붕 교수의 <포노 사피엔스 코드 Change 9>를 먼저 읽고, 화타 김영길의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3>을 바로 집었습니다. 의도한 선택은 아니었는데, 두 책에서 제시하는 인생관 세계관이 대척점에 놓고 대비시키기에 딱인지라 굉장히 흥미롭습니다. 전자는 세계를 빠르고 (거스를 수 없는) 거센 흐름으로 인식하고, 개체들도 전략적 기능적으로 빠름을 자원화하라고 촉구합니다. 후자는 정중동의 수묵담채화처럼 세상을 인식하고, 매끈하게 윤활유 친 기계적 세계관을 멀리합니다.

 최재붕 교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포노 사피엔스"로서의 생존전략을 각인시키면서 독자에게 자신을 "이야기꾼"으로 자리매김합니다. 널려 있는 정보들을 꿰어서 맥락에 위치시켜주는 작업은 지적으로나 경험적으로 자원이 풍부한 이들에게 가능하죠. 그런 의미에서 최재붕 교수는 Change9을 대중에게 각성시키는 선구적 이야기꾼일 듯합니다. 아날로그 선호의 저 같은 독자조차 "포노 사피엔스"의 대세를 거스르기 어렵다는 자각을 시켜줄 정도로요.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의 김영길 선생님은 굉장히 겸손하십니다. 그래서 가장 최근 발행된 시리즈의 5권을 읽고 역순으로 이전 저작을 찾게 되었습니다. 2009년에 쓰셨군요. 걸어서 국토를 한 바퀴 도는 여행(?)을 하신 후에. 겸손하고 투명하시군요. 그런 코드에 주파수가 맞춰져 있는 독자로서, 귀한 여행기와 인생관을 글자를 통해서나마 얻어 듣게 되어 참으로 감사합니다. 


특히, 사람의 병을 고치는 직업을 가진 이로서 본인이 귀가 갑자기 안 들렸을 때의 당혹감과 무력감(당장 환자 진료하는 데, 듣는 과정이 중요한 데 귀가 안 들리다니...), 비제도권 한의사이지만 이비인후과를 찾아 귓속 귀지를 파내고 귀가 들렸을 때의 청량감 등을 묘사한 부분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천하의 명의를 딴 "화타"라는 선생님의 호가 실은 조금 불편했는데, 그런 불편감을 상쇄시켜주는 인간적 솔직함과 투명함이었습니다. 


오늘도 햇볕과 책과 사람의 온기로 하루를 채웁니다. 이렇게 채우면서 풀어낼, 좋게 풀어낼 날이 꼭 왔으면 싶습니다. 이 부분은 최재붕 교수도 어려운 학술 용어로(읽은지 반 나절 만에 잊었네요), 화타 김영길도 이야기했습니다. 마음에 그리고 추구하는 상像을 실현할 수 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