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이 휩쓴 세계사] 덕분에, 역사학 세부 분야 중에서도 의학사, 그 중에서도 질병사가 현재 코로나 사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겠다는 느낌이 왔다. 한 마디로, 좀 더 읽어봐야겠다는 부담감이 확 왔다. 저자 김서형의 박사 논문뿐 아니라 '전염병'을 주제로 한 거의 모든 책에서 "1918년 인플루엔자'가 빠지지 않기에 이왕이면 이 시기를 포함한 자료를 찾았다. 그 제목이 [세균의 복음]인데, 원어는 말 그대로 "The Gospel of Germs"이다. 




저자 낸시 톰스는 "질병세균설 the germ theory"의 대중화가 이뤄진 문화적 맥락과 역사적 특수성에 관심을 둔 역사가이다. 그녀는 젊은 후학들에게 더 나아간 비교연구 작업을 부탁하고 본인은, 계속 주력해온 미국의학사 중에서도 "1870~1930년대"에 집중해 글을 썼다. 질병에 대한 믿음이 미국인들의 의식과 실천을 집합척 차원에서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중심 질문으로 삼아서. 물론 "집합적"의식화의 탐색이지만, 일반화를 경계하고 미국 특유의 이질성에 대한 언급도 잊지 않았다.


아직 이 두꺼운 책의 1/10 정도 분량인 서문까지만 읽었을 뿐이다.



CC0



사실, 최근 내 독서 계획은 온통 코로나 펜데믹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인데 부끄럽게도 나는 "전염병," "감염병"을 어떤 맥락에서 쓰는지, 교차적으로 쓸 수 있는 용어인지 잘 모른다. 매번 자판을 두드리면서도 "'전염병'이라 했어야하나? '감염병?" 이 수준의 고민을 해왔다. 자칫 이 분야 전문가들은 동의하고 쓰고 있는 용어를 제 멋대로 교차해 리뷰 쓰다가 본문의 좋은 내용을 오염시킬까 걱정스러웠다. 그런데 [세균의 복음] 서문의 마지막 문단에서 굉장히 반가운 문장을 만났기에 책 읽다 말고 옮겨놓는다.



'감염 infectious'는 그들 사이에 실질적인 접촉 없이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전해지는 병을 뜻한다 반대로 '전염병 contagious'은 사람들 사이에서 직접 전해진다...그러나 실제로 사용될 때 이러한 용어는 그 구분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나의 연구 대상 시기에 의료 당국은 흔히 그런 용어를 사용하는 데 정확성이 떨어졌다. 특히 감염병과 전염병의 구분이 무의미했다. 1866년 <미국 의사협회 회보>에서 한 의사는 그 점에 불만을 드러냈다. "유행병, 전염, 감염, 이 세가지 명칭은 빈번하게 조사원을 혼동하게 만든다. 그 경계선은 equator보다 더 공상적인 것 같다." 나는 감염과 전염이 엄밀히 다르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나는 '적도 무시하기 ignoring equator'를 선택하고 이 책에서는 그 용어를 호환해서 쓰겠다." (낸시 톰스 2019:60)



[세균의 복음] 및 다른 책들을 더 읽어가면서 "감염"  / "전염" 용어에 대한 생각도 정리해가봐야겠다. 일단, 좀 몰라서 두 용어를 교차해 쓰는 데 대한 부끄러움은 낸시 톰스 박사의 서문을 읽고 좀 내려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