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말도 하기 싫은 날 라임 어린이 문학 34
오언 콜퍼 지음, P. J. 린치 그림, 이보미 옮김 / 라임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무 말도 하기 싫을 땐, 기분이 어떤 거지?"

예상했던 대로, 주인공들은 슬펐다. 적어도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 정도로 슬픔에 푹 젖었던 경험이 있다. 동화의 중반까지는 사람에게 학대 당해 슬픈 강아지를 주인공 소년이 '사랑의 힘'으로 다시 '컹컹- 컹' 짖게 해주는 내용인 줄 알았다. 만약 사랑이 일방향으로 흐르는 이야기였다면 [아무 말도 하기 싫은 날]의 이처럼 감동적이진 않았을 것 같다.

강아지 오즈는 한 때 슬픔과 두려움 때문에 '컹컹' 짖지를 못했다. '짖고 싶은' 본능을 누를만큼 사람에 대한 두려움과 불신이 컸다. 하지만 자신을 유기견 센터에서 데려와 온 마음으로 보살펴준 패트릭 덕분에 케이지 밖으로 나왔고, 세상 냄새를 맡았다.





그런데 어느 날, 오즈는 자신을 애써 외면하고 갑자기 차갑게 대하는 패트릭에게서 한 때 자신이 풍기던 냄새를 맡았다. 바로 '슬픔'의 냄새였다. 영리한 강아지 오즈는, 음악가 출신 집안의 패트릭이 자신에게 했던 음악의 마법을 패트릭에게도 시도해본다. 현을 켤 수도, 건반을 두드릴 수도 없는 오즈가 택한 영리한 방법은 직접 책을 읽고 확인해보시길...(리뷰를 쓰다보니, 스포일러 같아서 예비독자에게 죄송한 마음에 급 수습 중)


강아지의 '컹컹'처럼, 사람 아이 패트릭 역시 슬픔 밖으로 나와 목소리를 내고, 사람 어른인 패트릭의 엄마 역시 엉엉 울며 감정을 뿜어낸다. 울고 '컹컹'하며 감정이 격하게 소용돌이 칠때, 패트릭의 외할아버지께서 남하신 말씀이 명언이었다. "여기서 다들 뭐 해? 왜들 그렇게 울어? 세상이 끝나기라도 했대? 아무리 세상이 끝났어도 일은 해야지." 생활 속 평범한 대화일텐데, [아무 말도 하기 싫은 날]의 저자 오언 콜퍼의 세계관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So Cool!


나는 동물과 교감해 본 경험이 거의 없는 차가운 독자였지만, 인간이나 강아지나  마찬가지로 음악의 마력으로써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교감함으로써 서로 일으켜 세워준다는 설정에 설레임마저 느낀다. 사랑은 도는 거구나. 구비구비 S자 강물처럼 감싸안듯 돌며 흐르는 구나. 꼭 인간끼리만 아니라, 인간 종 밖의 존재들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